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주제 선정 이유
수술실(OR) 실습 1주차에는 비뇨기과(UR)방을 배정받아 주로 다빈치라는 로봇을 이용한 수술을 볼 수 있었다. 그중 매일 1건 이상의 수술이 예정되어 있던 것이 로봇을 이용한 근치적 전립선절제술(Robot Assisted-Radical Prostatectomy)이었다. 5일간 6건의 수술사례가 있을 정도로 흔한 질환임을 알게 되었고 환자의 나이대가 모두 70대 이상으로 고령의 남성에게 자주 발생하는 질환임을 확인하게 되어 해당 수술에 관심이 생겨 선정하게 되었다.
국립암센터가 발표한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19년 동안 남성 인구 10만 명당 65.6명에서 전립선암이 발생했으며, 한국인 남성에서 발생하는 암 중 네 번째로 발병률이 높다. 또한 전립선암은 특히 고령 남성에서 많이 발생하여 65세 이상 남성에서 발생하는 암 중 발병률이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집계되었다. 따라서 한국인 남성의 전립선암 발생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이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필요하다.
1.2. 해당 질환에 대한 통계자료
전립선암은 남성에게 흔히 발생하는 암 중 하나이다. 국립암센터가 발표한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19년 동안 남성 인구 10만 명당 65.6명에서 전립선암이 발생했다. 이는 한국인 남성에서 발생하는 암 중 네 번째로 발병률이 높은 수치이다. 전체 남녀를 통틀어서는 여섯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종이다. 전립선암은 특히 고령 남성에게 많이 발생하여 65세 이상 남성에서 발생하는 암 중 발병률이 두 번째로 높다. 따라서 한국인 남성의 전립선암 발생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2. 본론
2.1. 수술 전 대상자 준비사항
대상자는 75세 남성이며, 성명은 이OO이다. 진료과는 UR이고, 수술명은 RARP(Robot Assisted-Radical Prostatectomy)이다. 대상자는 수술서약서 확인 및 동의 절차를 완료하였으며, 소지품과 장신구 제거 상태, 화장과 매니큐어 제거 상태, 피부준비 상태 등을 확인하였다. 또한 금식 여부와 배뇨 및 배변 상태도 확인하였다. 대상자의 수술 전 검사 결과, PSA는 7.26으로 증가하였고 Testosterone은 0.08로 감소하였다. 그 외 혈액검사, 심전도, 흉부 X선 검사 등 수술을 위한 전반적인 검사가 이루어졌다. 감염 여부도 확인하였는데, HBsAg 검사 결과는 음성이었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수술 전 준비 상황을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2.2. 사례환자의 수술명
사례환자는 75세 남성으로 Robot Assisted-Radical Prostatectomy(RARP) 수술을 받았다. 전립샘 선암으로 진단되어 전립샘 전체와 정낭, 방광 목의 일부를 제거하는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을 로봇 보조 하에 시행하였다.
RARP는 5개의 포트를 삽입하고 다빈치 로봇 시스템을 이용하여 집도의가 고화질의 3차원 입체영상 하에 수술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수술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전신마취 하에 변형된 쇄석위를 취하고 압박을 막기 위해 환자 몸의 압박 부위에 충분한 패딩을 하였다. Veres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