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QI 인공관절 수술 후 재활과정에 대한 환자 만족도 및 이해도 향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간호전문직 표준
2.1.1. 간호실무표준
2.1.2. 간호전문직 수행 표준
2.2. 간호윤리
2.2.1. 한국간호사 윤리선언
2.2.2. 간호전문직 윤리적 기준
2.3. 간호사의 법적 책임
2.3.1. 의료법
2.3.2. 간호사의 법적 책임
3. 간호전문직 표준, 윤리, 법적 기준의 적용
3.1. 간호실무표준 적용 사례
3.2. 간호윤리 적용 사례
3.3. 간호사의 법적 책임 적용 사례
4. 결론 및 제언
4.1. 연구결과 요약
4.2. 간호전문직 표준, 윤리, 법적 기준의 통합적 적용 필요성
4.3. 간호전문직 발전을 위한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인공관절 수술을 받은 대상자는 2012년 5만2741명 대비 2016년 6만5544명으로 24.2% 증가하였다. 이는 노인 인구 및 비만 인구의 증가가 지속되는 한 인공관절 수술 환자들이 계속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수술 전 수술에 대한 충분한 교육을 받지 못한 환자는 수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거나, 수술이라는 사건의 결과나 앞으로 맞이하게 될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긴장 완화와 질병 과정 적응을 위해서는 정확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수술에 대한 불안감소는 지속적인 자기 관리능력을 키워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으며, 장기적인 면에서 인공 관절의 사용 기간을 늘려 주기위해서도 반드시 시행 되어져야 할 간호 중재의 하나이다. 이에 따라 슬관절전치환술 환자의 수술 전·후 시점별 교육 요구에 맞는 맞춤형 간호를 연속성 있게 제공하여 환자의 불안, 운동 자기효능감, 간호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1.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관절 수술 대상자의 수술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다. 둘째, 인공관절 수술 대상자의 수술 전 불안 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셋째, 인공관절 수술 대상자에게 필요한 수술 정보를 제공하는 교육 자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넷째, 수술에 대한 교육을 통해 대상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상자의 수술 만족도와 불안 정도를 조사하고, 수술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교육 자료를 개발하며, 대상자의 심리적 안정감 제공을 위한 중재를 실시할 것이다. 이를 통해 인공관절 수술 대상자의 만족도와 불안 관리, 수술 정보 제공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1.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QI 인공관절 수술 후 재활과정에 대한 환자 만족도 및 이해도 향상을 위해 간호전문직 표준, 윤리, 법적 기준을 고찰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한국간호사 간호표준, 윤리선언, 윤리강령, 의료법과 간호사의 법적 책임 등의 항목 및 내용을 파악하고, 간호단위 간호 상황에서의 이행 수준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함께 실제 병동 간호 상황을 관찰하여 사례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최신 연구와 데이터를 추가 조사하여 보고서에 반영하였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내용을 전개하였으며, 전문적이고 학술적인 어조와 용어를 사용하여 독자의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2. 이론적 배경
2.1. 간호전문직 표준
2.1.1. 간호실무표준
간호사는 대상자의 건강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한다. 개인, 가족, 지역사회 및 건강팀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며, 대상자의 건강상태나 요구의 긴급성에 따라 자료를 수집한다. 주관적인 자료와 객관적인 자료를 모두 수집하고, 적절한 자료수집 기술과 도구를 사용한다. 개인, 가족, 지역사회 및 관련 보건 의료인과 계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수정하고 보완하며, 수집된 자료를 검색, 인출 및 호환이 가능한 형식으로 문서화한다.
간호사는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간호진단을 내린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자료분석에 근거하여 간호진단을 내린다.
간호사는 간호대상자의 간호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간호계획을 세운다. 간호진단에 근거하여 간호목표를 설정하며, 간호목표를 측정 가능하고 성취 가능하게 설정한다. 간호목표의 우선순위에 따라 간호계획을 세우고, 필요한 경우 간호 대상자, 가족, 타 건강팀과 함께 간호목표 및 계획을 수립한다. 또한 최신 간호실무를 반영하여 간호계획을 설정하고, 간호의 연속성이 있게 간호계획을 수립한 후 문서화한다.
간호사는 간호계획에 따라 간호중재를 수행한다. 간호계획에 근거한 간호중재를 안전하고 시기 적절하며, 적합한 방식으로 수행하고, 건강 증진, 유지, 질병예방, 질병관리 및 재활, 임종간호, 사업운영을 포함하여 간호중재를 수행한다.
간호사는 간호중재를 지속적으로 평가한다. 간호목표 달성을 확인하고, 평가결과를 간호진단과 목표, 계획에 반영한다. 간호사는 평가내용을 문서화하며, 간호대상자와 가족, 건강팀을 평가과정에 참여시킨다.
2.1.2. 간호전문직 수행 표준
간호사는 전문가로서의 활동을 통해 간호정책 및 관련제도의 개선과 발전에 참여한다. 이를 위해 간호사는 정기적으로 업무수행을 평가하며, 동료평가 활동에 참여한다. 또한 업무수행 평가 및 동료평가 결과를 직무개선에 반영...
참고 자료
80대 노인 떡 먹다 사망... 요양보호사·간호사 '유죄', <의협신문>, 2017.04.21.
(http://www.doctorsnews.co.kr)
전주지법 2012. 8. 29. 선고 2012나2821 판결, [손해배상(기)] 상고[각공2012하,1062]
https://legalengine.co.kr/cases/FoPe-ZZZieD0thrECtfukQ
정부, 환자 처방기록 제약사 유출 재발 방지 당부, <의협신문>, 2021.12.31
http://www.newsmp.com/news/articleView.html?idxno=220358
김지미⋅김현경 외 공저, 간호관리학, 수문사, 563~566p
대한간호협회/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http://www.koreanurse.or.kr/about_KNA/ethics.php?mn=2#s1
천안의료원, 환자안전과 질향상규정 QI실
천안의료원, '주민 삶의 질 향상 나서'...2024년 행복건강대학 개강 <디트 뉴스>, 2024.03.06
https://www.dtnews24.com/news/articleView.html?idxno=767410
천안의료원, 2024년 신규 간호사 오리엔테이션
https://www.dtnews24.com/news/articleView.html?idxno=767410
80대 노인 떡 먹다 사망... 요양보호사·간호사 '유죄', <의협신문>, 2017.04.21.
(http://www.doctorsnews.co.kr)
전주지법 2012. 8. 29. 선고 2012나2821 판결, [손해배상(기)] 상고[각공2012하,1062]
https://legalengine.co.kr/cases/FoPe-ZZZieD0thrECtfukQ
정부, 환자 처방기록 제약사 유출 재발 방지 당부, <의협신문>, 2021.12.31
http://www.newsmp.com/news/articleView.html?idxno=220358
김지미⋅김현경 외 공저, 간호관리학, 수문사, 563~566p
대한간호협회/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http://www.koreanurse.or.kr/about_KNA/ethics.php?mn=2#s1
천안의료원, 환자안전과 질향상규정 QI실
천안의료원, '주민 삶의 질 향상 나서'...2024년 행복건강대학 개강 <디트 뉴스>, 2024.03.06
https://www.dtnews24.com/news/articleView.html?idxno=767410
천안의료원, 2024년 신규 간호사 오리엔테이션
https://www.dtnews24.com/news/articleView.html?idxno=767410
소비자안전국 생활안전팀(2011), 휠체어 안전사고 실태조사
정병웅(2013), 종합병원 입원환자의 병원 내 안전교육에 관한 연구
한남주(2012), 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안전간호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