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척추후궁절제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척추후궁절제술의 목적 및 적응증
3. 척추후궁절제술의 과정 및 도구
4. 수술 전 간호
5. 수술 후 간호
6. 간호진단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척추후궁절제술은 척추 후궁을 절제하여 척추관을 여는 수술로, 척추 후궁을 절제하면 척추관에 위치한 신경근과 디스크에 접근이 가능해져 직접 육안으로 관찰하면서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또한 척추후궁을 절제하는 것은 주변부를 압박하는 구조를 제거함으로써 신경관의 압력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단독으로 시행하기도 한다. 척추 전방 전위증, 척추관 협착증, 퇴행성 척추질환 등의 경우 척추의 감압을 위해 수술을 시행하며, 추간판 및 신경에 접근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따라서 척추후궁절제술에 대한 이해와 수술 과정 및 간호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2. 척추후궁절제술의 목적 및 적응증
척추후궁절제술은 척추 후궁을 절제하여 척추관을 여는 수술이다. 척추 후궁을 절제하면 척추관에 위치한 신경근과 디스크에 접근이 가능해져 직접 육안으로 관찰하면서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또한 척추후궁을 절제하는 것은 주변부를 압박하는 구조를 제거함으로써 신경관의 압력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단독으로 시행하기도 한다. 신경관 내부의 압력이 감소된 후, 절제한 후궁을 다시 붙여주는 척추후궁성형술을 추가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척추 전방 전위증, 척추관 협착증, 퇴행성 척추질환 등의 경우 척추의 감압을 위해 수술을 시행하며, 추간판 및 신경에 접근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3. 척추후궁절제술의 과정 및 도구
타임아웃을 실시한다. 피부상태를 확인한 후 마취의, 주치의, 수술실 간호사 모두가 모여 환자의 성명, 수술명, ...
참고 자료
척추후궁절제술,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401&tabIndex=0, 2019.11.06.
척추후궁절제술, 정동병원, https://www.jungdonghospital.com/spine/surgery/page04.html, 2019.11.06.
lumbar laminectomy,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QgJke6uSTnQ, 2019.11.06.
left-side hemilaminotomy, foraminotomy & medial facetectomy at L4-5,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A6mOpwlJyC4, 2019.11.06.
김조자 외(2017),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황옥남 외, 2018, 제 7판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P.174, 449
[네이버 지식백과] 척추관 협착증 [spinal stenosi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네이버 지식백과] 척추관 협착증 [spinal stenosis]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cafe.naver.com/wooridulangel/59
https://blog.naver.com/wj7446/221797106774
https://blog.naver.com/okiokiokiokioki/221953309757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http://www.neurosurgery.or.kr
Frank H. Netter. Atlas of human anatomy. 제 5판. 엘스비어코리아. 2011.
고일선. 간호진단·정의 및 분류. 제 1판. NANDA international. 2006.
석세일. 정형외과학. 제 6판.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이들. (2013). 장시간 근무 및 교대 근무가 요통 발생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조태현, 송준혁, 김명현, 박향권, 김석학, 신규만, 박동빈.(2000). 상 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수술적 치료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동대문 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