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TLH procedur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TLH procedure
2.1. 개요
2.2. 적응증 및 진단명
2.3. 복강경 수술 특징
2.4. 자궁의 기능
3. 해부학적 구조
3.1. 자궁의 위치
3.2. 자궁의 구조
3.3. 자궁인대
3.4. TLH indicator
4. 수술 준비 및 준비물품
5. 수술 상차림 및 스크럽 준비사항
6. 수술 절차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TLH(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 절차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TLH는 전복강경하 자궁적출술이다. 자궁과 자궁 경부 모두를 완전히 제거하는 수술로, 자궁 출혈이나 근종 등 부인과적인 문제가 존재하거나 암이 의심되는 경우 시행할 수 있다. 자궁적출술의 종류에는 접근 방법에 따라 복식자궁절제술 TAH, 질식자궁절제술 LAVH, 복강경자궁절제술 TLH 등이 있으며, 수술 범위에 따라 완전자궁절제술, 부분자궁절제술, 광범위 자궁절제술 등이 있다. 각각의 수술방법에 따라 접근 방식과 수술시간이 매우 달라질 수 있다.
TLH의 주된 적응증은 만성 골반통 또는 통제불가한 질출혈, 자궁경부암이나 자궁내막암, 자궁근종, 자궁선근증 등이다. 복강경 수술의 경우 수술 후 횡경막 자극에 의한 반사통, 출혈, 통증, 유착 등의 부작용이 적고 수술 흉터가 거의 남지 않으며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자궁절제술은 장시간 수술을 하므로 상하지 신경 손상의 위험이 있다.
자궁을 제거하면 임신이 불가능해지고 월경이 없어지며, 난소와 난관 절제 여부에 따라 에스트로겐 분비 및 폐경 여부가 달라진다. 따라서 환자의 상황에 따라 맞춤 수술이 필요하다.
2. TLH procedure
2.1. 개요
TLH(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는 전복강경하 자궁절제술이다. 자궁과 자궁경부 모두를 완전히 제거하는 수술로, 자궁 출혈이나 근종 등 부인과적인 문제가 존재하거나 암이 의심되는 경우에 시행할 수 있다. 자궁절제술의 종류에는 접근 방법에 따라 복식자궁절제술(TAH), 질식자궁절제술(LAVH), 복강경자궁절제술(TLH) 등이 있으며, 수술 범위에 따라 완전자궁절제술(total hysterectomy), 부분자궁절제술(subtotal hysterectomy), 광범위 자궁절제술(radical hysterectomy) 등이 있다. 각각의 수술방법에 따라 접근 방식과 수술시간이 매우 달라질 수 있다.
2.2. 적응증 및 진단명
만성 골반통 또는 통제불가한 질출혈이 있는 경우 TLH(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 수술이 시행될 수 있다. 자궁경부암이나 자궁내막암이 의심되는 경우에도 TLH 수술을 실시할 수 있다. 자궁근종, 자궁내막증, 선근증 등의 질환으로 자궁이 지나치게 커지거나 주변 장기들을 압박하는 경우에도 TLH 수술이 필요할 수...
참고 자료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Ⅰ (2020). 수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Ⅱ (2020). 수문사
손정태 외. 기본간호학Ⅰ (2020). 현문사
손정태 외. 기본간호학Ⅱ (2020). 현문사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 Ⅱ (2019). 수문사
송경애 외.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2020). 수문사
Meg Gulanick, Judith L. Myers,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2019), 현문사
약학정보원,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2021.10.05., http://www.health.kr/main.asp
건강보험심사평가원, 「35세 이상 여성 5명 중 1명은 가지고 있는 질병은?」, 『정책브리핑』, 2020, https://www.korea.kr/news/healthView.do?newsId=1488748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