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광주 농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우리나라 은행금융기관 소개의 필요성
1.2. 은행금융기관의 체계적 분류와 최신 현황 파악
2. 우리나라 은행금융기관의 종류
2.1. 중앙은행
2.2. 일반은행
2.2.1. 시중은행
2.2.2. 지방은행
2.2.3. 외국은행 국내지점
2.3. 특수은행
2.3.1. 한국산업은행
2.3.2. 한국수출입은행
2.3.3. 중소기업은행
2.3.4. 농업협동조합
2.3.5. 수산업협동조합
3. 은행금융기관의 최신 동향 및 과제
3.1. 금융위험 대비를 위한 비즈니스 단위 자금관리
3.2. 업종 및 규모에 따른 차별화된 운영방식
3.3. 금융기관의 디지털화 가속화
4. 결론
4.1. 요약 및 시사점
4.2. 향후 과제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우리나라 은행금융기관 소개의 필요성
우리나라 은행금융기관 소개의 필요성은 금융은 경제주체간의 자금 융통을 의미하며 금융기관은 저축자와 차입자 사이에서 저축과 투자를 연결해주는 기관으로, 시대마다 사회의 요구와 경제 발전 등에 따라 변화되어왔기 때문이다. 금융기관은 크게 은행금융기관과 비은행금융기관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은행금융기관은 중앙은행, 일반은행, 특수은행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따라서 은행금융기관의 종류와 변화 추이를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1.2. 은행금융기관의 체계적 분류와 최신 현황 파악
우리나라 은행금융기관은 중앙은행, 일반은행, 특수은행으로 체계적으로 분류될 수 있다. 최근 이들 은행금융기관은 금융위험 대비를 위한 비즈니스 단위 자금관리, 업종 및 규모에 따른 차별화된 운영방식, 그리고 금융기관의 디지털화 가속화라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먼저, 금융위기 이후 금융안정성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금융기관들은 비즈니스 단위로 자금을 관리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개별 금융기관의 완충력 제고와 더불어 체계적인 금융안전망 구축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를 통해 자금관리의 집중화와 통합관리 체계가 구축되고 있다.
둘째, 금융기관의 운영방식은 업종과 규모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일부 제조기업은 금융자회사를 설립하여 자금조달, 펀드 운용 등의 기능을 담당하게 하는 반면, 대규모 기업은 지역 전담조직을 활용하여 본사의 의사결정을 실행하고 있다. 이처럼 현대사회의 복잡성에 대응하고자 금융기관들은 부문별 전문화를 추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금융기관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비대면 거래와 온라인 영업이 확대되면서 오픈뱅킹, 전자결제 등 디지털 기술 기반의 서비스 모델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금융정책 또한 디지털 인프라 구축과 혁신 지원에 초점을 맞추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우리나라 은행금융기관은 시대적 요구에 맞춰 진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금융기관의 경영성과 안정화와 더불어 디지털 전환에 대한 대응이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2. 우리나라 은행금융기관의 종류
2.1. 중앙은행
중앙은행은 한 나라의 통화제도의 중심이 되는 은행으로서, 전체 은행 제도를 총괄하는 은행이다. 중앙은행은 주로 4가지 기능을 수행하는데, 첫째 발권은행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화폐를 발권하는 독점권을 가지고 있다. 둘째 은행의 은행이라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일반대중과 직접적인 거래를 하지 않고 다른 은행이나 금융기관을 상대로 업무를 수행하며 일반은행의 지급준비금을 보관하고 은행 간 채권 채무 결제를 도와준다. 셋째 정부의 은행으로서 정부예금을 관리하고 정부 기관에 현금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금융정책의 주체로서 통화량 조절을 통해 물가 안정, 경제 성장, 국제수지 균형을 달성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중앙은행은 한 나라의 통화 및 금융 정책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핵심 기관이라 할 수 있다.
2.2. 일반은행
2.2.1. 시중은행
KEB하나은행은 1971년 (주)한국투자금융을 설립하고 1991년 은행으로 전환하였으며 1998년 충청하나은행이 출범하였다. 1999년 하나은행과 보람은행이 합병하였고, 2002년에는 하나은행과 서울은행이 합병하였으며 2003년 하나생명보험이 출범하였다. 2010년 론스타와 외환은행 지분인수 계약을 체결하였다. 이후 2015년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이 합병, 통합하여 현재 'KEB하나은행'으로 출범하게 되었다.
SC제일은행은 1929년 조선저축은행으로 창립하여 국내 최초 적금업무를 도입하고 이후 1950년 한국저축은행으로 행명을 변명하였고, 이후 1958년 제일은행으로 행명을 변경하여 시중은행으로서 입지를 다졌다. 2005년 스탠다드차타드가 제일은행을 인수하면서 현재 'SC제일은행'으로 행명이 변경되어 운영 중이다.
1963년 국민은행이 창립법정 자본금 5억원으로 출범하였다. 주택은행은 1967년 한국주택금고법 제정 이후 한국주택금고가 창립되었고 1969년 한국주택은행으로 명칭이 변경된다. 2000년 한국은행과 주택은행의 합병이 선언되었고 2001년 현재 명칭인 KB국민은행으로 출범하게 되면서 총자산 200조를 돌파하게 되었다. KB국민은행은 2018년 3월 기준으로 국내에 905개 지점과 150개 출장소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1897년 한성은행으로 출발한 조흥은행과 1982년 설립된 신한은행은 1998년 동화은행을 인수하고 이후 2006년 조흥은행과 합병하며 현재 신한은행으로 출범하였다. 2019년 현재 신한금융지주회사㈜의 총자산은 55조 2,419억 원, 자본금은 4조 1930억 원이다. 2021년 상반기 기준 영엄점 수는 국내 802개이다.
1899년 대한천일은행으로 설립되어 1911년 조선상업은행, 1950년 한국상업은행으로 상호를 변경하다가 IMF시기 부실경영으로...
참고 자료
도서
김종선 김종오, 『금융제도의 이해』, 한국방송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홈페이지
한국은행(https://www.bok.or.kr/portal/main/main.do)
KEB하나은행(https://www.kebhana.com/)
SC제일은행(https://www.standardchartered.co.kr/)
KB국민은행(https://www.kbstar.com/)
신한은행(https://www.shinhan.com/index.jsp)
우리은행(https://www.wooribank.com/)
한국시티은행(https://www.citibank.co.kr/)
경남은행(https://www.knbank.co.kr/)
광주은행(https://pib.kjbank.com/)
대구은행(https://www.dgb.co.kr/)
부산은행(https://www.busanbank.co.kr/)
전북은행(https://www.jbbank.co.kr/)
제주은행(https://www.e-jejubank.com/JeJuBankInfo.do)
IBK기업은행(https://www.ibk.co.kr/)
NH농협(https://www.nonghyup.com/main/psniMain.do)
SH수협은행(https://www.suhyup-bank.com/)
KDB산업은행(https://www.kdb.co.kr/index.jsp)
한국수출입은행(https://www.koreaexim.go.kr/site/main/index001)
기획재정부,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11, 대한민국정부
구본성, 이순호, 2020, '한국 금융산업의 2030 비전과 과제 : 개관 - 코로나 위기 이후 금융의 디지털화를 중심으로 -', KIF연구총서, vol. 2020,no. 1, pp. 1-204.
조주현, 2017, '최신 글로벌 자금관리 트렌드와 기업 금융 시사점', POSRI 이슈리포트, vol. 2017,no. 5, pp. 1-9.
뉴스 ‘산업은행, 우주산업 등 차세대 스타트업 투자 박차’, 김수현 기자, 디지털타임스, 2021.10.13.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1101302109963075005&ref=na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