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임신 중반기나 말기 초에 자궁수축 및 진통 없이 자궁 경부가 개대되어 태아가 누르는 무게로 인해 양막이 부풀어 오르게 되고, 조그만 자극에도 양막이 파열되며 양수가 나오며 미숙아가 출생되거나 저체중 태아가 나오게 되어 결국 임신손실이 나타나는 질환이 자궁경관무력증이다. 이로 인해 자궁경관무력증의 예방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사례 연구에서는 자궁경관무력증에 대한 병태생리와 원인, 증상, 치료, 간호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2. iioc 케이스에 대한 문헌고찰
자궁경관무력증은 임신 중반기나 말기 초에 자궁수축 및 진통이 없이 자궁 경부가 개대되어 태아가 누르는 무게로 인해 양막이 부풀어 오르게 되고, 조그만 자극에도 양막이 파열되며 양수가 나오며 미숙아가 출생되거나, 저체중 태아가 나오게 되어 결국 임신손실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자궁경관무력증의 원인은 크게 선천적 요인, 후천적 요인, 생리적 요인으로 나뉘며,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자궁경부의 선천적인 이상, 임신 중 약물 노출, 과거 분만 및 유산 시술로 인한 자궁경부 손상, 자궁경부 원추절제술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자궁경관무력증의 증상으로는 맑은 냉 증가, 이슬과 유사한 출혈, 잦은 배뭉침, 양막 질 탈출 등이 있으며, 진단은 자궁수축 없이 자궁경부 개대가 일어나 태아 손실이 있는 경우 가능하다. 자궁경관무력증의 치료로는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있는데, 수술적 치료는 자궁경부를 둘러 묶는 원형 결찰술이 대표적이다. 임신 중 경부 길이가 3.1cm 이하이거나 경부 내구 개대가 0.42cm 이상일 때 자궁경관무력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1,2,3]
2. 본론
2.1. 자궁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자궁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이다. 자궁은 골반 한가운데에 있는 장기로서 보통 질과 직각을 이루며 앞의 방광과 뒤의 직장 사이에 위치한다. 자궁은 길이 약 8~9cm, 폭 6cm, 두께 4cm 정도로 커다란 달걀 모양이며, 무게는 50mg 정도 되는데, 난자와 정자가 만나 수정이 된 후 자궁 내에 착상을 하면 자궁은 40주(수정 후로는 38주) 동안 수정란을 태아로 성장하게 하는 아기집의 역할을 한다. 만삭 시 자궁은 그 무게만 1kg으로 임신 전에 비해 20배로 늘어나며, 용적도 평상시에는 자신의 주먹 정도의 크기이지만 임신하게 되면 임신 전 부피의 500배까지 늘어난다. 자궁은 자궁협부라는 부분을 경계로 하여 그 위쪽 2/3를 자궁체부, 아래쪽 1/3을 자궁경부라고 한다. 자궁 하방의 가느다란 원주상의 부분을 말하며, 자궁 협부에 의해 자궁에 연결되어 있다. 자궁경부의 한가운데에는 자궁경관의 입구가 되는 자궁 경구가 있으며, 이곳이 자궁경부암 검사를 하는 곳이다. 자궁체부는 역삼각형 모양으로 두꺼운 근육층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내부는 자궁강이라 불리우는 공간이 있고 자궁내막이라는 부드러운 점막층으로 덮여있다. 자궁내막의 두께는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고 월경주기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월경 직후에 가장 얇아졌다가 다시 점점 두꺼워지는데, 난자가 수정하여 자궁내막에 착상하지 못하면 두꺼워진 자궁내막이 떨어져 나와 몸 밖으로 배출되며, 이것이 '월경(생리)'이다. 월경이 끝나면 자궁내막은 다시 증식하며 이런 증식은 매달 반복된다. 질을 통해 들어온 정자는 자궁을 지나 수란관에서 난자와 만나 수정란을 형성한다. 정자는 산성을 싫어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자궁의 분비물은 약한 알칼리성을 띠기 때문에 산성을 띠는 질에 들어온 정자가 이를 피해 올라가도록 유도하여 수란관까지 갈 수 있도록 돕는다. 수정란은 자궁으로 이동하여, 착상에 대비하여 부드럽고 두터워진 상태가 된 자궁점막에 착상하게 된다. 자궁은 수정란이 태아가 되어 출생할 때까지 자라는 장소이다. 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