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아동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아동 위장관염 관련 교육에서는 주로 로타바이러스에 대해 다루곤 하는데, 이번 사례연구를 통해 누구나, 아동에게도 흔히 감염되며 구토와 설사를 유발하는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을 접하게 되었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의 증상으로 아동에게서 설사는 탈수, 산염기 불균형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아동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사례를 통해 문헌고찰로 노로바이러스에 대해 알아보고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아동 노로바이러스 감염 대상자에 대한 적절한 간호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1.2. 문헌고찰
1.2.1. 정의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은 사람의 위와 장에 염증을 일으키는, 크기가 매우 작은 바이러스인 노로바이러스(norovirus)에 의한 유행성 바이러스성 위장염이다. 노로바이러스는 나이와 관계없이 감염될 수 있으며, 전 세계에 걸쳐 산발적으로 감염이 발생하고 있다.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낮은 기온에서 번식력이 떨어지지만, 노로바이러스는 낮은 기온에서 오히려 활동이 활발해진다. 겨울철 식중독의 주된 원인이 된다.
1.2.2. 원인 및 병태생리
노로바이러스는 칼리시 바이러스과에 속하는 바이러스이다. 바이러스 입자는 크기가 27~40nm이고 정이십면체 모양이다. 60도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여도 감염성이 유지되고 일반 수돗물의 염소 농도에서도 불활성화되지 않을 정도로 저항성이 강하다. 감염자의 대변 또는 구토물에 의해서 음식이나 물이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될 수 있고, 감염자가 접촉한 물건의 표면에서 바이러스가 발견될 수 있다. 소량의 바이러스만 있어도 쉽게 감염될 수 있을 정도로 전염성이 높으며, 전염성은 증상이 발현되는 시기에 가장 강하고 회복 후 3일에서 길게는 2주까지 전염성이 유지된다. 노로바이러스는 genogroup에 따라 GⅠ~GⅤ로 구분되며 사람에게는 주로 GⅠ과 GⅡ가 발견된다.
1.2.3. 증상 및 징후
사람이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평균 12-48시간의 잠복기를 거친 뒤에 갑자기 오심, 구토, 설사의 증상이 발생한다. 증상은 24-60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으나 대개 48시간 이상 지속되지는 않아 빠르게 회복된다. 소아에서는 구토가 흔하고 성인에서는 설사가 흔하게 나타난다. 두통, 발열, 오한 및 근육통과 같은 전반적인 신체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발열이 절반의 환자에서 발생한다. 물처럼 묽은 설사가 하루에 4~8회 정도 발생한다. 노로바이러스 장염은 소장에 염증을 일으키지 않는 형태의 감염이기 때문에 피가 섞이거나 점액성의 설사는 아니다.
1.2.4. 진단검사
환자의 토사물이나 분변 등의 검체에서 노로바이러스에 특이적인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시행하여 바이러스 핵산을 검출하거나 효소면역법(ELISA)으로 바이러스 유사입자를 검출하여 노로바이러스 감염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에는 전자현미경이나 면역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요양원, 캠프, 군대, 지역 사회에서 발생하는 비세균성 위장염의 경우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진단을 위해서는 환자의 병력과 함께 검체 검사를 실시한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의 진단은 병력, 신체검진, 환자의 수화상태와 함께 원인균 확인을 위한 검사결과에 근거한다. 병력 조사를 통해 최근 감염성 원인균 노출 여부, 여행력, 오염된 음식물과 물의 섭취 여부, 애완동물 접촉, 보육시설 출석 등의 정보를 확인한다.
소변의 빈도, 양, 색깔 등 수화상태를 사정하고, 대변의 특성, 빈도, 양 등을 조사한다. 이와 함께 질환 전 체중과 비교한 최근 체중 변화도 확인한다.
실험실 진단을 위해 PCR, 대변배양, ELISA 등의 검사를 시행한다. PCR은 환자의 가검물에서 RNA를 채취해 확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