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보호전문기관에 아동학대부모교육 지원 협조공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아동보호전문기관에 아동학대부모교육 지원 협조공문
2. 실습내용 및 평가
2.1. 실습목표
2.2. 실습 일정
2.3. 실습종합평가
2.3.1. 수행한 실습내용 및 역할의 요약
2.3.2. 업무관리
2.3.3. 전문성
2.3.4. 기관과 지역사회와의 네트워크
2.4. 실습후기
3. 사회복지현장실습 신청서
4. 실습생 프로파일
5. 실습기관 분석 보고서
6. 실습일지
7. 프로그램 계획서
8. 실습중간 평가서
9. 실습종결 평가서
10. 실습소감문
11.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아동보호전문기관에 아동학대부모교육 지원 협조공문
아동보호전문기관은 가정과 지역사회 내에서 아동학대 문제에 적극 개입하여 아동의 안전과 권리를 보호하고자 하는 기관이다. 아동학대는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저해하는 심각한 문제이므로, 아동보호전문기관은 아동학대 예방과 조기 발견, 신고, 조사, 사례관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중에서도 아동학대부모교육은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핵심적인 프로그램이다. 아동학대 가해자인 부모를 대상으로 아동발달과 양육 방법, 분노조절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부모의 양육 능력을 향상시키고 아동학대 재발을 방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가정 내 아동의 안전과 권리를 보장하고자 한다.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아동학대부모교육은 전문성 있는 지도와 체계적인 프로그램 운영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아동보호전문기관은 관련 분야 전문가들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 이에 관련 기관들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가 요구된다.
특히 사회복지기관, 보건의료기관, 교육기관 등은 아동학대 사례 발견과 신고, 사례관리, 부모교육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들 기관들이 아동보호전문기관과 협력하여 아동학대부모교육을 지원한다면, 교육의 질적 향상과 실효성 제고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회복지기관은 아동학대 고위험군 부모를 발굴하여 아동보호전문기관으로 연계하고,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독려할 수 있다. 보건의료기관은 아동학대 의심 사례를 신속히 신고하고, 학대피해 아동의 치료와 재활을 지원할 수 있다. 교육기관은 아동학대 예방 교육을 실시하고 학대가 의심되는 아동을 발견하여 전문기관에 알릴 수 있다.
이처럼 관련 기관들이 아동보호전문기관과 협력하여 아동학대부모교육을 지원한다면, 아동학대 예방과 재발 방지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를 통해 우리 사회의 건강한 아동 보호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실습내용 및 평가
2.1. 실습목표
사회복지 이론을 실제 현장에 적용해보고, 지역아동센터의 운영 전반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센터 내 아동들과의 상담, 학습지도, 프로그램 보조 활동을 통해 아동복지 실천 기술을 익히고자 한다. 또한 센터의 행정업무, 자원봉사자 및 후원자 관리 등의 운영 전반을 경험하여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와의 네트워크 실태를 파악하여 아동복지 서비스 연계의 필요성과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2. 실습 일정
실습생은 총 15회에 걸쳐 실습을 진행하였다. 1회차에는 오리엔테이션을 통해 기관 및 사업을 소개받고 실습 안내를 받았으며, 프로그램과 일과를 참관하였다. 2회차에는 지역아동센터 지원 사업의 개요와 설치/운영에 대한 내용을 배웠고, 프로그램과 일과를 참관하였다. 3회차에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절차 및 신청 서류,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의 아동 관리 기능에 대해 배웠으며, 학습지도, 자유놀이 지도, 프로그램 참관 및 보조, 위생·식사·귀가 지도 등을 수행하였다. 4회차에는 아동 안전교육 자료를 수집·정리하고, 물품 및 비품 관리를 하였으며 앞선 실습 활동들을 계속하였다. 5회차에는 4회차와 유사한 활동을 하면서 추가로 아동 안전교육 자료를 수집·정리하였다. 6회차에는 도서관 관리 업무와 자원봉사자 관리 업무를 수행하였고, 앞선 실습 활동들도 지속하였다. 7회차에는 6회차와 유사한 도서관 관리 업무와 인사관리, 시·군·구 보고 공문 작성 등의 행정 업무를 수행하였다. 8회차에는 지역사회 연계 자료 분류 및 정리, 후원자 관리 업무를 수행하였으며 실습 활동들도 지속하였다. 9회차와 10회차에는 프로그램 계획서·일지·평가서 작성, 아동 관찰기록 일지 지도 및 작성을 수행하였고 실습 활동들도 병행하였다. 11회차와 12회차에는 프로포절 제안서 작성법 지도, 프로포절 제안서 작성, 아동 상담일지 작성 및 지도 등의 업무를 하였으며 실습 활동들도 지속하였다. 13회차에는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 안내와 회계 업무를 수행하였고, 14회차에는 13회차와 유사한 회계 업무와 운영일지, 차량운행일지 작성 등의 행정 업무를 하였다. 마지막 15회차에는 실습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평가하는 시간을 가졌다.
2.3. 실습종합평가
2.3.1. 수행한 실습내용 및 역할의 요약
실습교육과 활동에 참여하여 실습기관과 사회복지실천 기술을 익혔다. 아동들의 식사보조, 학습지도, 자유놀이지도, 아동들과의 상담을 통해 아동들의 생활 도우미 역할을 수행하였다. 타 지역아동센터의 방문이 현실적으로 어려워 인터넷으로 아동센터의 자원 활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확인하고 파악하였으며, 실습지침서를 통해 지역아동센터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찾아보고 공부하였다. 실습 기간 중 주어진 업무나 과제 등을 성실히 임하였고, 실습 지도자 생활 복지사가 친절하게 잘 대해주셨으며 타 직원들과도 원만히 지낼 수 있도록 잘 대하여 주셔서 불편함은 없었다. 타 실습생과 자원봉사자, 근로학생들과도 사회복지를 공부하는 학생인만큼 무척 쉽게 이질감 없이 잘 지낼 수 있었다. 평소에도 아이를 좋아해서 적극적으로 아이들과의 관계는 물론 상담과 학습지도를 할 수 있었다.
2.3.2. 업무관리
타 지역아동센터의 방문이 현실적으...
참고 자료
보건복지부, “2022년 모자보건사업 안내(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의료비 지원, 저소득층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등)”, 2022.01.07.(수정:2022.01.12.),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69619
육아정책연구소, “영유아 양육 및 보건의료 통합지원 체계 구축”, 2018.11.30., https://kicce.re.kr/main/board/view.do?menu_idx=21&manage_idx=30&board_idx=28256
신생아청각선별검사 온라인교육사이트, “신생아청각선별검사”, https://www.hearingscreening.or.kr/data/index.php, 2022.10.13
신생아청각선별검사 온라인교육사이트, “사업 연혁”, https://www.hearingscreening.or.kr/intro/sub2.php, 2022.10.13
김영신, “선천성 난청 검사 및 영유아 보청기 지원 사업 참여 저조”, <메디컬월드뉴스>, 2021.04.07., http://medicalworldnews.co.kr/m/view.php?idx=1510941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