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간호사를 위한 혈액검사 정리 및 해석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간호사를 위한 혈액검사 정리 및 해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혈액검사 정리 및 해석
1.1. 혈액학적 검사
1.1.1. 전 혈구 검사(CBC)
1.1.2. 혈액 지혈기능검사
1.1.3. 혈액형 검사와 수혈
1.2. 탄수화물 검사
1.3. 단백질 검사
1.4. 단백질 대사물 검사
1.5. 혈액 주효소(Enzyme) 검사
1.6. 전해질 검사
1.7. 동맥혈 가스분석
1.8. 내분비 검사 및 임신관련 검사
1.9. 신장계 검사
1.10. 심혈관 검사
1.11. 면역계 검사
1.12. 염증 관련 검사
1.13. 종양 표지자 검사
1.14. 약물 검사

2. 전 혈구 검사(CBC)
2.1. 적혈구 검사
2.2. 혈색소와 헤마토크릿
2.3. 적혈구 지수
2.4. 적혈구 침강속도(ESR)
2.5. 백혈구 검사
2.6. 백혈구 수 감별검사
2.7. 혈구형태검사

3. 혈액 지혈기능검사
3.1. 출혈시간(Bleeding Time, BT)
3.2. 혈소판(thrombocyte, platelet)
3.3. 프로트롬빈 검사(prothrombin time: PT)
3.4.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과 활성화된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4. 혈액형 검사와 수혈
4.1. ABO 혈액형 검사
4.2. Rh 혈액형 검사
4.3. 글로불린 침강소 검사(Coombs' Tests)
4.4. 헌혈과 수혈검사(blood transfusion)

5. 탄수화물
5.1. 혈당(Blood Glucose)
5.2. 당화혈색소(HbA1c)
5.3. 케톤체 검사
5.4. 경구 당부하검사(Oral Glucose Tolerance Test)

6. 단백질
6.1. 혈청 단백질
6.2. 암모니아(Ammonia)
6.3. 빌리루빈(Bilirubin)

7. 단백질 대사물

8. 혈액 주효소(Enzymes)
8.1. AST,(SGOT)와 ALT(SGPT)
8.2. 알칼리성 포스포타제(Alkaline Phosphatase, ALP)와 산성 포스포타제(Acid Phosphatase, ACP)
8.3. Gamma Glutamyl Transpeptidase. GGT, γ-GT
8.4. 혈청 아밀라아제(Serum Amylase)
8.5. 혈청 리파아제(Serum Lipase)

9. 전해질
9.1. 혈청 나트륨(Serum Sodium: Na)
9.2. 칼륨(Potassium: K)
9.3. 염소(Chloride: Cl)
9.4. 칼슘(Calcium: Ca)
9.5. 혈청 인(산)(Serum Phosphorus/Phosphate: P)
9.6. 혈청 마그네슘(Serum Magnesium: Mg)
9.7. 혈청 삼투압 농도(Serum Osmolality)

10. 동맥혈 가스분석
10.1. 산도(pH)
10.2. 산소 분압(pO2)
10.3. 이산화탄소 분압(pCO2)
10.4. 중탄산염과 염기 과다

11. 내분비 검사
11.1. 뇌하수체 호르몬
11.2.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
11.3. 갑상선자극호르몬(TSH)
11.4. 항이뇨호르몬(ADH, Vasopressin)

1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혈액검사 정리 및 해석
1.1. 혈액학적 검사
1.1.1. 전 혈구 검사(CBC)

전 혈구 검사(complete blood count: CBC)는 혈액의 혈구들을 분석하는 검사이다. 혈구는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세포에서 생성된 노폐물, 세균, 외부 유해물질을 제거하며 출혈 시 혈액을 응고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전 혈구 검사를 통해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의 양적 및 질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검사는 외래 및 수술 전 기본검사로 가장 많이 시행되며, 악성혈액질환의 진단 및 추적 관찰에도 유용하다. 특히 적혈구의 수, 적혈구용적률(Hct), 혈색소 농도(Hb), 적혈구지수, 백혈구의 수 및 감별계산, 혈소판의 수와 평균 혈소판용적(MPV)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범혈구 감소증, 백혈적혈모구증, 심한 혈구 증가증, 원인을 알 수 없는 빈혈 등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으며, 필요시 골수검사를 시행한다.

검체는 진공채혈관의 보라색 마개를 사용하여 정맥에서 채취한다. EDTA라는 항응고제와 혈액이 잘 섞이도록 조심스럽게 흔들어 준다. 영아와 아동의 경우 손가락이나 발꿈치의 모세혈관에서 채취한다.

이 검사를 통해 혈액학적 평가, 골수 기능에 대한 정보 제공, 약물 치료 효과 모니터링, 혈액질환 진단 등에 활용된다. 특히 적혈구 검사에서는 적혈구 수와 그 변동 양상, 빈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적혈구 수가 부족하면 피로와 허약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반대로 과다하면 혈액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혈색소와 헤마토크릿은 적혈구가 조직으로 산소를 운반하는 능력을 반영한다. 이 수치가 감소하면 각 장기조직이 산소 결핍을 겪게 된다. 적혈구 지수인 MCV, MCH, MCHC, RDW는 빈혈의 원인 파악에 유용하다.

백혈구 검사에서는 백혈구 수와 감별계산을 통해 감염, 염증, 면역질환 등을 진단할 수 있다. 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 림프구, 단핵구 등 각 세포형의 변화 양상을 확인한다.

혈구형태검사는 각 혈구의 크기, 모양, 분포 등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혈액질환을 진단하고 경과를 관찰하는 데 활용된다. 적혈구는 정상 색소성, 저색소성, 고색소성으로, 백혈구는 미성숙 세포 증가 등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종합하면, 전 혈구 검사는 혈액 생성과 관련된 다양한 병적 상태를 진단하고 치료 경과를 모니터링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본 검사라고 할 수 있다.


1.1.2. 혈액 지혈기능검사

혈액의 응고능력과 지혈에 필요한 요소들의 정상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는 검사이다. 혈액응고에 필수적인 혈소판, 응고인자, 및 섬유소용해 체계 등의 작용과 기능을 확인한다.

출혈시간 검사를 통해 1차 지혈에 관여하는 혈소판과 혈관의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혈소판 수와 기능을 확인하고, 프로트롬빈 시간과 활성화 부분트롬보플라스틴 시간 검사로 2차 지혈에 관여하는 응고인자들의 기능을 파악할 수 있다.

출혈시간 검사는 귓볼이나 손가락에 절개를 가해 출혈이 멈출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정상 출혈시간은 2~9분 사이이다. 혈소판 수가 부족하거나 기능이 저하되면 출혈시간이 연장된다.

혈소판 수 검사는 혈액 1mm3당 150,000~400,000개의 혈소판이 있어야 정상이다. 혈소판 수가 감소하면 점상출혈, 반상출혈, 자주 발생하는 타박상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프로트롬빈 시간 검사는 혈액응고 과정 중 외인성 경로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정상 범위는 10~15초이며, 이 시간이 연장되면 간기능 저하나 비타민K 결핍을 의미한다.

활성화 부분트롬보플라스틴 시간 검사는 내인성 경로의 이상을 확인한다. 정상 범위는 20~40초이며, 이 시간이 연장되면 혈우병이나 파종성 혈관내 응고 등의 이상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혈액 지혈기능검사를 통해 출혈성 경향, 혈액응고 장애, 항응고제 치료에 대한 반응 등을 평가할 수 있다. 검사 결과에 따라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


1.1.3. 혈액형 검사와 수혈

ABO 혈액형 검사와 Rh 혈액형 검사는 수혈 및 임신 관련 합병증 예방을 위해 시행된다.

ABO 혈액형 검사는 A, B, AB, O의 4가지 혈액형을 구분하며, 이는 적혈구 표면의 항원 차이에 따른 것이다. A형은 A 항원, B형은 B 항원, AB형은 A, B 항원 모두를 가지고 있으며, O형은 A, B 항원이 없다. 이에 따라 각 혈액형에 대한 항체 반응이 결정된다.

Rh 혈액형 검사는 적혈구 표면의 D 항원 유무를 확인하는 것으로, Rh(+)는 D 항원이 있고 Rh(-)는 없다. Rh(-)인 산모가 Rh(+) 태아를 임신하는 경우, 산모에서 태아의 Rh 항원에 대한 항체가 생성될 수 있어 혈액형 부적합 용혈성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 임신 중 Rh 항체에 대한 검사를 수행한다.

Coombs' Tests는 항글로불린 혈청을 이용하여 적혈구 막에 결합된 불완전 항체나 보체를 검출하는 검사이다. 직접 Coombs' Test는 환자의 적혈구에 결합된 항체나 보체를 확인하고, 간접 Coombs' Test는 수혈 전 환자의 혈청에 존재하는 항체를 확인하여 용혈성 수혈 반응의 위험을 평가한다.

수혈을 위해서는 ABO, Rh 혈액형 검사와 Coombs' Test를 통해 수혈자와 공혈자의 혈액형 적합성을 확인해야 한다. 이를 위해 수혈 전 교차 시험을 실시하여 용혈성 반응의 가능성을 배제한다. 또한 수혈 중과 후에 활력징후 변화, 출혈, 발열 등의 합병증 징후를 관찰하며 적절한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


1.2. 탄수화물 검사

탄수화물은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거나 포도당, 갈락토오스, 과당과 같은 단당류의 형태로 간과 근육에 저장된다. 의학적으로 중요한 탄수화물에는 혈당, 당화혈색소, 케톤체, 경구 당부하검사가 있다.

혈당(Blood Glucose)은 공복 시 평균 80mg/dL로 유지되며, 식후 2시간 평균 혈당은 이보다 20~60mg/dL 높다. 공복 혈당이 126mg/dL 이상이거나 식후 2시간 혈당이 200mg/dL 이상이면 당뇨병으로 진단한다. 고혈당 증상으로는 다뇨, 다갈, 미병 등이 있으며, 저혈당 증상으로는 두통, 불안감, 의식상실 등이 나타난다.

당화혈색소(HbA1c)는 1~3개월 평균 혈당을 반영하는 지표로, 정상 범위는 4~6%이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 9% 이상이 되면 혈당 관리가 잘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케톤체 검사는 탄수화물 대사 장애로 인한 지방 분해 증가를 확인하는 것으로, 정상적인 탄수화물 대사에서는 혈액이나 소변에서 케톤체가 검출되지 않는다. 당뇨병성 케톤산증과 같은 질환에서 케톤체 수치가 증가한다.

경구 당부하검사(OGTT)는 일정량의 포도당을 경구로 투여한 후 일정 시간 간격으로 혈당과 소변 당을 측정하여 탄수화물 대사 장애를 진단한다. 정상의 경우 2시간 혈당이 140mg/dL 미만이며, 소변 당은 음성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다양한 탄수화물 관련 검사를 통해 당뇨병이나 대사성 질환 등을 진단하고 치료 효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1.3. 단백질 검사

단백질은 세포 안에 가장 풍부하게 존재하는 거대분자이다. 아미노산이 연결된 펩타이드 결합된 폴리펩타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혈장 내 주요 단백질에는 알부민, 글로불린, 피브리노겐 등이 있다.

알부민은 간에서 합성되며, 삼투압 유지와 혈액 내 각종 물질 운반에 기여한다. 알부민 수치의 저하는 간세포의 합성 저하, 신장으로의 과도한 배출, 대사 변성 증가 등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글로불린은 림프구 B세포에서 분화한 형질세포(항체생성세포)에서 생성된 항체 활성을 가진 단백질이다.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이라고도 불린다. IgG, IgA, IgM, IgD, IgE 등 5종류의 다양한 항원을 가지고 있다.

알부민과 글로불린의 비율(A/G)은 간경변의 중증도를 지표할 수 있다. A/G 비가 1.5 미만이면 만성간염에서 간경변으로의 이행을 의미하며, 1.0 전후까지 내려가면 간경변이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저알부민혈증은 급만성 간질환, 신기능 장애 등으로 인한 것이며, 고단백혈증은 갈증, 건조한 피부와 점막, 피부 탄력성 저하 등의 탈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단백질 대사물 검사에는 암모니아와 빌리루빈이 포함된다. 암모니아는 단백질 대사 과정에서 발생하며, 간기능 저하 시 상승한다. 빌리루빈은 적혈구 노화와 파괴에 따른 heme 분해물로, 간세포의 기능 저하나 담도 폐쇄 시 증가한다. 이런 단백질 대사물 수치의 변화는 간질환, 담도계 질환 등을 진단하는 데 활용된다.

이처럼 혈청 내 단백질과 그 대사물 검사는 영양 상태, 간 및 신장 기능, 면역 상태 등을 평가할 수 있는 주요한 지표가 된다.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다른 검사 결과와의 상관관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1.4. 단백질 대사물 검사

암모니아(Ammonia)는 단백질을 대사하는 과정에서 아미노산의 탈아미노화로 인해 형성되며, 장내 박테리아에 의한 단백질 변성을 통해서도 생성된다. 정상적으로는 매우 적은 양의 암모니아가 혈중에 존재한다. 이는 간에서 요소로 전환되는 과정을 통해 제거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간기능이 크게 저하되거나 간세포 기능이 감소하면 암모니아 수치가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고암모니아혈증은 간성뇌증과 간성혼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암모니아 검사는 진행된 간질환을 평가하고 치료 효과를 판단하는 데 활용된다.

빌리루빈(Bilirubin)은 혈색소의 착색된 heme 부분이 변성되어 생성되는 물질이다. 노화되거나 손상된 적혈구는 비장, 간, 골수 등에서 제거되며, 이 과정에서 빌리루빈이 생성된다. 혈액 내 지용성 빌리루빈은 간으로 운반되어 알부민과 결합하게 된다. 간세포는 이 빌리루빈을 알부민으로부터 분리하여 글루쿠론산과 결합시켜 수용성의 결합 빌리루빈으로 만든다. 결합 빌리루빈은 간관을 통해 담즙으로 배출되고, 일부는 다시 혈액으로 돌아가기도 한다. 빌리루빈은 정상 상태에서도 대변과 소변에서 색소로 나타나게 되며,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면 황달을 유발한다. 빌리루빈 검사는 간질환, 담도질환, 용혈성 빈혈 등을 진단하고 치료 경과를 모니터링하는 데 활용된다.

단백질 대사 과정에서 생성되는 대표적인 물질인 암모니아와 빌리루빈의 검사는 간기능 평가, 간질환 진단, 치료 효과 판단 등을 위해 중요하게 활용된다. 암모니아 수치 상승은 간성뇌증과 간성혼수를, 빌리루빈 수치 상승은 황달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간질환 여부와 중증도를 판단할 수 있다.


1.5. 혈액 주효소(Enzyme) 검사

혈액 내 효소는 각 조직세포에서 분비되어 체내 여러 대사작용을 조절하고 있으므로, 효소의 혈중농도 변화는 그 조직이나 기관의 병리상태를 반영한다. 따라서 혈액 내 특정 효소의 농도 변화를 측정하면 그 질환의 진단과 경과관찰에 활용할 수 있다. AST(SGOT), ALT(SGPT), ALP, ACP, GGT,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등이 대표적인 혈액 주효소 검사이다.

AST(SGOT)와 ALT(SGPT)는 주로 심근, 간, 골격근 및 신장 등에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이들 장기의 세포 변성 및 괴사를 반영한다. 따라서 간질환과 심장질환의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AST가 ALT보다 높은 경우 만성질환 상태, 낮은 경우 급성간염을 의미한다.

알칼리성 포스포타제(ALP)는 주로 간·담도계 상피와 뼈, 장기점막, 태반에 높게 분포하므로 간과 뼈 질환의 진단에 유용하다. 산성 포스포타제(ACP)는 전립선에 다량 함유되어 있어 전립선염, 전립선암 진단에 활용된다.

감마-글루타밀트랜스펩티다아제(GGT)는 주로 간세포에 많이 존재하며, 알코올성 간질환 진단과 치료경과 관찰에 유용하다.

혈청 아밀라아제는 주로 췌장과 타액선에서 분비되어 탄수화물 분해에 관여한다. 급성 췌장염 시 현저하게 증가하고, 약 2-3일 내에 정상으로 회복된다.

혈청 리파아제는 지방분해효소로 췌장염 진단에 아밀라아제보다 특이적이다. 췌장염 발병 24시간 내에 최고수준에 도달하고 7-14일 이내 정상화된다.

이처럼 혈액 내 특정 효소의 혈중농도 변화를 측정하여 해당 조직이나 기관의 병변을 진단하고 치료경과를 관찰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1.6. 전해질 검사

전해질은 체액에 녹아있는 이온으로, 체내 삼투압 농도, 수분 상태 및 pH의 수준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해질 농도 검사는 전해질 불균형을 초래하는 각종 질병의 감별진단 및 전해질 불균형의 교정에 활용된다. 주요 전해질로는 나트륨, 칼륨, 염소, 칼슘, 인, 마그네슘 등이 있으며, 이들의 농도를 측정하여 체내 항상성 유지 여부를 확인한다.

검사 전 혈청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소변 전해질 검사를 통해 혈액 전해질 불균형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혈청 칼륨 수치는 전혈이나 혈청보다 0.1~0.7mmol/L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혈소판 붕괴에 의해 칼륨 이온이 분리되어 나오기 때문이다. 또한 용혈이 있는 경우 적혈구로부터 유리된 칼륨에 의해 수치가 증가될 수 있다.

혈청 나트륨 농도는 135~145mmol/L 정상 범위를 유지해야 하며, 145mmol/L 이상이면 고나트륨혈증, 135mmol/L 이하이면 저나트륨혈증으로 진단한다. 나트륨은 세포외액에서 가장 많은 양이온으로, 삼투압 유지, 수분 균형, 산-염기 균형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혈청 칼륨 농도는 정상 범위 3.5~5.5mmol/L를 유지해야 한다. 칼륨은 세포내액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양이온으로, 심장 및 골격근의 전기적 충격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칼륨 수치가 5.5mmol/L 이상이면 고칼륨혈증, 3.5mmol/L 이하이면 저칼륨혈증으로 진단한다.

혈청 염소 농도는 정상 범위 98~107mmol/L를 유지해야 한다. 염소는 세포외액의 주요 음이온으로, 나트륨과 함께 수분 균형을 조절하고 산-염기 균형 유지에 기여한다. 110mmol/L 이상이면 고염소혈증, 95mmol/L 이하이면 저염소혈증으로 진단한다.

혈청 칼슘 농도는 정상 범위 8.2~10.2mg/dL를 유지해야 한다. 칼슘은 뼈와 치아 형성, 신경근 전도, 혈액 응고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에 관여한다. 10.5mg/dL 이상이면 고칼슘혈증, 6mg/dL 이하이면 저칼슘혈증으로 진단한다.

혈청 인 농도는 정상 범위 2.5~4.5mg/dL를 유지해야 한다. 인은 세포 내 중요한 음이온으로, 에너지 대사, 골격 형성 등에 관여한다.

혈청 마그네슘 농도는 정상 범위 1.6~2.6mg/dL를 유지해야 한다. 마그네슘은 나트륨, 칼륨, 칼슘의 항상성 유지와 효소 활성화에 필수적이다.

마지막으로 혈청 삼투압 농도는 정상 범위 280~300mOsm/kg을 유지해야 한다. 혈청 삼투압 농도는 수분-전해질 균형을 반영하며, 이의 측정을 통해 탈수, 과수화 등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전해질 검사를 통해 체내 항상성 유지 여부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하는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활용된다.


1.7. 동맥혈 가스분석

동맥혈 가스분석은 산소화와 환기 상태를 평가하거나 대사성질환이나 신장질환 등 산-염기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된다.

동맥혈 가스 분석의 구성요소로는 PaO2와 SaO2을 분석하여 폐의 산소화 기능을 평가하며, pH, PaCO2, HCO3를 분석하여 보상 정도와 산-염기 장애를 평가한다.

산도(pH)는 혈액의 산-염기 상태를 나타내며, 7.35~7.45의 정상 범위를 가진다. 저하되면 산혈증, 상승하면 알칼리혈증을 의미한다.

산소 분압(pO2)은 혈액 중 산소의 양으로, 110mmHg 이상이면 고산소혈증, 80mmHg 이하면 저산소혈증을 나타낸다.

이산화탄소 분압(pCO2)은 혈액 내 이산화탄소의 부분압을 나타내며, 폐에 의해 조절된다. 상승하면 이산화탄소 배출이 충분하지 못한 상태, 저하되면 과호흡으로 인해 이산화탄소가 과잉 소실된 상태를 의미한다.

중탄산염과 염기 과다는 대사성 알칼리혈증 상태나 호흡성 산혈증에 대한 보상 작용으로 중탄산염 농도가 상승하는 것을 나타낸다. 염기 과다(BE)는 보통 정상상태의 중탄산염 농도와 대상자의 중탄산염 농도 차이로 판단한다.

동맥혈 가스분석은 만성폐질환, 신경계 발작, 쇼크, 급성 심근경색 등 폐 환기와 심박출의 효율성을 평가하거나, 심부전, 호흡부전 등의 진단과 치료방향을 결정하는데 활용된다. 검체 채취 시 주의해야 할 점은 혈액이 공기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며, 체온에 따른 오차를 방지하기 위해 37도로 검체를 유지해야 한다. 또한 검사 전 2-3분간 호흡기 흡인을 하거나 FiO2를 변경한 경우 적정 시간 경과 후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1.8. 내분비 검사 및 임신관련 검사

내분비계는 호르몬을 분비하여 인체 내의 균형을 유지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호르몬은 내분비선에서 생성되어 혈류를 타고 표적세포로 운반되며, 표적세포의 호르몬...


참고 자료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수문사
진단검사와 간호 / 수문사 / 송경애 외 공저 / 1998
임상검사진단학 / 계축문화사 / 김준호 외
임상간호 매뉴얼 / 현문사 / 2002
모스비 의학사전 / 현문사
아동간호학 각론 / 현문사 / 2006
아동간호학 총론 / 현문사 / 2006
소아과학 / 대한교과서
케어캠프 http://www.carecamp.com/
건강샘 http://www.healthkorea.net/
너스케이프 http://www.nurscape.net/
강북삼성병원 진단검사의학과 http://www.kbsmc.co.kr/
경북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http://labmed.knu.ac.kr/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