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병동QI주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주제 선정 배경
2. 문헌고찰
2.1. 의료의 질 향상(Quality Improvement) 과정
2.2. 간호단위에서의 안전관리 중 낙상관리
3. 실습 간호단위 개요
4. 낙상예방 질 향상 활동 PDCA
4.1. Plan
4.1.1. 환자파악
4.1.2. 조직구성
4.1.3. 근본원인분석
4.1.4. 개선과제 개획
4.2. Do
4.3. Check
4.4. Act
5. 실습과제 수행 후 결론
6. 개선사항 및 제언
7. QI 활동 기대효과
8. 느낀 점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주제 선정 배경
입원 환자들의 낙상 예방과 관리에 대한 문제가 최근 들어 전국적으로 주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낙상은 환자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로 초기 대응에 실패하면 기능적 제한, 감염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욕창 환자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65세 이상 노인 환자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욕창으로 인한 사망자 수도 최근 수년간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입원 환자의 낙상 예방을 위한 질 향상 활동이 시급히 필요한 실정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적절한 환경 개선을 통해 낙상 사고를 30-50%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습 중인 종합병원 53병동을 대상으로 낙상 예방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의료의 질 향상(Quality Improvement) 과정
의료 시장의 개방으로 의료 시장 내 경쟁이 심화되고, 건강보험의 재정 악화, 고객의 알 권리 및 소비자 권리 보호 등으로 모든 사람들이 의료의 질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의료인들도 점차 질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질 향상(Quality Improvement, QI) 활동 과정은 문제 발견, 우선순위 결정, 문제 분석, 질 관리 연구, 개선과제 규명 및 활동 계획 수립, 개선과제 수행, 그리고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문제의 재평가로 구성된다. 먼저 문제를 규명하는 것은 질 관리 활동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도록 한다. QI팀은 전 직원이 포함되며 각자의 역할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자료 수집을 통해 개선해야 할 임상 활동을 선정한다. 다음으로 일차적인 자료 수집을 통해 가장 중요한 문제를 찾아내고, 문제의 원인과 관련 요인을 파악하는 문제 분석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를 바탕으로 가장 효과적인 개선과제를 규명하고 실행 계획을 수립한다. 개선과제 수행 후에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문제의 재평가를 통해 결과를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새로운 수정안을 계획하고 수행한다. 이와 같이 질 향상(QI) 활동은 지속적인 과정을 거치며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체계적인 활동이다. []
2.2. 간호단위에서의 안전관리 중 낙상관리
간호단위에서 환자 안전관리에 있어서 낙상 예방은 매우 중요하다. 낙상은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 중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위해 사건 중 하나이다. 입원환자의 낙상은 국내외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으며, 낙상이 발생할 경우 기능적 제한, 감염 등의 합병증으로 이어져 재원 기간 연장, 불필요한 의료비 상승, 심할 경우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치료도 중요하지만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낙상은 다른 질환과 달리 예측과 예방이 가능한 것으로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30-50%정도까지 낙상사고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낙상위험요인의 사정을 통해 적극적인 중재를 제공하면 예방이 가능하다. 특히 침대에서 내려오다가 낙상한 환자 중 50%는 보호자나 간병인의 도움 없이 혼자 화장실을 가려고 시도하다가 낙상한 경우이므로, 간호사의 낙상예방교육에도 불구하고 환자나 보호자가 지침을 수행하지 않은 것이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간호단위에서 체계적인 안전관리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거시적 차원에서의 안전관리는 전산장애, 화재, 재난 등 포괄적이면서 다수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사건들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을 말하며, 미시적 차원의 안전관리는 환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여러 가지 요소를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낙상예방은 미시적 차원의 안전관리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낙상예방을 위한 구체적인 방...
참고 자료
강나경, 2022년 간호관리학 임상실습지침서, 현문사, 2022, P85, P568-574
서울대학교병원 질 향상 활동 소개(93p, May, Jun 2005, 서울대학교병원 기획조정실 QA전담반, 대한병원협회지)
진료재료의 관리개선을 통한 운영재고 절감 방안(74p Number 1, 2013, 김경미, 박지혜,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수술실,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er vol.19 no.1)
상급종합병원 진료협력센터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회송률 향상 활동 [2021년 QI 우수 사례 발표]
https://www.youtube.com/watch?v=lyTPmQzwzXw
피부관찰기록지 이용여부에 따른 요양병원 간호 인력의 욕창간호 지식과 수행도 및 욕창발생률 - 최승은, 양남영 - 가정간호학회지, 2020 kmbase.medric.or.kr
간호사가 알려주는 건강과 재활가이드
https://www.youtube.com/watch?v=-cWHSdvIyy
인하대학교병원_서15병동_욕창예방드레싱메뉴얼, 『욕창예방 체위변경표』
인하대학교병원_서15병동_물품장부, 차용장부, 비품관리 장부, 의료장비 장부, CSR 장부
개정 6판 학습성과기반 간호관리학 수문사 염영희 외 공저 615~625p, 655~673p
단국대학교병원 환자안전사건 관리 [정책/지침]Ⅱ 2018.10.19. 670~673p
<제9판> 간호실무지침서 단국대학교 간호부
종합병원 입원환자의 병원내 안전교육에 관한 연구 : 낙상사고를 중심으로 한미정 학위논문(석사)- 순천향대학교 건강과학대학원 : 병원서비스경영학과 병원서비스경영 2014. 2
환자안전사고, 대부분 보건의료인의 부주의로 발생 2018/11/01 임성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