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50세 사회복지사2급을 앞둔 미래를 위한 계획"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베이비부머 세대의 개념과 특징
1.1. 베이비부머 세대의 정의와 개념
1.2. 베이비부머 세대의 주요 특징
2. 베이비부머 세대의 노후준비 현황
2.1. 경제적 준비 수준
2.2. 건강관리 및 여가활동 준비
2.3. 가족관계와 주거 준비
3. 한국의 노인복지 정책
3.1. 잔여적 복지정책
3.2. 제도적 복지정책
4. 베이비부머 세대와 노인복지정책의 과제
4.1. 연금제도 개선
4.2. 노인건강관리 강화
4.3. 노인 일자리 창출
4.4. 재가복지서비스 확충
4.5. 노인주거복지 개선
5. 결론 및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베이비부머 세대의 개념과 특징
1.1. 베이비부머 세대의 정의와 개념
베이비부머 세대는 전쟁 이후 탄생률이 급격히 증가한 시기에 태어난 출생 코호트를 의미한다. 베이비부머 세대는 전쟁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은 없지만 근대화와 경제개발을 겪으며 성장한 세대이다. 이들은 1955년부터 1963년 사이에 태어난 것으로 정의되며, 2015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생산가능인구의 20%를 차지하고 있다. 베이비부머 세대는 한국전쟁 이후 출산장려정책으로 태어난 세대로, 약 800만 명이 등록되어 있다. 전후 복구와 경제개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우리나라 근현대사의 주역이 된 세대이다.
1.2. 베이비부머 세대의 주요 특징
베이비부머 세대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4.5%를 차지하는 거대 인구집단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베이비부머 세대는 한국전쟁 이후인 1955년부터 1963년 사이에 약 800만 명이 출생하며 형성된 인구집단이다. 이들은 경제개발 5개년 계획으로 상징되는 근대화 물결 속에서 성장하며 반공이데올로기, 유신시대의 역사적 경험을 내면화한 세대이다.
둘째, 베이비부머 세대는 산업화시기를 겪으면서 사회의 경제적 발전에 적극적으로 기여한 세대이다. 이들은 IMF 등의 영향을 직접 겪으면서 경제적 부흥과 어려움을 모두 경험한 세대로 볼 수 있다.
셋째, 가족관계 측면에서는 무엇보다 부부관계의 중요성이 증대하였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경우 자녀 수 감소로 노후 생활에 자녀의 가용성이 감소하였고, 동시에 부모 부양과 자녀 교육에 대한 부담을 짊어져야 하는 세대라는 특징이 있다.
넷째, 베이비부머 세대는 우리나라 중산층의 전형적인 모습으로 볼 수 있다. 이들은 어렵게 신혼생활을 시작하여 자식을 낳아 공부시키면서 내 집 마련을 가장 큰 목표로 삼았으며, 점점 성공하면서 부동산을 통해 자산을 늘려왔다. 실제로 베이비부머 세대의 자산 중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다.
다섯째, 베이비부머 세대는 경제성장, 사교육, 구조조정, 부동산 붐 등 사회변화의 중심에 서 있던 세대이다. 이들은 부모세대의 부양과 자녀세대의 교육에 대한 부담을 동시에 지며 자신의 노후를 제대로 준비하지 못한 경향이 있다.
2. 베이비부머 세대의 노후준비 현황
2.1. 경제적 준비 수준
베이비부머 세대의 경제적 준비 수준을 살펴보면, 이들은 전반적으로 은퇴 준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통계청(2017)에 따르면 50세~59세 대상 조사 결과 82%가 노후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방법으로는 국민연금이 가장 많았고, 예금 및 저축성 보험, 사적연금, 기타 공적연금, 퇴직금 등의 순이었다.
그러나 베이비부머 세대 스스로 평가한 은퇴 준비 상황을 보면, 은퇴 이후 생활비로 대부분 200만원 정도를 예상하고 있는데, 이는 현재 가계 소득의 약 52%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중 이미 준비를 마쳤거나 잘 진행 중인 경우는 고작 27%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준비가 다소 차질이 있거나 아직 시작조차 하지 못한 상황이었다.
이처럼 베이비부머 세대의 경제적 준비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개인이 은퇴 후 소득 대부분을 책임져야 하는 우리나라 현실에서 이들의 부족한 준비는 향후 경제적 어려움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정부 차원의 다각도 정책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2.2. 건강관리 및 여가활동 준비
베이비부머 세대의 건강관리 및 여가활동 준비는 다음과 같다.
베이비부머 세대들은 노후에 건강한 생활을 하기 위한 방안으로 흡연을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정기적인 건강검진, 규칙적인 생활, 체중 관리, 정기적 운동, ...
참고 자료
이민욱 커리어교육사업팀장 (직장인의 자기계발과 직무능력 배양 목적) 2006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 토머스 프리드먼 (세계는 평평하다..인용글) 2006
조영탁 e러닝업체 휴넷의 대표 (학습목표와 선순환) 2006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 (부의 미래 - 무용지식(obsoledge)과 지식창출의 중요성) 2006
취업포털커리어(www.career.co.kr) [전국직장인 1662명 자기계발조사결과]2006.12.31
백찬규,젊은노인의탄생-베이비부머가 대한민국 경제지도를 바꾼다.원앤원북스
김미령,김주현외 공저,베이비붐세대의 노후준비와 삶의 질,학지사
이경남외(2012),사회복지개론.공동체
네이버 지식백과 (www.naver.com)
에듀넷 (http://www.edunet.net)
통계청-한국의 사회동향,2011(http://kostat.go.kr)
국민연금공당.2011-국민노후보장패널소식지(http://csa.nps.or.kr/)
남병탁,신효진,엄태영외 공저, 베이비부머에 대한 이해,경일대학교 BBLD 양성사업단
조현승,이동희,고대영,김승민,2017, 우리나라 각 세대의 특징 및 소비구조 분석
권중돈 외,2016, 사회복지개론, 학지사
오병철,2012, 베이비붐 세대 남성 직장인들의 퇴직 태도, 노후준비, 노년기 사회잠여 의항, 한서대학교 대학원, P250
하만복(2017), 기회와 위험이 공존하는 미래 이야기, 도솔
장은주(2016), 베이비붐 세대에 대한 연구 동향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p4
권중돈 외(2016), 사회복지개론, 학지사
장익(2012),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생성감과 노화불안, 한서대학교 대학원, p9
오병철(2012), 베이비붐 세대 남성 직장인들의 퇴직 태도, 노후준비, 노년기 사회참여 의향, 한서대학교 대학원, p25
이경남 외(2012), 사회복지개론, 공동체
김영완(2010), 우리나라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생활 준비 실태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대학원, p34-p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