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모성간호학 실습 사전학습 a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최초 생성일 2025.08.10
5,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모성간호학 실습 사전학습 a"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모성간호학 실습 사전학습
1.1. 용어 및 약어
1.2. 분만의 생리
1.2.1. 정상분만의 정의
1.2.2. 정상분만의 기전
1.2.3. 분만의 전구증상
1.2.4. 분만 기간
1.3. 분만 제 1기의 간호관리
1.3.1. 소요시간
1.3.2. 복부진찰 및 내진
1.3.3. 관장
1.3.4. 분만통증 완화법
1.3.5. 태아상태 관찰
1.4. 분만 제 2기의 간호관리
1.4.1. 소요시간
1.4.2. 태아상태
1.4.3. 모체상태
1.5. 분만 제 3기의 간호관리
1.5.1. 소요시간
1.5.2. 태반 박리 증세
1.5.3. 태반 배출 방법
1.5.4. 회음절개술
1.6. 분만 제 4기의 간호관리
1.6.1. 소요시간
1.6.2. 태반 검사
1.6.3. 출혈량 측정
1.7. 산욕생리
1.7.1. 산욕기 정의
1.7.2. 자궁퇴축
1.7.3. 오로
1.7.4. 산후통
1.7.5. 배뇨 및 배변간호
1.7.6. 회음부 간호
1.7.7. 유방간호
1.7.8. 영양섭취
1.7.9. 휴식과 수면
1.7.10. 조기이상
1.7.11. 감염예방
1.7.12. 목욕
1.7.13. 산욕기 우울
1.7.14. 성생활
1.7.15. 산욕기 운동
1.8. 산욕부 사례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모성간호학 실습 사전학습
1.1. 용어 및 약어

abstinence는 금욕, 금단, 절제를 의미한다. after pain은 산후통이며, agalactia는 젖마름증이다. amenorrhea는 무월경이며, anovulatory는 무배란을 의미한다. areola는 유륜이며, asphyxia는 질식을 의미한다. bartholinitis는 바르톨린샘염이며, bladder distension은 방광팽만을 뜻한다. coitus와 sexual intercourse는 성교를 의미한다. colostrum은 초유이며, conization은 자궁원추절제술을 말한다. contraception은 피임이며, culdocentesis는 맹낭천자이다. cracked nipple은 유두균열, cystocele은 방광탈출증을 의미한다. diuresis는 이뇨이며, dysmenorrhea와 menorrhalgia는 월경통과 월경과다를 뜻한다. ectopic pregnancy는 자궁외임신이며, endometriosis는 자궁내막증을 의미한다. engorgement는 충혈을 말한다. gonorrhea는 임질이며, Homan's sign은 호만스 징후를 뜻한다. hydatidiform mole는 포상기태이며, inversion of uterus는 자궁내번증을 의미한다. laceration은 열상을 뜻한다. lactogenic hormone은 젖분비 자극 호르몬이며, lochia는 오로를 의미한다. mastitis는 유선염이며, menarche는 초경을 뜻한다. menopause는 폐경을 말한다. metrorrhagia는 부정자궁출혈이며, missed abortion은 계류유산을 의미한다. myoma uteri는 자궁근종이다. oophorectomy는 난소절제술이며, oozing은 삼출, 진물을 뜻한다. ovulation은 배란이며, parametritis는 자궁주위염을 의미한다. parity는 출산력이고, pitting edema는 요흔성 부종을 말한다. polyhydramnios는 양수과다증이며, polyp은 폴립(용종)을 뜻한다. postpartum은 산후의를 의미한다. postpartum blues는 산후 우울감(중)을 말한다. post term infant는 과숙아이며, prolapse of uterus는 자궁탈출을 의미한다. puerperium은 산욕기를 뜻한다. pulmonary embolism은 폐색전을 말한다. rectovaginal fistula는 직장질누공이며, rooming-in은 모자동실을 의미한다. rubella는 풍진이다. salpingectomy는 난관절제술이며, salpingitis는 난관염을 뜻한다. self care behavior는 자가간호수행을 의미한다. sitz bath는 좌욕이며, supression of lactation은 유즙분비억제를 말한다. syphilis는 매독이며, taking-in phase는 소극기를 의미한다. salpingectomy는 난관절제술이고, salpingitis는 난관염을 뜻한다. thrombophlebitis는 혈전정맥염이며, toxemia는 중독증을 말한다. uterine prolapse는 자궁탈출이다. vaginal douch는 질세척이며, vaginitis는 질염을 뜻한다. vulvectomy는 외음절제술을 의미한다.

약어로는 BSE가 유방 자가검진을, BSO가 양측 난관난소 절제술을 나타낸다. DIC는 범발성 혈관내 응고장애, DUB는 기능장애 자궁출혈을 말한다. GDM은 임신성 당뇨, HCG는 융모생식샘자극호르몬을 의미한다. hPL은 태반락토겐이며, HRT는 호르몬 대체요법을 뜻한다. HSV는 단순포진 바이러스이다. IVF는 체외수정, PID는 골반 염증성 질환을 의미한다. PPH는 산후출혈, PRL은 프로락틴을 말한다. STD는 성매개성질환이며, TAH는 복식전자궁절제술, TLH는 복강경하 전자궁절제술, TVH는 질식전자궁절제술을 뜻한다.

이와 같이 모성간호학과 관련된 다양한 용어와 약어를 정의하여 숙지하는 것은 간호실무 및 교육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이를 통해 간호사는 산모와 신생아 관리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1.2. 분만의 생리
1.2.1. 정상분만의 정의

정상분만의 정의는 태아가 분만예정일을 전후하여 정상산도를 통해 자연적으로 만출력에 의해 만출되고, 또한 모아 모두 장애가 없는 것을 의미한다. 정상분만이 되기 위해서는 만출력, 태아 및 부속물, 산도 등에 문제가 없고 분만시간, 출혈량 등에 이상이 없는 것이 필요하다. 분만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는 만출력, 만출물, 산도, 산모의 자세, 산모의 심리상태 등이 있다.


1.2.2. 정상분만의 기전

태아는 임신 기간 동안 자궁 내에서 성장하다가 분만 시에는 태아의 크기와 모양, 위치에 적응하며 정상적인 경로를 통해 태어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분만의 기전이라고 하며, 태아는 '진입, 하강, 굴곡, 내회전, 신전, 복구 및 외회전, 만출'의 순서로 진행된다.

태아의 가장 긴 직경인 대횡경선이 골반 입구를 통과할 때를 진입이라 하며, 이는 초산부의 경우 분만 2주 전에, 경산부의 경우 분만 시작 전에 일어난다. 태아의 선진부는 양수의 압력, 자궁수축, 복부 근육 수축에 의해 점차 하강하여 골반출구를 향하게 된다.

선진부의 하강 정도는 station으로 표시하는데, 좌골극을 중심으로 -5 ~ +5, 또는 3등분하여 -3 ~ +3으로 나타낸다. 선진부가 하강하면서 골반의 저항으로 인해 태아의 선진부는 굴곡되어 태아의 턱이 앞가슴에 붙게 된다. 이는 전후경선에서 가장 짧은 사경(9.5cm)으로 대치되어 골반강을 통과하기 용이해진다.

계속해서 선진부는 골반출구에 이르기 위해 내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 때 시상봉합이 골반의 전후경선에 일치하도록 회전한다. 내회전된 선진부가 회음부에 닿게 되면 후두가 치골결합 하단에 닿게 되어 신전이 일어나고, 이후 선진부가 질구를 통해 만출된다.

만출 후 선진부는 원래의 태향으로 45도 회전하는 복구가 일어나고, 다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완전히 측방태향이 되는 외회전이 일어난다. 이렇게 태아는 분만의 기전을 거쳐 자연스럽게 만출된다.


1.2.3. 분만의 전구증상

태아 하강감, 태동 감소, 가진통, 빈뇨, 이슬, 체중감소 등은 분만이 임박했음을 알려주는 전구증상이다.

태아 하강감은 아두가 골반강으로 내려오면서 골반 부분이 뻐근해지는 증상이다. 태동이 감소하는 것은 분만이 가까워지면서 태아의 움직임이 줄어드는 현상이다.

가진통은 분만이 시작되기 전에 발생하는 불규칙적인 자궁 수축으로 인한 통증이다. 빈뇨는 태아 하강으로 인해 자주 소변을 보게 되는 증상이다.

이슬은 경관을 막고 있던 점액과 경관이 개대될 때 나오는 피가 섞인 분비물로, 이후 24시간 내에 분만이 시작된다.

임신부는 분만이 가까워지면서 체중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상의 증상들은 분만이 임박했음을 알려주는 전구증상들이다.


1.2.4. 분만 기간

분만은 임신 기간 동안 자궁에 담겨있던 태아가 자궁 밖으로 나오는 과정이다. 분만 기간은 분만 1기부터 분만 4기까지 총 4단계로 구분된다.

분만 1기는 자궁경부가 10cm까지 완전히 개대되는 기간으로, 평균 12~14시간이 소요된다. 산모는 이 기간 동안 규칙적인 자궁 수축을 경험하며, 배꼽 위 약 3cm 정도에서 촉지되는 움직이는 덩어리와 오로 배출, 복부 통증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분만 2기는 자궁경부가 완전히 개대된 이후부터 태아가 완전히 만출되는 기간으로, 초산부는 평균 1시간, 경산부는 15~30분이 소요된다. 이 기간에 산모는 불수의적으로 힘을 주면서 태아가 하강하고 최종적으로 만출된다.

분만 3기는 태아 만출 직후부터 태반과 태아막이 만출되는 기간으로, 보통 30분 이내에 완료된다. 이 기간 동안 자궁이 수축하면서 태반이 박리되고 만출된다.

분만 4기는 태반 만출 후 1~4시간까지의 기간으로, 자궁 수축과 태반부 출혈이 멈추고 산모가 안정화되는 시기이다. 이 기간 동안 간호사는 출혈량과 산모의 활력징후를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위와 같이 분만 과정은 4단계로 이루어지며, 각 단계마다 소요되는 시간과 특징적인 증상이 있다.


1.3. 분만 제 1기의 간호관리

...


참고 자료

박영주 외 (2020). 제 5판 여성건강간호학I. 서울: 현문사
박영주 외 (2020). 제 5판 여성건강간호학II. 서울: 현문사
대한간호학회 간호학대사전 1996. 3. 1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질환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50
김미혜 안나원 공저. 2022년 성과기반 모성간호학 통합실습교육. 현문사(2022)
박영주 외. 제5판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2020)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회음열상
박영주 외 (2020). 제 5판 여성건강간호학Ⅰ. 서울: 현문사
박영주 외 (2020). 제 5판 여성건강간호학Ⅱ. 서울: 현문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