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스포츠지도자의역할및 코칭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스포츠지도자의 역할 및 전문성
2.1. 스포츠지도자에게 필요한 자질
2.2. 스포츠지도자의 전문성
3. 스포츠코칭 철학
3.1. 다양한 스포츠코칭 철학
3.2. 나의 스포츠코칭 철학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스포츠코칭이란 선수를 지도해주는 사람으로서 코치가 스포츠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로 인식되고 있다. 스포츠에서 코칭의 목표는 선수와 팀의 경기력 상승과 발휘이다. 스포츠에서 광범위하게 시작된 코치가 직업으로서 우리의 삶과 비즈니스 영역으로 진입하면서 스포츠코칭은 비로소 현대 스포츠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주요 목적으로는 성장과 성과향상이 있다. 이 부분은 모든 코칭에서 동일하며, 스포츠내에서는 좋은 성적을 내어 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있다.
2. 스포츠지도자의 역할 및 전문성
2.1. 스포츠지도자에게 필요한 자질
스포츠지도자에게 필요한 자질은 의사전달능력, 투철한 사명감, 도덕적 품성, 활달하고 강인한 성격, 칭찬의 미덕, 공정성 등이다.
스포츠지도자는 먼저 자신이 지도하는 스포츠 분야에서 필요한 기술, 지식, 실력을 포함한 최고의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전문성이 뒷받침되어야 실력이 자신보다 뛰어난 선수도 발굴하고 성장시킬 수 있다.
둘째, 스포츠지도자는 자신의 지도가 선수들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자각이 없다면 선수를 제대로 이끌어 갈 수 없다. 세계적인 선수 뒤에는 묵묵히 선수들 곁을 지키며 자신의 역할을 바르게 자각하고 헌신하는 지도자들이 존재한다.
셋째, 스포츠지도자는 선수들의 입장에서 먼저 생각하고 그들에게 이익이 되게 하며 실력을 향상시켜 나아가 경기에 나서는 선수들과 경기를 관람하는 많은 사람들을 행복하게 하는 지혜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넷째, 스포츠지도자는 경기 현장에서 선수들이 최고의 기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어야 한다. 선수들이 직면한 여러 환경, 상황을 고려하여 그에 적합한 전략과 전술을 수립하고, 그것을 선수들이 수용하고 실전에서 본인의 실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것이 지도자의 실천력이다.
다섯째, 스포츠지도자는 의사전달능력이 있어야 한다. 이는 선수와 지도자가 서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며 생활체육 영역에서는 참가자의 관심을 유도하고 의사 전달 내용을 자세하게 설명하며 성실한 청취태도를 가질 수 있는 분위기를 마련하기 위해서이다.
여섯째, 스포츠지도자는 투철한 사명감을 가져야 한다. 이는 자신이 지도자로서 가지고 있는 모든 능력을 발휘해서 책임을 완수하고자 하는 의지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일곱째, 스포츠지도자는 도덕적 품성으로 선수, 참가자와의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참가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질이 필요하다.
여덟째, 스포츠지도자는 활달하고 강인...
참고 자료
장애인스포츠지도사의 교육적 자질 척도 개발, 용인, 심영균, 2020, 단국대학교 대학원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365e458962d84b1cffe0bdc3ef48d419&keyword=%EC%9E%A5%EC%95%A0%EC%9D%B8%EC%8A%A4%ED%8F%AC%EC%B8%A0%EC%A7%80%EB%8F%84%EC%82%AC%EC%9D%98%20%EA%B5%90%EC%9C%A1%EC%A0%81%20%EC%9E%90%EC%A7%88%20%EC%B2%99%EB%8F%84%20%EA%B0%9C%EB%B0%9C
스포츠지도자와 스포츠지도사 자격제도에 관한 법적 연구, 박덕진 김상겸, 동국대학교, 2023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765bb29fa1627dec6aae8a972f9116fb&keyword=%EC%8A%A4%ED%8F%AC%EC%B8%A0%EC%A7%80%EB%8F%84%EC%9E%90
스포츠지도자의 의사소통과 선수의 운동지속의지의 관계에서 지도자신뢰의 매개효과 = The Relationship among Instructor’s Communication, Instructors trust and Exercise Adherence of Athletes, 김대은(한국체육대학교), 김종식(원광대학교), 남광우(해군사관학교), 2019, 한국스포츠학회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d9bf02cbad72e7fbb7998d826d417196&keyword=%EC%8A%A4%ED%8F%AC%EC%B8%A0%EC%A7%80%EB%8F%84%EC%9E%90
이태철(2012). 건강 지킴이’로서 생활체육지도자의 역할. 경상일보.
박영수(2018). 지도자와 선수가 갖춰야 할 자질과 덕목. 태권박스.
손지영(2019). 생활체육 참여 노인이 인식하는 지도자의 이미지와 참여동기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지논문지.
김최환(2024). 배리어프리 스포츠 지도자 리더십 자질‧역량에는 무엇이 있을까?. 에이블뉴스.
스포츠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네 가지 자질. 김응철 교수. 스포츠 한국. 2024.02.28.
배리어프리 스포츠 지도자 리더십 자질, 역량에는 무엇이 있을까?. 김최환. 에이블뉴스. 2024.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