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공기조화방식 중 중앙방식과 개별방식에 대해 논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공기 조화 설비
1.1. 공기 조화의 개념과 특징
1.2. 공기 조화 방식의 분류
1.2.1. 전공기 방식
1.2.1.1. 정풍량 단일 덕트 방식
1.2.1.2. 가변풍량 단일덕트 방식
1.2.1.3. 이중 덕트 방식
1.2.2. 수ㆍ공기 방식
1.2.2.1. 팬코일 유닛 방식
1.2.2.2. 유인ㆍ유닛 방식
1.2.2.3. 복사 냉ㆍ난방 방식
1.2.3. 수 방식
1.2.4. 냉매 방식
1.2.4.1. 룸쿨러 방식
1.2.4.2. 패키지 유닛 방식
1.3. 공기 조화 설비 주변 기기
1.3.1. 방열기
1.3.2. 취출구
1.3.3. 흡입구
1.3.4. 냉각탑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공기 조화 설비
1.1. 공기 조화의 개념과 특징
공기 조화는 실내의 공간에서 인간 또는 물품을 대상으로 공기의 온도, 습도, 기류, 환기, 청정도를 사용목적에 따라 가장 알맞은 상태로 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기 조화 설비는 공기의 가열 및 냉각의 온도제어와 공기의 가습 및 감습의 습도 제어, 기류속도, 기류분포, 청정도 제어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쾌적한 실내 환경을 얻을 수 있다. 냉ᆞ난방 설비의 경우 실내 공기의 냉각 또는 가열에 의한 온도 제어만을 주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실내환경의 쾌적성의 추구에는 부족한 부분이 많다. 실내에서 인간이 활동하기에 알맞은 온도ᆞ습도ᆞ기류(氣流) 분포로 조절하고, 동시에 공기 속의 먼지 등을 제거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구현하는 것이 공기 조화 설비의 주된 목적이다.
1.2. 공기 조화 방식의 분류
1.2.1. 전공기 방식
1.2.1.1. 정풍량 단일 덕트 방식
정풍량 단일 덕트 방식은 가장 기본적인 공조 방식으로 오래전부터 사용되고 있다. 이 방식은 중앙에 에어 핸들링 유닛이나 패키지형 공조기 등을 사용하여 실내 또는 환기 덕트 내 온도 감지 또는 습도 감지에 따라 각 실의 조건에 맞게 조절된 냉풍 또는 온풍을 하나의 덕트와 취출구를 통해 각 실에 보내어 공조하는 방식이다. 즉, 송풍량이 일정하고 실내의 열 부하 변동에 따라 송풍온도를 조절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정풍량 단일 덕트 방식의 장점은 덕트가 1계통이므로 설비비가 싸고, 덕트 스페이스가 비교적 크며,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소음과 진동이 적고, 외기냉방이 용이하며, 기기실에 기기류를 집중배치할 수 있어 운전관리가 편리하다. 시스템이 단순하여 변풍량 방식보다 저가이고, 설계 및 시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각 실의 부하변동에 대한 대응력이 약하고, 온습도의 불균형이 발생하기 쉽다. 수방식에 비하여 반송동력이 증대되며, 설비비가 높고 공조기계실 면적이 증대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존마다 공조기 및 급기덕트를 설치해야 하므로 공간 활용에 제약이 따른다.
정풍량 단일 덕트 방식은 10,000㎡ 이하의 소규모 건물, 중규모 이상의 고층건물 내부존, 극장의 관객석, 병원의 수술실, 공장의 클린룸 등 다양한 건물에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정풍량 단일 덕트 방식은 오래전부터 널리 사용되어 온 기본적인 공조 방식으로, 단순하고 저렴한 장점으로 인해 건축물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활용되는 공기조화 방식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1.2.1.2. 가변풍량 단일덕트 방식
가변풍량 단일덕트 방식은 공기 조화 대상실의 부하 변동에 따라 송풍량을 조절하는 공조 방식이다. 이 방식은 송풍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부하변동에 따라서 송풍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실온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송풍량을 조절하여 실내 부하가 적어질 경우 송풍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가 크다. 또한 각 실이나 존의 온도를 개별제어하기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대구모의 건물일 경우 공조기나 열원기기의 동시 가동률을 고려하면 효율적이며, 일사량 변화가 심한 페리미터존에 적합하다. 외기 냉방이 가능하고 연간 공조가 용이하며, 칸막이 변경 또는 부하변동 시 유연성이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단점으로 변풍량 유닛으로 인한 설비비가 많이 든다. 실내부하가 적어지면 송풍량이 적어지므로 실내공간의 오염도가 높아질 수 있으며, 재열기가 없으면 최소풍량이 취출될 때 실내온도가 낮아져 추위를 느낄 수 있다.
1.2.1.3. 이중 덕트 방식
이중 덕트 방식은 냉풍과 온풍의 2개의 덕트를 설비하여 말단에 혼합 유닛으로 냉풍과 온풍을 혼합해 송풍함으로써 실온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부하특성이 다른 다수의 실이나 존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이나 존의 부하변동이 생기면 즉시 냉,온풍을 혼합하여 취출하므로 적응속도가 빠르다. 또한 ...
참고 자료
공기조화설비, 건기원, 김세환, 2003.
공기조화 및 냉동, 기문당, Faye C. McQuiston,1998.
일진엔지니어링, http://www.ije21.com, (access date : 2016. 03.).
주식회사 지엔비, http://www.gyeng.net, (access date : 2016. 03.).
건축공기조화설비, 성안당, 정광섭 외 7인,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