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건강증진사업
1.1. 청력 보존 프로그램
1.2. 근골격계 질환 관리 프로그램
1.3. 뇌·심혈관계 질환 관리 프로그램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건강증진사업
1.1. 청력 보존 프로그램
소음성 난청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직업병 중 하나로 WHO에 따르면 직업 소음은 전체 성인 청력 손실 장애의 16%를 차지할 만큼 심각한 문제이다. 국내에서도 소음은 유해 요인 노출 기준을 초과하는 공정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소음성 난청은 직업병 유소견자 중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하고 있다. 초기 청력 손실은 근로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지만, 시간이 지나면 청력 장애로 진행되어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한다.
소음성 난청의 예방을 위해서는 소음원을 직접 줄이는 공학적 대책, 근로자의 소음 노출 시간을 단축하는 관리적 대책, 청력 보호구 사용과 같은 임시적 대책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많은 기업이 청력 보호구 사용에만 의존하고 있으며 소음원의 근본적인 감소를 위한 조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작업자들이 의사소통 불편을 이유로 청력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도 많아 실질적인 예방 효과를 저해하고 있다. 소음감소는 청력 손실 예방뿐만 아니라 성가심 감소, 작업 집중도 향상 등 근로자의 직무 환경 개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보건관리자는 체계적인 청력 보존 프로그램을 통해 소음 노출을 줄이고,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는 한편, 작업 효율성을 높이는 데 집중해야 한다. 청력 보존 프로그램의 목적은 적극적인 소음성 난청 예방과 청력 보호, 근로자 건강 보호 및 삶의 질 향상, 의료 보상비용 절감 및 근로 손실 일수 감소, 사업장의 생산성 향상 및 필요한 인적자원 확보 등이다.
청력 보존 프로그램 운영체계 구축을 위해 사업장의 업종, 규모 등 특성에 따라 청력 보존 프로그램 추진팀을 구성하고, 청력 보존 프로그램 관리자(운영자)를 지정한다. 또한 청력 보존 프로그램 시행에 따른 근로자에게 결과 안내 및 교육 등의 활동 체계 및 주기를 설정하고 정기적으로 추진하며, 외부 전문가의 지원 및 자문 등 협조체계를 구축한다. 근로자의 적극적 참여와 협조 방안도 마련한다.
소음 측정 및 노출평가 관리를 위해 80㏈ 이상의 모든 연속음과 120㏈ 이상의 충격음을 측정 대상으로 하며, 6개월에 1회 이상 또는 필요할 때 수시로 측정·평가한다. 8시간 시간 가중평균(TWA) 90㏈(dB(A)) 이상 노출 근로자에게 결과를 통보하고, 생산설비 변경 또는 증설 등 작업 환경 변화 시 수시 평가를 시행한다. 또한 청력 보존 프로그램 적용 대상 작업장 위치도(소음 지도 등)를 작성하고 대상 근로자의 분포 및 건강 상태를 파악한다.
청력 검사 및 청력 손실 근로자 관리를 위해 배치 전 및 연 1회 정기 청력 검사를 실시하고, 청력 검사 결과 분석 및 관리와 함께 청력 손실 근로자에 대한 사후관리를 실시한다. 정밀 검사, 비 작업성 청력 장해 시 이비인후과 검사·치료 및 재활, 청력 보호구 미착용자에 대한 보호구 지급 및 착용 지도 등의 조치를 취한다.
공학적 개선대책으로 소음 노출 기준 초과 시 대상 공정의 시설, 설비에 대한 차음 또는 흡음 조치 등을 추진하고, 작업 방법 개선을 통한 소음감소 대책을 마련한다. 관리적 대책으로는 청력 손실자 업무(부서) ...
참고 자료
고용노동부, 「산업재해 현황」, 2022, 2024.11.20, 업무상 질병 발생 현황-질병 종류별
박미진. "청력 보존문화의 변화단계와 소음감소 프로그램의 실행." 국내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서울
이지호 외. (2017). 청력 보존 프로그램 현황 및 개선방안, 안전보건공단. 5-10
손만기 외. (2021). 소음성 난청으로 진단된 근로자에 대한 의학적 관리지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1-4.
대외협력팀. (2010). 소음성 난청. 강원대학교병원. https://www.knuh.or.kr/hospitalinfo/hospitalinfo_02_07_01_view.asp?bid=8&tid=&page=21&idx=22086&smode=&skey=.
안전보건공간. (2012). 조심조심 코리아 물리적 인자-청력 보존 프로그램, 교육미디어, 2-4
김규상, (2012). 청력 보존 프로그램의 수립·시행지침, KOSHA GUIDE H-61-2012.
고용노동부. (2023). 산업안전보건법 제24조. 법률 제17545호.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
이승복. (2020). ISO 45001 국제표준 제정에 따른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 활성화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establishment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ISO 45001 international standard.
김용규, 김현주, 이수진, 장은철, 노상철, & 송재철. (2002). 일부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들의 개인 보호구 착용에 관련된 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제, 14(3).
김용국, 김태구, 박대식, & 박재석. (2003). 고소음 발생 기계류의 소음저감을 위한 공학적 대책 연구. 한국안전학회 학술발표회, 271-282.
박영민. (2001). 환경소음의 영향과 관리체계 개선방안. 환경관리인, 184, 42-47.
권수자, 김태경, & 정희영. (2006). 소음성 난청 예방 교육 시행에 따른 소음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예방행위 비교. 산업간호학회지, 15(1), 5-13.
김영미, & 정인숙. (2010). 소음작업장 근로자의 청력 보호구 사용단계와 관련 요인.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5), 736-746.
이현주, & 백은미. (2022). 학교급식 조리 종사자의 작업장 환경 인식 및 청력 보호구 착용 실태조사. 직업 건강연구, 4(3), 153-162.
김규상. (2011). 청력 보존 프로그램의 평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82, 6-21.
이지호 외. (2017). 청력 보존 프로그램 현황 및 개선방안, 안전보건공단.
김규상, (2012). 청력 보존 프로그램의 수립·시행지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김규상, (2012). 청력 보존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지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미상, (2017). 근·골격계 질환 예방 업무편람,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박길상, (2005). 근·골격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 운영매뉴얼(전자제품 제조업). 한국산업안전공단.
정기효, 이상기, 권오채, 유희천, & 김대성. (2005). 근·골격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구조 분석 및 실무자 요구 사항 조사. 대한인간공학회지, 24(3), 35-41.
임완희. (2004). 단순 반복 작업유형별 근골격계질환 발생 특성과 예방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9(1), 24-35.
정은교. (2003).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시스템적 접근과 추진전략. 산업안전 기술하지, 3(1), 18-24.
Kim, G. S. Park, J. G. & Kim, G. S. (2007). 근골격계질환의 산업 의학적 진단 및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월간 산업보건, 63-64.
김수근. (2017). 근·골격계 질환의 의학적 관리(1).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33(2), 123-135.
김수근. (2017). 근·골격계 질환의 의학적 관리(1).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33(2), 123-135.
기미영, 정혜선, & 김영임. (2004). 스트레칭 체조에 대한 교육이 여성 근로자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자기효능감, 건강 신념 및 실천 의지에 미치는 효과. 산업간호학회지, 13(2), 130-139.
정기효, 이상기, 권오채, 유희천, & 김대성. (2005). 근·골격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구조 분석 및 실무자 요구 사항 조사. 대한인간공학회지, 24(3), 35-41.
강혜정, & 문덕환. (2013).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에 대한 뇌․ 심혈관질환 예방 프로그램 적용 효과.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3(3), 315-322.
OO의료원. (n.d). 건강증진센터-심뇌혈관질환 프로그램. https://www.cjmc.or.kr/ex_sub4_3.ph p.
질병 관리청. (2023). 심뇌혈관질환 발생통계. 질병 관리청. https://www.kdca.go.kr/filepath/boardDownload.es?bid=0015&list_no=725117&seq=2.
유상희, 신보미, 배수명, & 신선정. (2016). 일부 보건소 고혈압· 당뇨관리교실 연계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 논리적 모형을 이용하여. 치위생과학회지, 16(4), 293-301.
OO의료원. (n.d.). 건강증진센터-심뇌혈관질환 프로그램. https://www.cjmc.or.kr/ex_sub4_3.ph p.
고용노동부. (2023).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69조 직무 스트레스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조치. https://www.law.go.kr/.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18). 뇌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발병위험도 평가 및 사후관리 지침 (KOSHA GUIDE H-200-2018). https://oshri.kosha.or.kr/.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21). 뇌 심혈관질환 근로자의 업무복귀 시 업무적합성 평가 지침 (KOSHA GUIDE H-50-2021).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https://oshri.kosha.or.kr.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18). 뇌·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발병위험도 평가 및 사후관리 지침 (KOSHA GUIDE H-200-2018).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https://oshri.kosha.or.kr.
「2019년 군산시 사회조사 보고서」 군산시, 2020.
군산시 보건소 홈페이지, 2023.
도민일보(http://www.domin.co.kr)
「2019년 전주시 사회조사 보고서」 전주시, 2020.
전주시 보건소 홈페이지. 2023,
도민일보(http://www.dom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