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복지관점에서 K-SDGs의 의의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흐름에 발맞추어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K-SDGs)'라는 공식적인 명칭을 정하고 '모두를 포용하는 지속가능국가'라는 비전을 내세웠다. 이에 '모두가 사람답게 살 수 있는 포용사회 구현', '모든 세대가 누리는 깨끗한 환경 보전',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경제성장', '인권보호와 남북평화구축', '지구촌협력' 등 다섯 가지 전략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실천하기 위한 17개의 목표와 119개의 세부목표, 236개의 지표를 수립하였다. 정부기관뿐만 아니라 지자체와 시민단체, 전문가 집단 등 다양한 주체들이 이러한 K-SDGs의 실행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경제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소득 양극화, 환경 악화, 양질의 일자리 부족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는데, 이러한 문제들은 사회복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K-SDGs는 궁극적으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사회복지 관점에서 K-SDGs의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2. 본론
2.1. K-SDGs의 목표와 복지정책이 추구하는 목표의 연관성
2.1.1. 목표 1: 빈곤증식 소득 불균형의 해소 및 기본적인 삶의 보장
K-SDGs의 첫 번째 목표는 빈곤층 감소와 사회안전망 강화이다. 이는 모든 형태의 빈곤을 해소하고자 하는 목표로, 복지정책이 추구하는 가장 근본적인 목표 중 하나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
특히 기초생활보장제도, 공공임대주택, 긴급복지지원제도, 연금 등의 생계보장제도는 K-SDGs의 1번 목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러한 제도들은 최저생활의 보장을 목표로 하여 빈곤증식 해소와 소득 불균형 완화에 기여하고 있다.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개인 및 가족의 힘만으로는 최저생계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