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중추신경계물리치료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최초 생성일 2025.08.03
7,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중추신경계물리치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중추신경계물리치료
1.1. 의식수준 평가
1.1.1. Glasgow coma scale (GCS)
1.1.2. The Rancho Los Amigos Scale (RLAS)
1.1.3. Coma recovery Scale
1.1.4. Full outline of unResponsiveness (FOUR)
1.1.5. Glasgow outcome scale
1.1.6. Disorders of Consciousness Scale (DOCS)
1.1.7. The Moss Attention Rating Scale (MARS)
1.1.8. The Galveston Orientation and Amnesia test (GOAT)
1.1.9. Arnadottir OT-ADL Neurobehavioral Evaluation
1.1.10. Structured Observational Test of Function (SOTOF)
1.1.11. Allen Cognitive Level Test (ACL)
1.1.12. Chessington Occupational Therapy Neurological Assessment Battery (COTNAP)
1.1.13. Loew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LOTCA)
1.1.14. The Behavioural Inattention Test (BIT)
1.1.15. Rivermead Perceptual Assessment Battery (RPAB)
1.1.16. Rivermead Behavioural Mmory test (RBMT)

2. 중추신경계손상 환자의 물리치료
2.1. 뇌혈관질환
2.1.1. 개요
2.1.2. 뇌혈관 장애의 분류
2.1.3. 치료를 위한 평가
2.1.4. 치료모형

3. 중추신경계
3.1. 뇌
3.1.1. 발생과 유래물
3.1.2. 종뇌
3.1.3. 대뇌피질
3.1.4. 대뇌수질
3.1.5. 간뇌
3.1.6. 중뇌
3.1.7. 후뇌
3.2. 척수
3.2.1. 개요
3.2.2. 구분
3.2.3. 구조
3.2.4. 척수내의 조직
3.3. 기타
3.3.1. 수면
3.3.2. 뇌파
3.3.3. 반사
3.3.4. 척수의 상행성 및 하행성 전도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중추신경계물리치료
1.1. 의식수준 평가
1.1.1. Glasgow coma scale (GCS)

GCS(Glasgow Coma Scale)는 급성기 뇌 병변에서 인지레벨 자료를 위해 사용되는 높은 수준의 도구이다. GCS는 의식수준과 병의 위중함을 규명하는 것을 돕기 위해 가장 널리 쓰인다. GCS는 측정 도구의 신뢰성이 p=0.86이며, 측정 영역은 Eye opening, Verbal response, Motor response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높은 점수는 15점으로 완전히 인지하고 지남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가장 낮은 점수인 3점은 무의식과 무반응의 상태를 반영한다. 중증도를 나눌 때 8점 이하는 Severe 상태, 9점에서 12점은 Moderate, 13점에서 15점은 mild 뇌손상으로 평가한다. GCS 초기점수는 장기예후를 추정하는데 유용하며, 특히 Motor 영역과 동공영역에서 초기 낮은 점수를 받은 경우 좋지 않은 예후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GCS는 의사뿐만 아니라 간호사, 다른 의료 인력들도 사용할 수 있도록 쉽고, 혼돈이 생기지 않은 명확한 정의를 가진 용어를 선택하여 만들어졌다. 그러나 MCS(minimally conscious state)를 평가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기능적이고 인지적 회복에 대한 평가를 위해 사용하기에도 한계를 지닌다.


1.1.2. The Rancho Los Amigos Scale (RLAS)

RLAS는 coma 상태가 출현했던 TBI 환자들의 인지와 행동적 회복을 묘사하기 위해 널리 이용되는 도구이다. 이 도구는 특정 인지 결함을 나타내지는 않지만 의사소통적인 일반적 인지와 행동적 위치를 치료 계획을 위해 사용하는 데에 유용하다. RLAS는 뇌손상 환자에 있어 인지와 행동기능을 측정하는 데에 있어 믿을만한 타당도와 신뢰성을 보여왔다. 이것은 뇌손상 환자의 첫 평가동안 GCS와 결합하여 자주 쓰인다. 하지만 초기 평가기간에만 적용하는 GCS와 달리 RLAS는 회복기간 전면에 걸쳐 사용된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환자의 인지정도만을 측정하는 것이 아닌 신체적 기능과 인지를 수행하는 것에 대한 의존도도 함께 측정할 수 있다. 기존의 도구는 뇌손상 이후 회복단계에 따라 보고 듣고 만짐, 냄새 맡기 등의 자극에 대한 반응에 따라 가장 낮은 기능의 1단계와 가장 높은 기능의 8단계로 여덟 단계로 구성 됐다. 환자들이 더 높은 레벨로 진보할 때 향상된 인지와 행동적 단계 그리고 더 많은 독립성을 증명한다. 하지만 각 단계에서 사용되는 시간과 최대 도달 레벨은 개인마다 다르다. 개인마다 각 단계를 걸쳐갈 수 도 있고 한 번에 넘어서는 회복을 보이기도 한다. 기존의 도구는 Rancho Los Amigos Scale (RLAS)로 알려져 있는데 기존의 8단계가 더 높은 단계의 회복에 있어서 정확히 반영을 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두 단계를 추가한 10단계의 도구인 Rancho Los Amigos Revised Scale (RLAS-R) 발명되었다. 각 단계는 기존의 도구보다 더 세밀하게 환자의 상태를 묘사해줄 수 있다.


1.1.3. Coma recovery Scale

CRS는 1991Susan Giacino 등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주로 중증 뇌손상 환자의 의식상태를 평가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CRS는 중증도에 따라 25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는 6개의 대분류 항목으로 다시 나눌 수 있다. (청각, 시각, 입 운동, 의사소통, 각성상태) 점수는 표준화된 자극에 대한 반응 여부에 따라 결정되며, 반사적인 반응만 보이면 가장 높은 점수를 받는다. CRS는 신경행동학적인 내용을 토대로 각 항목들이 뇌간, 심부뇌, 피질뇌를 대표하는 항목으로 분류되며, 현재에는 식물인간상태(VS)와 미미한 의식을 가지고 있는 상태(MCS)를 구분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또한 CRS는 신뢰도 및 GCS, DRS 등과 높은 타당도가 입증되었으며, 재활의학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에서 입원 첫 4주 내에 측정한 CRS는 GCS보다 1년 후의 치료결과에 대해 더 높은 예측도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는 원본 CRS의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새롭게 개정된 revised coma recovery scale (R-CRS)이 사용되고 있으며, 식물인간상태(VS)와 미미한 의식을 가지고 있는 상태(MCS)를 구분할 수 있는 평가도구로 알려져 있다.


1.1.4. Full outline of unResponsiveness (FOUR)

FOUR은 2005년에 개발되었으며, 급성기 혼수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GCS의 단점을 보완한 도구이다. FOUR는 4개의 domain(눈, 운동, 뇌간, 호흡)으로 구성되어 있고, GCS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예후를 예측하는 데에도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다만 FOUR은 의식을 평가하는 기능이 약하고 식물인간 상태(VS)와 미미한 의식을 가지고 있는 상태(MCS)를 구분하는 능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

FOUR은 GCS의 의사소통을 평가할 수 없는 환자나 폐쇄증후군(Lock-in syndrome) 환자에게 적용하고자 하였다. FOUR은 4개의 domain(눈, 운동, 뇌간, 호흡)으로 구성되어 있어 환자의 상태를 보다 세밀하게 평가할 수 있다. 또한 GCS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예후를 예측하는 데에도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FOUR이 의식을 평가하는 기능이 약하다는 한계가 있으며, 식물인간 상태(VS)와 미미한 의식을 가지고 있는 상태(MCS)를 구분하는 능력도 떨어진다고 지적되고 있다.

FOUR은 GCS와 달리 호흡 패턴을 평가하는 domain이 있어 기계호흡(mechanical ventilator)을 사용하는 환자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GCS가 의사소통을 평가하지 못하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FOUR이 식물인간 상태와 최소의식상태를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한계가 있다.

종합적으로 FOUR은 급성기 혼수상태 평가를 위해 GCS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개발된 도구이다. 4개의 domain으로 구성되어 환자의 상태를 보다 자세히 평가할 수 있으며, GCS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예후 예측에도 유용하다. 하지만 의식 수준 평가에 있어 한계가 있어 식물인간 상태와 최소의식상태를 구분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1.1.5. Glasgow outcome scale

Glasgow outcome scale은 1975년에 발표되었으며, 이 평가도구는 환자의 특정한 장애 내용을 표현하기 보다는 그들의 사회적인 활동능력 정도를 나누기 위해 개발되었다. 즉, 환자가 스스로 적극적으로 재활치료를 받을 수 있는 정도의 상태인지 혹은 살아는 있으나 거의 사람구실을 할 수 없는 상태인지 등을 표현하고자 하였고, 모두 5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척도는 환자의 장기적인 기능 상태를 평가하는데 유용하며, 사회적 활동 수준을 반영하기 때문에 재활과정에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경증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에게 있어서 ICF 스펙트럼을 지나 깊은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뇌손상이 가져오는 인지, 운동, 신경학적 행동손상의 넓은 영역 때문에 장기예후를 설정하기가 어려운데, GCS 초기점수는 이러한 장기예후를 추정하는데 유용하다. 특히 Motor 영역과 동공영역에서 초기 낮은 점수를 받은 경우, TBI Moderate~Severe 환자들에게서 좋지 않은 예후가 나타남을 많은 연구들이 밝혔다. 이 밖에도 나이, 인종, 낮은 교육 수준 등의 요소가 관여한다. 이 도구의 특징은 의사뿐만 아니라 간호사, 다른 의료 인력들도 사용할 수 있도록 쉽고, 혼돈이 생기지 않은 명확한 정의를 가질 수 있는 용어를 선택하였다. 또한 3가지 행동학적 평가(눈뜨기-4점, 움직이기-6점, 언어적 표현-5점)가 서로 독립적인 영역을 가지는 것이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MCS(minimally conscious state)를 평가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기능적이고 인지적 회복에 대한 평가를 위해 사용하기에도 한계를 지닌다.


1.1.6. Disorders of Consciousness Scale (DOCS)

DOCS는 각성과 신경학적 행동 회복을 측정하기 위해 설계된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도구이다. 23개의 사회적 지식, 맛/삼킴, 후각기능, 고유수용성감각, 촉각기능, 청각기능, 시각기능 항목으로 이뤄져있다. 점수화는 기본적으로 환자의 반응 없음, 평번한 반응, 국한적인 반응에 따른다. DOCS는 의식 정도를 차별화 시킬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식물인간 상태와 minimally conscious state 간의 차이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는 회복을 예상하는 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DOCS는...


참고 자료

Suan B. O'Sullivan. (n.d.). Physical rehabilitation (pp. 206-251,859-889,1234-1235). n.p.: DavisPlus.
Hyun Soo Oh, Wha Sook Seo, Seul Lee, Hosook Song. (2006). Comparisons of the Prognostic Predictors of Traumatic Brain Injury According to Admission Glasgow Coma Scale Scores - Based on 1- and 6-month Assessments. 대한간호과학회지, 36(4), 621-629.
M Balestreri1. (n.d.). Predictive value of Glasgow coma scale after brain trauma: change in trend over the past ten years (pp. 161-162). n.p.: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Marion D, Carlier P. Problems with initial Glasgow Coma Scale assessment caused by prehospital treatment of patients with head injuries. The Journal of Trauma: Injury, Infection, and Critical Care 1994;36(1):89-95. PMID: 8295256 (accessed 6 May 2017).
Meredith W, Rutledge R, Fakhry S, Emery S, Kromhout-Schiro S. The conundrum of the Glasgow Coma Scale in intubated patients. The Journal of Trauma: Injury, Infection, and Critical Care 1998;44(5):839-845. PMID: 9603086 (accessed 7 May 2017).
Meredith W, Rutledge R, Fakhry S, Emery S, Kromhout-Schiro S. The conundrum of the Glasgow Coma Scale in intubated patients. The Journal of Trauma: Injury, Infection, and Critical Care 1998;44(5):839-845. PMID: 9603086 (accessed 7 May 2017).
Al-Hassani A, Strandvik GF, El-Menyar A, Dhumale AR, Asim M, Ajaj A, Al-Yazeedi W, Al-Thani H. Functional Outcomes in Moderate-to-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Survivors. J Emerg Trauma Shock. 2018 Jul-Sep;11(3):197-204.
Hartmann A, Kegelmeyer D, Kloos A. Use of an Errorless Learning Approach in a Person With Concomitant Traumatic Spinal Cord Injury and Brain Injury: A Case Report. J Neurol Phys Ther. 2018 Apr;42(2):102-109.
Mandaville A, Ray A, Robertson H, Foster C, Jesser C. A retrospective review of swallow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Dysphagia. 2014 Jun;29(3):310-8
Lapitskaya N, Moerk SK, Gosseries O, Nielsen JF, de Noordhout AM. Corticospinal excitability in patients with anoxic, traumatic, and non-traumatic diffuse brain injury. Brain Stimul. 2013 Mar;6(2):130-7.
Yap SG, Chua KS. Rehabilitation outcomes in elderly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in Singapore. J Head Trauma Rehabil. 2008 May-Jun;23(3):158-63.
Irdesel J, Aydiner SB, Akgoz S. Rehabilitation outcome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Neurocirugia (Astur). 2007 Feb;18(1):5-15.

·「물리.작업 치료사를 위한 신경해부 생리학」-출판사 : 현문사 / 저자 : 김종만
·「시기 해부학」- 출판사 : 청구문화사 / 저자 : 구자영, 김진숙, 이인모
·「인체해부학」- 출판사 : 정문각 / 저자 : 김덕훈, 김정엽, 류경원, 박혜숙, 이명숙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