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키토산 약물전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탐구 동기
1.2. 키토산 기반 나노입자를 활용한 BBB 투과 약물 전달 시스템(DDS)의 필요성
2. 본론
2.1. DDS의 정의
2.2. 뇌 약물 전달 시스템의 장애물 - BBB 투과 조건
2.3. 키토산 기반 나노입자의 특징 및 BBB를 통과하는 DDS에의 적용 가능성
3. 결론
3.1. 요약 및 느낀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탐구 동기
고등학교 2학년 자율활동 시간에 뇌혈관장벽을 통과시키는 약물전달체 및 약물전달시스템이 연구 중이며, 알츠하이머의 치료에 꼭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번 키토산 실험을 위해 사전 조사를 진행하다가 키토산이 혈액 응고제뿐만 아니라 약물전달체로도 사용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뇌혈관장벽을 통과시키는 약물전달체로서의 잠재력을 탐구하기 위해 이 주제를 선정하였다.
1.2. 키토산 기반 나노입자를 활용한 BBB 투과 약물 전달 시스템(DDS)의 필요성
뇌에 약물을 전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이다. 이는 BBB(뇌혈관장벽)이라는 강력한 생체장벽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BBB는 뇌의 항상성을 조절하기 위해 뇌 기능에 필수적으로 작용하는 분자들만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며 혈관 투과성이 매우 낮다. 이러한 BBB의 특성 때문에 대부분의 중추신경계 약물들은 표적 세포까지 전달되지 못하고 좌절되며 뇌암과 알츠하이머와 같은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효율은 매우 낮다.
BBB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첫째, 생체와 유사한 물리적 장벽 기능을 보여야 한다. 즉, 새로운 약물의 인체 BBB 통과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생체 BBB TEER값보다 낮은 TEER값을 설정해야 한다. 둘째, BBB의 대사적 장벽에 해당하는 유출 펌프와의 상호작용을 최소화해야 한다. 이러한 조건들로 인해 BBB를 통과하려면 특별한 운반체 단백질이 필요하다.
이에 키토산 기반 나노입자는 BBB 투과 약물 전달 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다. 키토산은 생체적합성, 생분해성, 무독성 등의 특성으로 인해 생체 적용에 적합한 소재이다. 또한 키토산 나노입자는 크기 조절이 용이하여 BBB를 통과하기 적합한 크기의 입자를 제작할 수 있다. 더욱이 키토산은 유출 펌프를 억제하고 TEER값을 낮추는 효과가 있어 BBB 통과에 유리하다. 따라서 키토산 기반 나노입자는 BBB를 효과적으로 통과하여 뇌 질환 치료에 활용될 수 있는 유망한 DDS로 여겨진다. [1,2,3]
2. 본론
2.1. DDS의 정의
약물 전달 시스템(DDS, Drug...
참고 자료
뇌혈관장벽 모델과 약물전달 전략(KSBMB, 2019.04.01, 박태은)
CNS 신약개발, 뇌혈관장벽(BBB) 통과해야(BIOTIMES, 2020.10.13, 최국림)
고분자 나노입자 기반 뇌 내 약물전달 시스템(고분자 과학과 기술 제 32권 3호 2021년 6월, 권미나, 김기수, 최혜은)
근적외선 제어형 키토산 기반 하이드로겔의 합성 및 약물 전달 시스템으로의 응용(부경대학교 스마트그린기술융합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21.03, 박한솔)
Overcoming the Blood-Brain Barrier: Functionalised Chitosan Nanocarriers (PMC, 2020.11.12, Anna E)
Advances in Chitosan-Based Nanoparticles for Drug Delivery(MDPI, 2021.09.06, Veronika Mikusova)
Chitosan Nanoparticles at the Biological Interface: Implications for Drug Delivery(PMC, 2021.10.13, Noorjahan Aibani)
Arianna Gennari,Julio M Rios de la Rosa,Erwin Hohn,Maria Pelliccia,Enrique Lallana, Roberto Donno,Annalisa Tirella,and Nicola Tirelli (2019), The different ways to chitosan/hyaluronic acid nanoparticles: templated vs direct complextation. Influence of particle preparation on morphology, cell uptake and silencing efficiency, Beilstein J Nanotechnol 10, 2594 – 2608
MBC 다큐 스페셜 「지방의 누명」
<<내일신문>> 「저탄고지 식이에도 맹점이 있다.」
김동우『생화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