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건과 스캔들로 보는 옛이야기에 대해서 설명해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웹소설의 현재와 미래
1.1. 웹소설의 정의와 등장배경
1.2. 웹소설의 특징: 인물, 서술, 공간
1.3. 웹소설과 종이소설의 차이점
1.4. 웹소설 시장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1.5. 웹소설의 해외진출과 미래전망
2. 웹소설 원작 드라마의 성공사례
2.1. '해를 품은 달', '성균관 스캔들' 등의 성공요인
2.2. 웹소설의 드라마화가 미치는 영향
3. 작품 분석: '커피프린스 1호점'
3.1. 작품 요약 및 등장인물 소개
3.2. 서술자 시점과 묘사 기법
3.3. 공간의 의미와 역할
3.4. 웹소설과 기존 소설의 차이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웹소설의 현재와 미래
1.1. 웹소설의 정의와 등장배경
'웹소설'이란 종이 책이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연재되는 소설로, 90년대의 팬픽이나 판타지, 로맨스 장르물을 시작으로 점차 발전해왔다. 요즘 들어 부상하고 있는 웹소설은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즐길 수 있는 문화 콘텐츠로 자리잡았다. 이에 따라 네이버나 조아라 등 웹소설 연재 플랫폼이 많이 생겨나면서 웹소설 문화가 마니아 문화에서 대중문화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또한 드라마와 영화 등 다양한 매체로 재가공되면서 웹소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1.2. 웹소설의 특징: 인물, 서술, 공간
웹소설에서의 인물은 전형적인 웹소설의 캐릭터 유형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웹소설의 남성 주인공은 잘생기고, 돈이 많으며, 성격이 냉랭하지만 내면에 상처를 가지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반면 여성 주인공은 힘든 환경에서 살아가지만 밝고 긍정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인물 설정은 웹소설 독자층인 여성들에게 대리만족을 느끼게 해주는데 기여한다""
웹소설의 서술 방식은 주로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전개된다"" 작가는 인물의 내면 심리와 사소한 묘사까지 세세하게 설명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하지만 이로 인해 독자들의 상상력을 제한하고 비지정영역을 남겨두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웹소설의 공간은 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 중심 공간 하나로 한정되어 있다"" 이야기의 대부분이 한정된 공간인 작중 공간 안에서 일어나며, 다른 공간은 부가적으로 다뤄지는 경우가 많다"" 이를 통해 독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1.3. 웹소설과 종이소설의 차이점
웹소설과 종이소설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종이책이 기반인 소설은 자신의 작품을 사람들이 읽기까지의 과정이 많고, 단순하지 않으며, 비용도 많이 든다. 즉 시장 진입이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종이 소설 작가로 이름을 알린 분들은 오랜 시간 활동해서 나이가 있거나, 자본이 있는 사람들이 많다. 이러한 종이 소설은 흥미 위주의 책도 많이 있지만, 작품을 통해 어떠한 사실을 알리고, 작가의 생각, 가치관 등을 보여주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반면, 웹소설은 상대적으로 시장 진입이 어렵지 않다. 네이버 웹 소설, 조아라 등 웹 소설을 연재하는 플랫폼에서 자신의 작품을 업로드하면 독자들이 바로 그 작품을 읽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진입 비용도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웹 소설 작가들 중에는 경험이 많지 않은 작가들, 나이가 어린 학생 작가들도 많이 있다. 이들은 작품을 통해 유명해지고 싶다기보다는 단순히 글을 쓰고 이야기를 만드는 것에 만족하고 즐거움을 느끼며, 취미로 글을 쓰거나 연습 삼아 글을 쓰는 작가들이 많다. 이들은 자신의 작품을 읽는 사람들에게 재미와 흥미를 주는 것이 주된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독자의 상상을 돕고 흥미와 관심을 더욱 끌기 위해서 일러스트와 같은 시각적 이미지나 효과음, BGM 같은 음성과 결합하기도 한다.
종이 소설과 큰 차이점 중 하나는 웹 소설은 한 회, 한 회씩 연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분량조절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한 회에 너무 많은 내용을 담아서도 안 되고, 그러면서도 회마다 기승전결이 나름대로 있어야 하며, 한 회, 한 회가 전체적인 내용의 흐름과 어색함이 없어야 한다. 또한 궁금증을 유발하는 마무리로, 독자들이 다음...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새로운 컨텐츠 시장, 웹소설! 국내 서비스 현황은?! : 네이버 포스트
[아삭아삭! 스낵컬처] 핫!한 웹소설 원작 드라마들 '구르미 그린 달빛' '신데렐라와 네 명의 기사' '보보경심: 려' : 네이버 TV연예
강신주, 강신주의 감정수업, 믿음사 (2013)
교보문고, 해외저자사전 「기욤 뮈소 [Guillaume Musso]」 (2014)
기욤 뮈소 (Guillaume Musso) Parce que je t'aime XO Editions (2008)
기욤 뮈소, 윤미연 역, 구해줘 밝은세상 (2006)
기욤 뮈소, 전미연 역, 사랑하기 때문에 밝은세상 (2009)
김경희, 정서 심리학, 박영사 (2004)
김동민 PD, 노컷뉴스 「산 할아버지의 마지막 소원 ''''딸을 찾아 주세요.」, 2008.10.09
디지털 뉴스팀, 경향신문 「“내 아들 왕따시켜?” 자살한 아들 학교에 방화…빗나간 부정」 2012.08.02
매건 트레지더, 손성경 역, 사랑의 비밀(The Secret Language of Love), 문학동네 (2000)
에히리 프롬, 이완희 역, 사랑의 기술, 홍신문화사 (2009)
하석기자, 한겨레신문 「돈받고 장기이식 순서 바꿔줘」 2004.02.20
위키백과, 패리스 힐튼 (Paris Hilton) (ko.wikipedi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