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GI bleeding 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위장관 출혈의 정의 및 병태생리
1.2. 위장관 출혈의 역학
1.3.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2.1. 소화기계의 해부학적 위치와 기능
2.2. 상부위장관 출혈의 원인
2.3. 하부위장관 출혈의 원인
2.4. 병태생리
2.5. 증상 및 징후
2.6. 진단
2.7. 치료
2.8. 간호
3. Case study
3.1. 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 건강사정
3.2. 검사 및 치료과정
3.3. 간호진단 목록 및 간호과정 적용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위장관 출혈의 정의 및 병태생리
위장관 출혈은 출혈 부위에 따라 식도와 위, 소장, 대장 등의 점막 손상으로 혈관이 노출되어 발생하는 출혈이다. 위장관 출혈은 식도, 위, 십이지장에서 발생하는 상부위장관 출혈과 소장과 대장에 문제가 되는 하부위장관 출혈로 구분된다. 중환자실 입원 환자에서 비교적 흔한 진단 및 합병증이며, 신속한 응급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위험한 질환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상부위장관 출혈의 가장 많은 원인은 소화성 궤양으로 약 50%를 차지하며, Mallory Weiss 증후군은 5~15%, 정맥류 출혈은 5~30%로 나타난다. 그 외에 NSAIDs나 알코올 등에 의한 출혈성 위병변, 미란성 위염, 미란성 식도염 등이 원인이 된다. 소화성 궤양은 Helicobacter pylori 감염, NSAIDs 복용, 위산 과다 분비, 스트레스 등으로 호발하며, Mallory Weiss 증후군은 구토나 기침 등과 연관되어 발생한다. 식도 또는 위 정맥류 출혈은 간경변증 환자에게서 문맥고혈압으로 인해 주로 발생한다.
하부위장관 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은 게실증이며, 혈관 이형성증, 허혈성 장질환 등도 원인이 된다. 게실이 점점 커지면서 혈관이 노출되어 자극에 의해 출혈이 발생하며, 혈관 이형성증은 우측 대장에 주로 발생하는 동정맥 기형으로 노인 환자에서 많이 나타난다. 허혈성 장질환은 혈액순환 장애와 세균 감염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1.2. 위장관 출혈의 역학
위장관 출혈은 성인에게 흔히 발생하는 응급 질환으로, 상부 위장관 출혈이 매년 10만명당 100명 정도, 하부 위장관 출혈이 10만명당 20명 정도 발생한다. 상부 위장관 출혈은 남성에게서 더 흔하게 발생하며, 노인 인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발생률을 보인다. 하부 위장관 출혈 역시 남성과 노인 환자에서 더 자주 관찰된다. 일반적으로 상부 위장관 출혈 환자의 4%는 선홍색 출혈변(hematochezia)을 보이는데, 이들은 흑색변만 있는 경우에 비해 수혈 빈도가 높고 수술이나 사망 위험도가 높은 편이다.
1.3.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위장관 출혈의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는 생명을 구하는데 필수적이다. 위장관 출혈은 서양에서는 사망률이 최고 13%로 보고될 정도로 위험한 질환이며 국내에서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위장관에서 대량으로 출혈이 일어나거나 재출혈이 반복될 경우 또는 대상자의 연령이 고령일 경우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즉, 신속한 응급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위험한 질환이 바로 위장관 출혈이다. 따라서 위장관 출혈 대상자가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로 하는 간호 요구는 무엇인지, 위장관 출혈 대상자의 간호 중재는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사례를 통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위장관 출혈의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위한 간호중재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2. 문헌고찰
2.1. 소화기계의 해부학적 위치와 기능
소화기계의 해부학적 위치와 기능이다.
소화기계는 해부학적, 기능적으로 음식의 소화·흡수·분비를 담당하고 있는 위장관(gastrointestinal tract:GI track)과 부속소화기관으로 나뉜다. 위장관의 길이는 약 9cm이며 상부와 하부로 구분된다.
위는 횡격막 바로 아래 복강의 정중면에서 좌측으로 치우쳐 제 11흉추 높이에서 식도와 연결하고, 제 1요추 높이세서 소장의 십이지장과 연결되어 있다. 위의 용량은 신생의 경우 30mL, 성인은 1.5~2L 이상이 된다. 위는 분문부, 기저부, 체부, 유둔부 4분위로 나눌 수 있다.
소장은 위의 유문괄약근과 대장의 입구인 회맹판 사이의 ...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수문사
KMLE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 병원
삼성서울병원 위암센터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세브란스 위장관외과
세브란스 연세암병원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응급간호, 김영숙, 수문사, 2012
핵심 응급간호, Bemis Patricia Ann, 정문각, 2009
(smart) 응급진료 매뉴얼, 이상봉, 바른의학연구소, 2022
응급의학, 대한응급의학회, 군자, 2019
성인간호학, 윤은자, 수문사, 2019
성인간호학, Harding, 현문사, 2021
소화기 각종검사의 시술준비 및 간호, 퍼시픽북스, 2012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
응급간호학, Jennifer R저, 권영은 역, 포널스출판사, 2009
임상약리학, 은재순 강성용 외 3명, 현문사, 2012
ACLS Provider Manual, AHA
[네이버 지식백과] 간경변증 [liver cirrhosis]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약학정보원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성인간호학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