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유엔아동권리협약의 4가지 일반원칙을 제시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아동권리의 개념과 중요성
1.2.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채택 배경
1.3.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유엔아동권리협약의 4대 일반원칙
2.1. 무차별의 원칙
2.2. 아동 최상의 이익 원칙
2.3. 생존과 발달의 권리
2.4. 참여권(의견 존중) 원칙
3. 아동권리 침해 사례와 과제
3.1. 비차별 원칙 위반 사례
3.2. 아동 최선의 이익 침해 사례
3.3. 생존과 발달권 침해 사례
3.4. 참여권 침해 사례
3.5. 아동권리 보호를 위한 과제
4. 결론
4.1. 연구 요약 및 시사점
4.2. 아동 중심 사회를 위한 정책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아동권리의 개념과 중요성
아동권리의 개념과 중요성
아동은 성인에 비해 신체적·정신적으로 미성숙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취약하며, 자신의 권리를 적극적으로 주장하기 어려운 특성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동의 권리가 존중되지 않으면 아동은 학대와 방임 등 심각한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아동은 미래사회의 주역으로 성장할 잠재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사회 전체가 아동 권리에 관심을 두는 일은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국가의 발전과도 밀접하게 관련된다. 그러나 과거에는 아동의 권리가 성인의 권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시되거나 보호의 대상으로만 인식되는 경향이 컸다. 이는 아동이 비록 성장 과정에 있다고 하더라도 독립적인 인격체임을 제대로 인정하지 않았던 사회적 분위기에 기인한다. 이처럼 아동은 보호의 대상인 동시에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존엄한 주체임을 명확히 하고, 아동의 삶이 사회 모든 영역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보장되고 발전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과정은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1.2.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채택 배경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채택 배경은 다음과 같다. 아동은 과거에는 단순한 보호의 대상으로 여겨졌으나, 점차 독립적인 인격체로 인정받게 되었다. 이에 따라 아동의 권리를 체계적으로 보장하고자 하는 국제사회의 노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아동에 대한 학대와 폭력이 심각해지면서, 아동의 기본적 권리와 존엄성을 보장하는 국제적 협약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1989년 11월 유엔총회에서 유엔아동권리협약이 만장일치로 채택되었고, 1990년부터 국제법적 효력을 갖게 되었다. 이는 아동을 단순한 보호의 대상이 아닌 권리의 주체로 인정하고, 전 세계적으로 아동의 권리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국제사회의 노력을 보여준다.
1.3.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아동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미성숙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성인보다 취약하며, 자신의 권리를 적극적으로 주장하기 어렵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동의 권리가 존중되지 않으면 아동은 학대와 방임 등 심각한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아동은 미래사회의 주역으로 성장할 잠재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사회 전체가 아동 권리에 관심을 두는 일은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국가의 발전과도 밀접하게 관련된다. 본 연구는 아동의 권리 보호를 위한 대표적인 국제조약인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의의와 함께, 이 협약에서 강조하고 있는 4가지 일반원칙이 무엇이며 각각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아동을 온전한 권리의 주체로 보고 사회적·제도적 차원에서 어떠한 지원과 배려가 필요한지를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 아동이 안전하고 존중받는 삶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 제기를 통해 앞으로 아동이 처한 현실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과 실제적 실천이 모색될 필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이다.
2. 유엔아동권리협약의 4대 일반원칙
2.1. 무차별의 원칙
무차별의 원칙은 모든 아동이 인종, 성별, 종교, 사회적 신분 등 어떠한 이유로도 차별받아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2019년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 이주 아동 인구는 3,000만 명에 달하며, 이러한 아동들은 국적이나 종교, 언어가 다르다는 이유로 보편적 권리를 충분히 보장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무차별의 원칙은 모든 아동이 동등하게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서는 사회적 편견이 사라지고 제도적으로 차별을 방지하는 규정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모든 아동은 인종, 성별, 종교, 사회적 신분 등과 무관하게 동등한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다.
2.2. 아동 최상의 이익 원칙
아동 최상의 이익 원칙은 어떠한 결정을 내릴 때나 정책을 시행할 때, 아동에게 가장 유리한 방향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예컨대 아동학대 사건에서 법적 판단을 내리는 과정에서도 아동의 이익이 최우선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며, 아동에게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는 최대한 배제되어야 한다. 또한 아동복지 시설이나 대안 가정에 관련된 제도를 마련할 때도 아동의 안전과 발달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야 한다. 2023년 기준으로 국내에서 보호가 필요한 아동은 약 3만 명 정도로 추산되며, 이들이 가정 외 보호를 ...
참고 자료
강란혜 외 10명, 아동복지론, 대왕사, 2006
공계순 외, 아동복지론, 학지사, 2007
구혜영 외, 아동복지론, 신정, 2023
도미향 등, 아동복지론, 공동체, 2007
김태천, 국제인권규약(B규약)의 국제적 실시조치, 국제법학회논총 제40권 제2호, 1995
굿네이버스 굿씨드 캠페인 블로그
https://blog.naver.com/goodseed0119/222300799933
성남시청 복지 유엔아동권리협약 2015~2018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추진 백서, 유니세프
https://www.seongnam.go.kr/city/1001963/11307/contents.do
생각의 열쇠, 천개의 키워드(서울대 지식교양 강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470893&cid=68053&categoryId=68053
김영희, 『아동권리와 사회복지』, 학지사, 2020.
박정민, 「유엔아동권리협약과 한국의 아동복지정책」, 『복지와 정책연구』, 제12권, 2019, pp.45-68.
이수진, 『아동권리와 아동학대 예방』, 교문사, 2018.
조민아, 「아동권리침해 사례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아동복지연구』, 제23권, 2021, pp.89-112.
한지훈, 『유엔아동권리협약 해설』, 박영사, 2017.
홍성미, 「아동의 권리 존중과 참여 확대 방안」, 『사회복지실천연구』, 제10권, 2022, pp.23-40.
한국아동복지학회 편, 『아동복지 이론과 실제』, 공동체,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