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식중독균 제어의 개요
식중독균 제어란 식중독균을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방식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고전압 펄스, 전기장, 진동 자기장, 초고압, 초음파, 마이크로웨이브, 자외선 등을 이용한 물리적 제어법과 살균소독제를 사용한 화학적 제어법이 있으며, 유용 미생물군을 활용하는 생물학적 제어법도 있다. 화학적 제어법이 편의성과 경제성 때문에 식품 가공 공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살균제는 미생물의 세포벽을 파괴하거나 체내 대사 과정을 방해하여 미생물을 죽이거나 증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저감화는 어떤 것을 감소시키거나 줄이는 과정 또는 노력을 의미하며, 살균제는 미생물의 저감을 도와준다. 상승효과(Synergistic effect)란 전체적 효과에 기여하는 각 기능의 공동 작용, 종합 효과를 의미한다. 이번 실험의 목적은 저감화 실험 방법을 이해하고, 천연항균제와 살균소독제의 항균효과를 비교하며, 일반 대장균에 대한 천연항균제 조합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
1.2. 화학적 제어법으로서 살균제의 사용 현황
화학적 제어법으로서 살균제의 사용 현황이다. 고전압 펄스, 전기장, 진동 자기장, 초고압, 초음파, 마이크로웨이브, 자외선 등을 이용한 물리적 제어법과 hot water treatment, 염소계, 알콜계, 4급암모늄계, 요오드계, 산알칼리계, 계면활성제 처리 등과 같은 살균제를 사용한 화학적 제어법이 있으며, 유용 미생물군을 활용함으로써 위해 미생물을 제어하는 생물학적 제어법도 있다. 이러한 방식 중 살균제를 이용하는 화학적 제어법이 편의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였을 때 가장 널리 보급화 되어 있고, 대부분의 식품 가공 공장의 현장에서도 살균제를 사용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살균제란 생활 환경에서 세균이나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을 죽이거나 증식을 억제하는 생활 화학제품이나 농작물의 생장을 저해하는 미생물을 방제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농약을 말한다. 세균과 곰팡이를 비롯한 미생물은 고약한 냄새와 독성 물질을 분비해서 생활 환경을 악화시키고, 사람이나 동물 또는 농작물에 질병을 일으키기도 한다. 실내에서 미생물의 생장에 꼭 필요한 수분이 많은 곳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된다. 살균제는 미생물의 세포벽을 파괴하거나 체내의 대사 과정을 치명적으로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 저감화는 어떤 것을 감소시키거나 줄이는 과정 또는 노력을 의미하며, 살균제는 미생물의 저감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1.3. 실험의 목적 및 필요성
식중독균 제어란 식중독균을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방식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 중 편의성 및 경제성을 고려할 때 살균제를 이용하는 화학적 제어법이 가장 널리 보급화되어 있다. 그러나 살균제 사용의 부작용과 내성균 발현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천연 항균제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번 실험의 목적은 저감화 실험 방법을 이해하고, 저감화 처리 전후의 균수를 culture-based method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