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osteonecrosis cas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골괴사증의 개념과 원인
1.2. 골괴사증의 병태생리
1.3. 골괴사증의 진단검사
2. 본론
2.1. 골괴사증의 증상 및 징후
2.2. 골괴사증의 비수술적 치료
2.3. 골괴사증의 수술적 치료
2.3.1. 근위 경골 절골술
2.3.2. 무릎 인공 관절 전치환술
2.4. 골괴사증 환자 간호
2.4.1. 수술 전 간호
2.4.2. 수술 후 간호
2.4.3. 퇴원 시 간호
3. 사례 보고
3.1. 간호 사정
3.1.1. 개인력
3.1.2. 건강력
3.1.3. 신체 검진
3.1.4. 진단적 검사 결과
3.1.5. 수술명 및 경과
3.1.6. 투여 약물
3.2. 간호 진단, 계획, 중재, 평가
4. 결론
4.1. 연구 결과 요약
4.2. 골괴사증 관리를 위한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골괴사증의 개념과 원인
골괴사는 뼈에 혈액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뼈 조직이 괴사되는 질환이다. 주로 허벅지 뼈 위쪽, 팔 위쪽, 어깨, 무릎, 척추 등에서 발생하며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다.
골괴사의 주된 원인은 골절, 관절 손상, 탈구 등의 외상이다. 외상으로 인해 뼈와 혈관에 손상이 생기면 해당 부위로의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골괴사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과도한 음주로 인한 혈관 경화, 장기간의 스테로이드 복용으로 인한 지방 축적 등도 골괴사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는 혈액 순환을 방해하여 국소적인 허혈을 유발하여 골세포를 괴사시킨다.
그 외에도 열, 방사선, 대사 장애, 신경 혈관 장애 등 다양한 요인이 골괴사를 일으킬 수 있다. 이상의 원인들로 인해 뼈로 가는 혈액 공급이 차단되면 뼈 조직 및 세포가 파괴되어 골괴사가 발생한다.
1.2. 골괴사증의 병태생리
뼈를 재형성하는 골세포의 활동과 연관되어 있다. 아직 정확하게 알려진 병태생리는 없으나 최근 가설 중 대표적인 것은 혈관 내피 세포의 기능이 저하되어 혈액의 응고작용으로 원위부의 국소적인 허혈이 발생하면서 골세포들이 괴사되고 작용이 저하되어 골구조가 유지되지 않는다는 가설이다. 뼈에 혈액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괴사하는 병으로, 특정한 부위에 피가 돌지 않아서 뼈가 죽어버리게 된다. 산소와 영양이 충분히 공급되어야만 건강한 뼈를 유지할 수 있고, 혈액이 순환하며 뼈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한다. 이때 혈액 공급이 차단됨으로써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면 뼈에 산소와 영양이 공급되지 못하고, 그 부위의 뼈가 죽어버리고 뼈에 구멍이 생기다가 완전히 뼈가 부서지게 된다. 따라서 무혈성 괴사는 뼈에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뼈조직이 괴사하는 병태생리를 가지고 있다.
1.3. 골괴사증의 진단검사
X-ray, MRI, CT, Bone scan 등의 진단 검사를 사용한다. 초기에는 X-ray에서 확인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MRI를 사용하는데, 이는 조기 진단을 가능하게 하고 침범의 정도를 가장 정확하게 보여주기 때문이다. X-ray에서는 이 질환이 보이지만, 초기에 정상으로 보일 수 있다. 따라서 MRI가 초기 골괴사증을 탐지할 수 있는 최선의 검사이다. MRI는 뼈 속 부종이나 혈관 손상의 소견을 보여주어 질환의 진행 정도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 골괴사증을 의심할 경우, X-ray와 MRI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다.
2. 본론
2.1. 골괴사증의 증상 및 징후
질병의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질환이 지속적으로 진행되면서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체중을 실어 걷거나 뛰게 되면 통증의 강도가 심해진다. 나중에는 관절까지 손상을 입게 되어 관절 운동에 제한이 생길 수 있다. 또한 뼈가 약해져 작은 충격에도 뼈가 쉽게 부러질 수 있다. 슬관절 골괴사증의 경우 무릎 내부를 따라 급성 통증을 야기하며, 압통이 있을 수 있고 과도한 액체로 인해 관절이 부어오르는 부종이 생길 수 있다. 무릎을 구부리는 것이 고통스럽고 절뚝거릴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뼈의 많은 부분이 허탈되면 골관절염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2.2. 골괴사증의 비수술적 치료
골괴사증의 비수술적 치료에는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소염진통제와 피를 묽게 하고 혈액 순환을 돕는 약물이 처방된다. 콜레스테롤을 낮추어 혈액 순환을 도와주는 약물도 처방된다.
또한 무리하지 않는 강도로 관절 운동을 수행하여 관절의 기능을 유지해야 하며, 체중을 감소하여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소염진통제와 혈액 순환을 돕는 약물은 통증을 감소시키고 혈액의 흐름을 개선하여 골괴사 진행을 지연시킬 수 있다. 관절 운동은 관절 기능의 유지와 보존에 효과적이며, 체중 감소는 관절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여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질환의 진행을 지연시킬 수 있다.
2.3. 골괴사증의 수술적 치료
2.3.1. 근위 경골 절골술
경골의 무릎 근처에서 뼈를 잘라 곧게 바로 잡아 고정하는 수술이다. 이는 관절염을 치료하기 위해 실시한다. 다리가 휘어 있을 때, 대퇴골의 내외측에 과도히 힘이 집중되게 되고 사소한 관절 연골이 닳아 관절 통증과 변형을 야기할 수 있다. 그 정도가 심해지면 'O자형'의 휜 다리가 된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 근위 경골 절골술을 실시하게 된다.
근위 경골 절골술을 실시하게 되면 체중 부하를 무릎 관절 전체에 분산시킬 수 있게 되어 무릎 통증이 완화된다. 보통 전치환술의 대상이 되는 연령보다 적은 65세 미만 환자에게 자주 실시하며, 비만이 아닌 활동적인 환자가 이상적인 수술 대상이다. 수술 후 비교적 정상적인 관절 운동, 힘들고 활동적인 활동을 원하는 경우에 시술한다. 이는 퇴행성 관절염이 아주 심하지 않은 경우에 가장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전치환술...
참고 자료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질환백과, 골괴사(Osteonecrosis)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20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1, 학지사메디컬, 2022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 학지사메디컬, 2022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이동숙 외, 기본간호학 2, ELSEVIER, 2019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시사상식사전, “무혈성 괴사”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8043&cid=43667&categoryId=43667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MSD 매뉴얼, “골괴사증”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B%BC%88,-%EA%B4%80%EC%A0%88,-%EA%B7%BC%EC%9C%A1-%EC%9E%A5%EC%95%A0/%EA%B3%A8%EA%B4%B4%EC%82%AC%EC%A6%9D/%EA%B3%A8%EA%B4%B4%EC%82%AC%EC%A6%9D
대한정형외과학회, “무릎의 골괴사증” https://www.koa.or.kr/info/index_10_2.php
대한정형외과학회, “무릎 인공 관절 전치환술”
https://m.koa.or.kr/infor/index.php?mv1=5&mv2=3&mv3=3&mv4=3
강릉아산병원, “무릎 인공 관절 전치환술”
https://www.gnah.co.kr/kor/CMS/Board/Board.do?mode=view&board_seq=2836&mgr_seq=10&mCode=MN114
대한슬관절학회, “근위 경골 절골술” http://www.koreaknee.or.kr/general/intro/intro01.html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증자가조절법”
https://www.hira.or.kr/cms/medi_info/02/01/1343540_27565.htm
서울아산병원, “CRP"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72
중앙메디칼, “CPM” https://jamedical.modoo.at/?link=5xpxv6d9
김조자 외(2017),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간호과정 실무지침 :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강남 세브란스 병원, http://gs.iseverance.com/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intro.do
의약품검색, http://www.druginfo.co.kr/cp/msdNew/detail/product_cp.aspx?cppid=36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