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EBN"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연하곤란 환자의 연하재활치료
2.1. 연하곤란의 정의와 원인
2.2. 전통적인 연하재활치료
2.3. 전기자극치료의 개념
2.4. 연하재활치료의 효과
2.5. 최근 시도되고 있는 연하재활치료
3. 임상질문
3.1. 배경 질문
3.1.1. 연하곤란이 있는 파킨슨병 환자와 뇌졸중 환자의 연하재활치료 효과 비교
3.1.2. 전기자극치료와 전통적 연하재활치료의 비교
3.2. 구체적 질문
3.2.1. 전기자극치료와 전통적 연하재활치료 간 효과 차이
4. 문헌검색
4.1. 문헌검색 전략
4.1.1. PICO 기반 검색어 선정
4.1.2. 선정기준 및 제외기준 설정
4.1.3. 검색 데이터베이스 선정
4.1.4. 데이터베이스 검색 결과
4.2. 문헌 요약
4.2.1. 전기자극치료와 전통적 연하재활치료의 효과 비교
4.2.2. 연하곤란 환자의 연하기능 향상을 위한 각 치료법의 장단점
5. 결론
5.1. 연구 요약
5.2. 연하재활치료의 효과적 적용을 위한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연하곤란은 음식물을 삼키기 힘든 증세이다. 연하곤란의 주요 원인에는 식도의 협착, 식도기능장애, 신경이나 근육의 질환 등이 있다. 연하곤란 환자들은 침을 흘리거나 음식물이 목에 걸리는 느낌, 체중감소와 영양부족, 흡인 등의 증상을 경험한다.
연하재활치료에는 입술 및 혀 운동, 인두 삼킴 기법, 보상기법, 온도-촉각 자극 등의 전통적인 방법이 있다. 또한 전기자극치료는 연하기능에 관여하는 근육에 전기자극을 가하여 근육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하재활치료를 통해 연하곤란을 개선할 경우 흡인성 폐렴, 질식, 영양실조 등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최근에는 식도 상부 괄약근 확장술, 윤상인두근 보툴리늄 독소 주사법, 타액분비 조절치료, 구강식도관 식이법, 신경조절치료법 등의 새로운 연하재활치료가 시도되고 있다.
연하곤란 환자의 연하재활치료 효과와 관련하여 임상질문이 제기되고 있다. 첫 번째는 연하곤란이 있는 파킨슨병 환자와 뇌졸중 환자의 연하재활치료 효과 비교이고, 두 번째는 전기자극치료와 전통적 연하재활치료의 비교이다. 이를 통해 특정 환자군에서의 효과적인 연하재활치료 방법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기자극치료와 전통적 연하재활치료 간 효과 차이에 대한 구체적인 질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두 치료법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연하기능 향상에 더욱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
2. 연하곤란 환자의 연하재활치료
2.1. 연하곤란의 정의와 원인
연하곤란, 즉 삼킴장애라고도 한다. 이는 음식물을 삼키기 힘든 증세이다. 음식물을 삼켜서 내려가는 과정에서 바로 걸린 것처럼 느끼는 증세이다. 연하곤란의 주요 원인으로는 치아의 이상, 감기, 경련, 진행성신경장애, 성대마비, 구강암, 수술 등이 있다. 가장 많은 원인은 위식도역류 등 식도 질환이다. 식도의 협착이나 기능장애가 연하곤란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신경이나 근육의 질환으로 인한 식도 운동장애도 연하곤란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히스테리성 구라고 하는 신경정신과적인 질환도 연하곤란과 흉통을 유발할 수 있다. 연하곤란 증상으로는 침을 흘리거나 식사중에 음식물이 목에 붙는 느낌, 가슴의 불쾌감, 목 부위에 이물질이 걸려 있는 것 같은 느낌, 체중감소와 영양부족, 기침이나 음식물의 흡인 등이 있다. []
2.2. 전통적인 연하재활치료
전통적인 연하재활치료는 입술 및 혀 운동, 인두 삼킴 기법(멘덴손 삼키기, 기도 폐쇄법, 힘주어 삼키기, 마사코 삼키기), 비디오 투시검사에 기초를 둔 보상기법(바로 앉기, 천천히 먹기, 손상된 쪽으로 고개 돌리기, 여러 번 삼키기 , 음식물을 작게 잘라서 먹기, 식사 후 올바른 자세 유지하기), 얼린 레몬 및 면봉을 사용한 온도-촉각 자극, 단계적 음식물 점성을 조절하기 등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법들을 통해 연하곤란 환자의 잔여 식괴를 제거하고 주변 근육의 기능을 회복시켜 효과적인 연하 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비디오 투시검사에 기반한 보상기법은 환자의 증상과 섭식 능력에 맞춰 개별화된 방법으로 연하 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처럼 전통적인 연하재활치료는 연하곤란 환자의 연하 기능 향상을 위해 다각도로 접근하고 있다.
2.3. 전기자극치료의 개념
신경근육 전기자극치료(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는 연하 기능에 관여하는 다양한 근육에 전기자극을 가하여 근육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대부분 표면전극을 사용하여 적용부위의 신경 섬유를 탈분극 시켜서 근육의 수축을 유도한다. 기능적 전기자극치료(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는 전기자극을 가하여 기능적으로 이용할 때를 말한다. 연하곤란 환자에게 NMES를 적용하면 연하기능 향상에 도움이 되는데, 식도 상부의 괄약근과 후두의 거상근 등 연하에 관여하는 근육들을 수축시킴으로써 연하기능을 개선한다. 최근에는 NMES와 전통적인 연하재활치료를 병행하여 환자의 연하기능과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NMES는 비침습적이고 편리한 방법이라는 점에서 임상적 활용도가 높다. 다만 일부 환자에서는 NMES 적용 시 불편감이나 피부 자극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2.4. 연하재활치료의 효과
연하장애로 인해 폐흡인이 지속되면 흡인성 폐렴이 발생할 수 있고, 고체류가 기도에 걸리면 질식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연하곤란으로 인하여 충분한 영양섭취가 불가해지면 영양실조가 발생할 수 있다. 연하재활치료를 통해 연하곤란을 개선시켜 위와 같은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즉, 연하재활치료는 연하곤란 환자의 연하기능을 향상시켜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적절한 영양섭취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치료법이다.
2.5. 최근 시도되고 있는 연하재활치료
최근 시도되고 있는 연하재활치료로는 식도 상부 괄약근 확장술, 윤상인두근 보툴리늄 독소 주사법, 타액분비 조절치료, 구강식도관(oro-esophageal tube) 식이법, 신경조절치료법(neuromodulation)이 있다.
식도 상부 괄약근 확장술은 연하장애의 원인이 식도 상부 괄약근의 수축이나 경련인 경우에 시행되며, 윤상인두근 보툴리늄 독소 주사법은 ...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연하곤란 [dysphagia, 嚥下困難]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07816&cid=40942&categoryId=32774
한태륜, 신경학,2005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Frost, J., Robinson, H. F., & Hibberd, J. (2018). A comparison of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and traditional therapy, versus traditional therapy in patients with longstanding dysphagia. Current Opinion in Ot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26(3), 167-173.
Zhang, M., Tao, T., Zhang, Z. B., Zhu, X., Fan, W. G., Pu, L. J., ... & Yue, S. W. (2016). Effectiveness of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patients with dysphagia with medullary infarc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7(3), 355-362.
Meng, P., Zhang, S., Wang, Q., Wang, P., Han, C., Gao, J., & Yue, S. (2018). The effect of surface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patients with post-stroke dysphagia. Journal of back and musculoskeletal rehabilitation, 31(2), 363-370.
Tang, Y., Lin, X., Lin, X. J., Zheng, W., Zheng, Z. K., Lin, Z. M., & Chen, J. H. (2017). Therapeutic efficacy of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and electromyographic biofeedback on Alzheimer's disease patients with dysphagia. Medicine, 96(36).
박은정 ( Eun Jung Park ), 뇌졸중 환자의 연하장애에 대한 전기자극치료와 전통적 재활치료의 비교, 2013,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김남영(2005), 웹기반 근거-중심 간호 직무교육이 직무지식, 수행 및 동기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임난영. (1989). 비위관 삽입시 위치 확인방법에 대한 고찰. The Korean nurse v.28 no.2 pp.42-48.
Tho PC, Mordiffi S, Ang E, Chen H. Implementation of the evidence review on best practice for confirming the correct placement of nasogastric tube in patients in an acute care hospital. Int J Evid Based Healthc. 2011 Mar;9(1):51-60. doi: 10.1111/j.1744-1609.2010.00200.x. PMID: 21332663.
Turgay AS, Khorshid L. Effectiveness of the auscultatory and pH methods in predicting feeding tube placement. J Clin Nurs. 2010 Jun;19(11-12):1553-9. doi: 10.1111/j.1365-2702.2010.03191.x. PMID: 20579197.
Boeykens K, Steeman E, Duysburgh I. Reliability of pH measurement and the auscultatory method to confirm the position of a nasogastric tube. Int J Nurs Stud. 2014 Nov;51(11):1427-33. doi: 10.1016/j.ijnurstu.2014.03.004. Epub 2014 Mar 25. PMID: 24731474.
Chau, Janita Pak-Chun1; Thompson, David R1; Fernandez, Ritin2; Griffiths, Rhonda2; Lo, Hoi-Shan1 Methods for determining the correct nasogastric tube placement after insertion: a meta-analysis, JBI Library of Systematic Reviews: Volume 7 - Issue 16 - p 679-760 doi: 10.11124/jbisrir-2009-197
TAYLOR, S. et al. Confirming nasogastric tube position with electromagnetic tracking versus pH or X-ray and tube radio-opacity. British Journal of Nursing, [s. l.], v. 23, n. 7, p. 352–358, 2014. Disponível em: http://lps3.search.ebscohost.com.libproxy.changwon.ac.kr/login.aspx?direct=true&db=ccm&AN=103930485&lang=ko&site=ehost-live. Acesso em: 1 out.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