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타워크레인 안전관리
1.1. 재해 위험 요인
타워크레인 재해의 위험 요인은 주로 본체의 전도, 지브의 절손, 크레인 본체의 낙하, 화물의 낙하 등이다. 이러한 잠재적 재해 요인으로는 인양작업, 설치작업, 해체작업, 상승작업, 기타작업, 현장조건, 공정 및 공기, 기타 항목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적 요소로는 안전관리자 미배치 및 안전교육 미비, 안전작업수칙 미준수, 경험미숙자 투입, 안전보호구 미착용, 악천후 시 작업 실시 등이 있다. 물적 요소로는 자재 고정 방법 불량, 장비 점검 불량, 장비의 용량 초과, 안전 장치 고장 등이 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운영상 사고, 설치/해체 시 근로자의 실수나 기계 결함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타워크레인의 주요 구조물 위험징후로는 메인지브의 연결핀 이탈, 권상장치의 브레이크 및 감속기의 이상음, 권과방지장치 고장, 권상 와이어로프의 마모 및 소선 절단, 텔레스코픽 케이지의 대차레일 손상, 유압장치의 이상음, 턴테이블의 선회 제어장치 전기부품 접촉 불량 등이 있다. 이러한 위험징후가 발생할 경우 지브 파단, 자재 낙하, 메인 지브 붕괴 등의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1.2. 재해 사고 유형
타워크레인 사고 유형은 운영상 사고와 설치/해체 시의 근로자의 실수나 기계결함으로 나눌 수 있다.
운영상 사고 유형으로는 작업부주의, 신호전달체계 미흡, 하부근로자에 대한 통제 부족, 기계결함 등이 있다. 작업부주의로 인한 사고는 크레인 운전자나 신호수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한다. 신호전달체계 미흡으로 인한 사고는 크레인 운전수와 신호수 간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이다. 하부근로자에 대한 통제 부족으로 인한 사고는 크레인 아래에서 작업하던 근로자에 대한 관리가 소홀하여 발생하는 사고이다. 마지막으로 기계결함으로 인한 사고는 크레인 자체의 고장이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이다.
설치/해체 시의 근로자의 실수나 기계결함으로 인한 사고로는 지브파단 사고가 있다. 지브파단 사고는 메인지브 연결부위의 이격, 권상장치 및 권과방지장치 고장, 와이어로프 마모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메인지브 연결부위의 이격으로 인한 연결핀 이탈, 권상장치 고장으로 인한 불시 자재 낙하, 와이어로프 마모로 인한 파단 등이 대표적인 원인이다.
이처럼 타워크레인 사고는 운영상의 문제점과 설치 및 해체 과정에서의 문제점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운전자와 신호수 간의 소통 체계 확립, 하부근로자에 대한 통제, 정기적인 점검과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설치 및 해체 작업 시 안전관리 강화와 전문 인력 투입, 엄격한 안전기준 적용이 필수적이다."
1.3. 주요 구조물 위험징후 및 조치사항
주요 구조물 위험징후 및 조치사항이다.
메인지브의 경우 연결핀과 연결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판 사이에 이격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경우 연결핀 이탈로 인한 메인 지브 파단 위험이 있다. 따라서 연결핀 교체가 필요하다. 또한 자재 운반 중 지브가 순간적으로 파단되면서 낙하되는 자재에 의해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권상장치의 경우 권상 전동기의 브레이크 및 감속기에서 이상음이 발생되는 경우 인양작업 중 불시 낙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수리 또는 교체가 필요하다. 권과방지장치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 훅 블록이 과상승하여 상부 지브와 훅 블록의 충돌로 인해 권상 와이어로프의 파단 위험이 있으므로 수리가 필요하다. 권상 와이어로프의 마모(원래 규격의 지름감소 7% 이상) 및 소선 일부 절단(한 꼬임에서 소선의 수가 10% 이상) 현상이 있는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권상 와이어로프 파단 위험이 있으므로 전체 교체가 필요하다.
상부 구조물의 경우 텔레스코픽 케이지 마스트 반입, 반출시 이용되는 대차레일의 손상이 있는 경우 반입, 반출이 어려워 일직선을 맞추기 위해 선회동작 등 불필요한 작업을 하여 상부 구조물 붕괴 위험이 있다. 따라서 수리 또는 전체를 교체해야 한다. 텔레스코픽 케이지 하강작업 중 "덜덜덜"거리는 이상음이 발생하거나 마스트 연장 작업 중 최종 마스트와 턴테이블 고정 작업을 하기 위해 텔레스코픽 케이지를 하강하는 순간 상부 구조물 붕괴 위험이 있다. 이 경우 작업을 즉시 중지해야 한다. 유압장치의 유압호스 접속부가 헐거운 상태이거나 유압모터에서 '끼익'하는 이상음이 발생하는 경우 텔레스코픽케이지 급하강 위험이 있으므로 유압장치 수리 또는 전체를 신품으로 교체해야 한다.
균형이 맞지 않은 상태에서 유압실린더 하강 작동 중 실린더 받침대가 마스트 수평지지대에 견고히 고정되지 않아 이탈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부 구조물의 붕괴 위험이 있다. 따라서 작업을 즉시 중지해야 한다. 턴테이블 선회 제어장치의 전기부품 접촉 불량으로 선회 동작 중 이상 흔들림이 발생하거나 턴테이블 상부와 운전실 하단의 캐빈 마스트 체결상태가 완전히 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부 구조물 붕괴 위험이 있으므로 제어장치 전기부품을 수리 또는 교체하고, 연결볼트 해제 후 재조립해야 한다.주요 구조물의 위험징후와 이에 대한 조치사항을 살펴보면, 메인지브의 연결핀 이탈, 권상장치의 이상음 발생, 텔레스코픽 케이지와 유압장치의 문제, 턴테이블과 마스트의 체결 문제 등 다양한 부분에서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면 신속한 조치가 필요한데, 연결핀 교체, 장치 수리 및 교체, 작업 중지 등의 조치를 통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타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