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듣기평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한국어 능력 평가의 중요성
1.2. 한국어 듣기 교육의 필요성
1.3. 연구의 목적
2. 본론
2.1. 한국어 듣기 평가 문항 분석
2.1.1. 제35회 TOPIK 1 기출문제 분석
2.1.2. 제36회 TOPIK 1 기출문제 분석
2.1.3. 제37회 TOPIK 1 기출문제 분석
2.1.4. 제60회 TOPIK 1 기출문제 분석
2.1.5. 제64회 TOPIK 1 기출문제 분석
2.2.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제시
2.2.1. 일상생활 언어와의 괴리
2.2.2. 정답의 모호성 및 애매성
2.2.3. 문항 구성의 적절성 부족
3. 결론
3.1. 연구 결과 요약
3.2. 한국어 듣기 평가의 개선 방향
3.3. 한국어 교육에의 시사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한국어 능력 평가의 중요성
한국어 능력 평가의 중요성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외국인과 교포를 대상으로 한국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데에 있다. 이는 한국어로 듣고 말하고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학습자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편, 한국어 교육에서 듣기 평가는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청취 능력이 부족할 경우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정제된 학습 자료로 듣기 교육을 받은 학습자의 경우 실제 생활에서의 듣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므로, 정제된 것과 정제되지 않은 것을 고루 평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처럼 한국어 능력 평가는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2. 한국어 듣기 교육의 필요성
한국어 듣기 교육의 필요성이다. 한국어에 대한 지식이 아니라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 한국어 능력 평가의 목적이다. 음성으로 진행되는 의사소통 행위는 듣기와 말하기 간 상호 순환적인 과정을 거치게 되며, 듣기가 불가능할 경우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의사소통 향상을 위하여 듣기 교육의 경우 평가 또한 중요한 교육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정제된 학습 자료로 듣기 교육을 받은 학습자는 실생활에서의 듣기, 즉 정제되지 않은 현지에서의 듣기 생활에서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정제된 것과 정제되지 않은 것을 고루 평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1.3. 연구의 목적
한국어 듣기 교육의 필요성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실제 상황에서 듣기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제된 학습 자료뿐만 아니라 비정제된 실제 언어 자료를 활용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다양한 대화와 질문에 익숙해질 수 있게 하고, 나아가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듣기 평가 문항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듣기 평가와 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2. 본론
2.1. 한국어 듣기 평가 문항 분석
2.1.1. 제35회 TOPIK 1 기출문제 분석
출제자가 의도한 정답은 '잘 가요.'이다. 하지만 일상적인 대화를 고려할 때 상황에 따라 '(오늘 와 줘서) 고마워요. 잘 가요.'라는 인사를 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보기에서 '고마워요'를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수업은...
참고 자료
김주희, 한국어 듣기 교육을 위한 수행 평가 방안 연구 : 수행 과제 설계를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2017.
Xueqin, Tian, 한국어능력시험 듣기 텍스트 난이도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정덕진, 기출문항 분석을 통한 한국어능력시험 이해 영역의 평가 양상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한국어능력시험 사이트(www.topik.go.kr)
조희선,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강의 듣기를 위한 교수 학습 방안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유소정, 외국어능력시험과의 비교를 통한 한국어능력시험 듣기 문항 분석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LYU, XUHAN, TOPIK과 HSK 기출 문항의 답항 분석 - 듣기와 읽기를 중심으로 -,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Xueqin, Tian, 한국어능력시험 듣기 텍스트 난이도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제41회 TOPIK Ⅰ B
제60회 TOPIK Ⅰ B (홀수형)
제64회 TOPIK Ⅰ B (홀수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