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우울장애 개요
1.1. 우울장애의 정의
우울장애는 의욕 저하와 우울감을 주요 증상으로 하여 다양한 인지 및 정신 신체적 증상을 일으켜 일상 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질환이다. 우울장애는 감정, 생각, 신체 상태, 그리고 행동 등에 변화를 일으키는 심각한 질환이며, 이것은 한 개인의 전반적인 삶에 영향을 준다. 우울증은 일시적인 우울감과는 다르며 개인적인 약함의 표현이거나 의지로 없앨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상당수가 전문가의 도움을 받지 못하고 우울증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많아 안타까운 질환이기도 하다. 그러나 전문가의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면 상당한 호전을 기대할 수 있고 이전의 정상적인 생활로 돌아가는 것이 가능하다."
1.2. 우울장애의 원인
우울장애의 원인은 크게 생화학적 요인,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생화학적 요인은 최신의 뇌 영상 기기를 이용한 연구에서 우울증 환자의 뇌에 변화가 있음을 보여준다. 우울증 발생의 핵심적인 요인으로 신경전달물질이라 불리는 뇌 안의 물질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은 감정, 기분, 행동 등의 뇌 기능과 연결되어 있어 우울증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호르몬 불균형도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둘째, 유전적 요인은 우울증을 가진 가족 내에서 우울증이 더 잘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된다. 연구자들은 우울증을 발생시키는 유전자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셋째, 환경적 요인은 자신을 둘러싼 환경이 우울증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랑하는 사람의 상실, 경제적 문제, 강한 스트레스 등이 대표적인 환경적 요인이다. 이런 어려운 상황들은 개인의 대처 능력을 초과하여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처럼 우울장애는 생물학적, 유전적, 심리사회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따라서 우울증의 원인은 단일한 요인이 아닌 다양한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3. 우울장애의 증상
우울장애의 증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주된 증상으로는 우울한 기분, 흥미 및 즐거움의 상실, 수면장애, 식욕변화, 피로감, 무가치감, 죄책감, 집중력 저하, 자살사고 등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울한 기분과 삶에 대한 흥미 상실이 우울장애의 핵심 증상이다. 대부분의 우울증 환자들은 무기력감, 에너지 부족을 호소하며 대부분의 일상 활동을 수행하기 어려워한다"." 또한 4/5 정도의 우울증 환자에서 수면장애가 나타나는데, 특히 아침 일찍 깨거나 밤 사이 자주 깨는 증상이 많이 관찰된다"."
일부 환자의 경우 식욕이 감소하여 체중 감소를 보이기도 하지만, 반대로 식욕이 증가하고 수면시간이 늘어나는 비전형적인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불안증상도 90% 정도의 환자에서 나타나는 흔한 증상이며, 성욕 저하 등의 성적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절반 정도의 환자는 하루 중 증상의 정도가 변화하는데, 일반적으로 아침에 가장 심하고 오후로 갈수록 증상이 호전되는 경향을 보인다"." 집중력 저하와 같은 인지기능 저하 증상도 상당수의 환자에게서 나타날 수 있다"."
일부 우울증 환자들은 신체적 증상을 주로 호소하는데, 이런 경우 명확한 원인을 찾기 어려워 우울증 진단과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원인을 알 수 없는 지속적인 신체증상이 있다면 우울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1.4. 우울장애의 강도
우울장애의 강도는 경미한 우울증, 중도적 우울증, 그리고 심각한 우울증으로 구분된다.
경미한 우울증은 약간의 낙심스러운 감정과 함께 다소 처진 기분 또는 사소하거나 일시적인 환경에 대한 흥미상실로 특징지어진다.
중도적 우울증은 위의 증상들이 격화되며, 절망감이 훨씬 더 지배적으로 나타난다. 간헐적으로 우는 모습을 보이며, 생각하는 것이 다소 고통스럽고 둔화된다. 어느 정도의 자기 비난이 시작되며, 다소 식욕을 잃게 되고, 잠들기가 어려워지지만 일단 잠들면 그 밤을 견뎌낼 수 있다.
심각한 우울증은 극도의 슬픔, 처진 기분, 종종 울음을 터뜨리면서 침울해지는 것, 극도의 낙담, 많은 죄책감, 자기 비난, 자기 연민이 나타난다. 신체적으로 입맛과 수면에 심각한 혼란이 일어나며 심각한 변비가 나타나기도 한다.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며, 자신과 자신의 외모를 무시하기 시작한다.
즉, 우울장애의 강도는 경미한 수준부터 심각한 수준까지 다양하게 나타나며, 증상의 강도에 따라 우울증의 단계가 구분된다고 볼 수 있다.
1.5. 우울장애 치료방법
1.5.1. 자기관리 방법
자기관리 방법은 우울장애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울장애 환자들은 자신의 감정 상태를 잘 인지하지 못하고 증상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기관리 방법은 우울장애 환자들이 스스로 자신의 상태를 점검하고 증상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돕는다.
첫째, 어려움에 대비하는 것이다. 우울장애 환자들은 때때로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대비하여 평소에 증상 관리 계획을 세워놓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증상이 악화되면 어떤 방법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