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강북삼성병원 일반외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개방형 상처(open wound)의 정의 및 원인
2.1.2. 개방형 상처의 치료 원칙
2.2. 간호사정
2.2.1. 현병력
2.2.2. NANDA 간호사정
2.3. 진단적 검사
2.3.1. 혈액검사
2.3.2. 영상검사
2.4. 약물치료
2.5. 기타 치료
2.5.1. 경피경 간 담낭 배액술(PTGBD)
2.5.2. 담낭절제술
3. 결론
3.1. 요약
3.2. 향후 전망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첫 정형외과 실습에서 아직 정형외과 수술들과 수술 전·후 간호등에 대해서 잘 모르겠다는 것을 느꼈기에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정형외과 실습을 하면서 잘 몰랐던 수술들과 수술 전·후 간호, 그에 따른 진단과 간호과정에 대해 자료를 찾아보면서 공부하고자 한다.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개방형 상처(open wound)의 정의 및 원인
열린 상처(개방상처)는 피부 또는 점막이 찢어져서 바깥쪽으로 열린 상처를 말한다. 통증과 출혈이 있고 외부의 세균이 피부나 점막 속으로 들어가 감염의 위험이 높은 상처이다. 열린 상처를 그대로 방치하면 세균에 오염이 되기도 하고 조직이 괴사가 생기기도 한다. 상처 치료 피부는 우리 몸의 보호 층이며, 따라서 기계적 손상이 있는 경우 무결성이 손상되면 박테리아가 상처로 자유롭게 침투할 수 있다. 개방형 상처의 원인으로는 외상, 화상, 피부 및 연조직 감염 등이 있다. 특히 신체의 끝부분에 위치한 상처는 회복 정도를 예측하기 어려워 괴사 조직제거술이 필요할 수 있다.
2.1.2. 개방형 상처의 치료 원칙
개방형 상처의 치료 원칙은 다음과 같다.
상처 치료의 일반 원칙은 우선 상처 부위의 출혈을 멈추는 것이다. 상처 부위에 단단한 압력 붕대를 바르고, 필요에 따라 융통성 있는 붕대로 출혈 동맥을 꼬집는다. 또한 사지를 들어 올리면 출혈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심한 출혈이 있는 경우에는 지혈대를 사용할 수 있다.
상처가 감염되었을 경우, 초기 6~12시간 동안 미생물이 정적 상태에 있으므로 이 시기에 상처의 일차적 외과적 치료를 통해 상처에 갇힌 미생물과 영양 매체를 제거할 수 있다. 이는 상처 감염을 예방하는 주요 방법이 된다.
상처 부위를 소독제로 처리하는데, 퓨라실린이나 클로르헥시딘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트렙토시딘 정제를 분쇄하여 파우더 형태로 뿌리는 것도 도움이 된다. 과망간산칼륨 3% 용액, 과산화수소 3% 용액, 클로라민 2% 용액 등의 방부제도 사용될 수 있다.
상처의 감염이 진행되면 미생물의 병리학적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처의 균상, 상처의 얼룩, 혈액으로부터의 배양을 통해 미생물을 동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시기적절한 클렌징, 자가 소독제와 살균제의 증가, 유기체의 면역 생물학적 상태를 촉진하기 위한 조건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처의 휴식, 배출을 통해 박테리아의 발달에 불리한 조건을 만들고 미생물, 독소 및 분해 생성물의 혈액으로의 흡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팔다리 부상을 입은 개방상처의 경우 상처 안정과 상처 감염 예방이 중요하다.
상처 치료 시 급성기를 지나면 상처 치유, 상피화뿐만 아니라 손상된 장기의 기능 회복과 후속 합병증 예방이 목표가 된다. 이를 위해 복합 요법의 다양한 방법이 동원된다.
[]
2.2. 간호사정
2.2.1. 현...
...
참고 자료
Dr. Kamneva A.N,『상처 치료』,surgeon-live.com,2018.10.22.- http://ko.surgeon-live.com/content_lechenie-otkrytykh-ran.htm
서울아산병원,『죽은조직제거술(Debridement)』,서울아산병원검사/시술/수술정보,2018.10.22.-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473
약학정보원,『씨제이플라스마솔루션에이주(500mL)』,네이버 지식백과,2018.10.22.,- ,https://m.terms.naver.com/entry.nhn?cid=51000&docId=2136457&categoryId=51000
약학정보원,『휴니즈생리식염주사액(20mL)』,네이버 지식백과,2018.10.22.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46198&cid=51000&categoryId=51000
대한진단검사의학회,『CBC검사결과』,대한진단검사의학회/종합검진-혈액검사,2018.10.22. http://www.kslm.org/sub01/sub05_4.html
병원 전자간호기록지
김종임 외(2018). EBN 기본간호학2. 수문사.
박정숙 외(2018). 성인간호학1. 현문사.
박지원 외(2015). 성인간호학I. 수문사.
약학정보원, 2025.02.12, https://www.healt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