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흉부외과 실습일지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상세정보

소개글

"흉부외과 실습일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흉부외과 실습일지
1.1. 실습 기간 및 장소
1.2. 관찰 내용
1.2.1. 네블라이저
1.2.2. 가습기
1.3. 병원 입원 관리
1.3.1. 필요 물품 및 기구 준비
1.3.2. 입원 절차
1.3.3. 퇴원 교육
1.4. 간호활동 수행 내용
1.5. 이론과 실무의 차이
1.6. 추가 학습 내용

2. 성인건강간호학실습
2.1. 수술장 실습
2.1.1. 관찰 및 수행 내용
2.1.2. 용어 정리
2.2. 호흡기병동 실습
2.2.1. 기관지 내시경 검사
2.2.2. 폐기능 검사

3. 여성건강간호학실습
3.1. 실습 첫날
3.1.1. 경막외마취 시술 관찰
3.1.2. LEEP 시행 관찰
3.1.3. NST 관찰 및 처리
3.1.4. 피하이식 피임법 이식 관찰
3.1.5. 자연분만 관찰
3.2. 실습 둘째날
3.2.1. 인지프로그램 진행 보조
3.2.2. 경로당 방문 및 MMSE-DS 시행
3.3. 실습 셋째날
3.3.1. 방문보건 실시
3.3.2. 경로당 방문보건
3.4. 실습 넷째날
3.4.1. 방문보건 실시
3.4.2. 경로당 방문보건
3.5. 실습 다섯째날
3.5.1. 운동처방실 실습
3.5.2. 이유식 교육 프로그램 참관
3.6. 실습 여섯째날
3.6.1. 건강생활실천사업실 실습
3.6.2. 영양플러스 사업대상 방문
3.7. 실습 일곱째날
3.7.1. 예방접종실 실습
3.8. 실습 여덟째날
3.8.1. 결핵팀 실습
3.9. 실습 아홉째날
3.9.1. 치매안심센터 인지프로그램 진행 보조
3.9.2. 보건교육 시뮬레이션 진행
3.10. 실습 열째날
3.10.1. 보건교육 검토
3.10.2. 어울림운동교실 진행

4. 노인건강간호학 실습
4.1. 첫째 날
4.1.1. 활력징후 측정
4.1.2. 체위변경 및 back care
4.1.3. L-tube feeding
4.1.4. Spoon feeding
4.1.5. 기관절개관 흡인 관찰
4.2. 둘째 날
4.2.1. 상처간호 관찰
4.2.2. 기관절개관 관리 관찰
4.2.3. 운동 프로그램 참관
4.3. 셋째 날
4.3.1. Urine bag 관리
4.4. 넷째 날
4.4.1. L-tube 실습
4.5. 다섯째 날
4.5.1. 자주색집뇨관증후군 학습
4.6. 여섯째 날
4.6.1. 무균술 학습
4.7. 일곱째 날
4.7.1. 기관절개관 관리
4.7.2. 구강 간호
4.8. 여덟째 날
4.8.1. 노인 약물 관리 원칙 학습
4.9. 아홉째 날
4.9.1. ABGA 검사 관찰
4.10. 열째 날
4.10.1. 고압 산소 치료 환자 간호 관찰

본문내용

1. 흉부외과 실습일지
1.1. 실습 기간 및 장소

실습은 2013년 2월 25일부터 2월 28일까지 대구 파티마 병원 61병동(흉부외과, 성형외과)에서 이루어졌다.


네블라이저(Drug-Nebulizer)

네블라이저는 공기압축기(air compressor) 등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수분 내지 수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약제를 하부호흡기로 직접 투입하기 위한 장비이다. 상·하기도 감염증, 폐색성폐질환, 기도협착과 경련, 기도부종, 기도내 진한 분비물이 있을 때 주로 사용된다. 오염된 네블라이저 세트의 사용으로 인한 하부호흡기 감염이 부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다. 네블라이저 사용 과정에서는 환자와 보호자에게 사용 목적과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고, 환자의 호흡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 및 기록한다. 사용 후에는 분무기를 깨끗이 세척하고 소독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습기(Cold Humidification)

가습기는 흡입공기의 습도를 적절히 유지하여 기관지내 분비물의 정상 점도를 유지함으로써 점막을 보호하고 호흡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수술이나 검사 후 기도내의 점액을 묽게 하여 배출되게 한다. 호흡기질환 환자와 전신마취를 시행한 환자에게 주로 사용된다. 가습기 사용 시 물 교체와 청소를 주기적으로 하여 호흡기 감염을 예방해야 한다.


병원 입원 시에는 필요한 물품과 기구를 준비하고, 의사 처방을 받아 입원절차를 진행한다. 환자의 신분을 확인하고 간호계획을 수립하며, 진행될 검사나 처치에 대한 설명과 기록을 한다. 퇴원 시에는 퇴원지침을 작성하여 약물, 식이, 상처관리 등을 교육하고, 퇴원 시간과 방법, 대상자 정보를 기록한다.


4시- 일상 V/S, 네블라이저 치료
8시- 특별 V/S
10시- 네블라이저 치료 및 약물 재기
기타 OP v/s, 신환 체중 및 키 측정, bed making, IV 제거, v/s 기록, incentive spirometer 사용법 지도


이론적으로는 정해진 순서와 규칙을 철저히 지켜야 하지만, 실제 임상에서는 개인의 능력과 경험에 따라 더 효율적으로 업무를 진행할 수 있었다. 또한 환자와의 관계에서도 이론보다 더 친근하고 대상자 특성에 맞는 의사소통이 이루어졌다. 다만 손씻기와 감염관리 등 기본적인 원칙은 이론과 실무에서 모두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Angio, ACG, A.I, AMI, UAP, A.P, APSD, A.R, AS, COA 등 흉부외과 관련 용어와 약물 투여 관련 용어(Rx, stat, DC, prn, sos, agit, c, M, non rep, rept, s 등)를 학습하였다. 또한 투약 주의사항, 용법, 용량 등에 대해서도 추가로 공부하였다.


1.2. 관찰 내용
1.2.1. 네블라이저

목적은 공기압축기(air compressor) 등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수분 내지 수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약제를 하부호흡기로 직접 투입하기 위함이다. 상·하기도 감염증, 폐색성폐질환, 기도협착과 경련, 기도부종, 기도내 진한 분비물 등의 적응증이 있다. 오염된 네블라이저 세트 사용으로 인해 하부호흡기 감염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네블라이저 사용 시에는 먼저 환자와 보호자에게 사용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그 후 소독된 분무기의 윗부분을 열고 처방된 약을 drug reservoir내의 용기에 넣는다. 분무기의 윗부분을 잘 잠그고 마스크 또는 마우스피스를 끼운 뒤 본체에 연결하여 전원을 켜고 마우스피스 가까이에 입술을 대고 흡입할 수 있을 때까지 분무를 들이마시고 잠깐 유지한 후 천천히 숨을 내쉰다. 이 과정을 계속 반복하여 분무가 나오지 않을 때까지 시행한다. 마지막으로 스위치를 끄고 마스크와 분무기를 분리하여 따뜻한 물로 잘 닦고 흐르는 수돗물에 헹군 뒤 소독한다.


1.2.2. 가습기

가습기의 목적은 공기 중 습도를 적절히 유지시켜 기관지 내 분비물의 정상 점도를 유지함으로써 점막을 보호하고 호흡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수술이나 검사 후 기도 내의 점액을 묽게 하여 잘 배출되게 한다.

가습기를 사용하기 전에는 환자와 보호자에게 사용 목적과 결과를 설명한다. 깨끗이 씻어 건조시킨 가습기를 작동시켜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물이 없는 상태에서 평평한 곳에 설치한다. 물통에 깨끗한 물을 정해진 선까지 붓고 전원을 연결하여 물입자가 나오도록 조절한다. 2시간마다 10분간 가동을 중단하며, 가습기 사용 중에도 매일 물통의 물을 갈아준다. 환자의 호흡 양상 변화를 관찰하고 기록한다. 사용 후에는 물을 모두 버리고 잘 닦아 건조시킨 뒤 습기가 적은 곳에 보관한다.

가습기 사용으로 환자의 점액이 묽어져 배출이 용이해지고, 호흡이 편해질 수 있다. 그러나 오염된 가습기를 사용하는 경우 하부 호흡기 감염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가습기 관리와 사용법을 철저히 지켜 환자의 상태를 꾸준히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다.


1.3. 병원 입원 관리
1.3.1. 필요 물품 및 기구 준비

필요 물품 및 기구 준비

병원에 입원한 환자를 돌보기 위해서는 다양한 물품과 기구가 준비되어야 한다. 우선 네블라이저, 가습기 등의 호흡기 관리 장비가 필요하다. 그 외에도 환자의 활력징후 측정을 위한 혈압계, 체온계, 산소포화도 측정기 등이 있어야 한다. 환자의 개인 위생 관리를 위해 수건, 비누, 면봉 등의 세면 용품이 준비되어야 하며, 상처 관리를 위한 드레싱 키트, 반창고 등이 필요하다. 또한 주사기, 수액세트, 정맥 주사를 위한 정맥로 확보 물품 등이 갖춰져 있어야 한다. 이 외에도 간호기록지, 환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팔찌 등이 준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환자의 상태와 간호 요구에 따라 다양한 물품과 기구가 갖춰져 있어야 하며, 간호사는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1.3.2. 입원 절차

병원에 입원하는 환자는 먼저 병실로 안내되며, 담당의사에게 알리고 처방을 받는다. 신분확인용 팔찌를 착용하고 기초적인 신체사정을 시행한다. 그리고 병동 소개와 병실 안내 및 병원 규칙을 설명받는다. 이후 환의로 갈아입고 활력징후를 측정하며, 복용 중인 약물을 확인하고 간호계획을 수립한다. 진행될 검사나 처치에 대해서도 설명을 듣고 기록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병원에 입원하는 환자는 적절한 간호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환자가 병원에 입원하면 먼저 필요한 물품과 기구를 준비하고 침상을 정리한다. 그 후 병실로 안내하며 담당의사에게 알려 처방을 받는다. 입원 시 신분확인용 팔찌를 착용하고 기초적인 신체사정을 시행한다. 또한 병동 소개와 병실 안내, 병원 규칙에 대해 설명을 듣는다. 이어서 환의로 갈아입고 활력징후를 측정하며, 복용 중인 약물을 확인하고 간호계획을 수립한다. 진행될 검사나 처치에 대해서도 설명을 듣고 기록한다. 이러한 입원 절차를 통해 병원은 환자에게 안전하고 체계적인 간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병원에 입원하는 환자는 먼저 필요한 물품과 기구를 준비하고 침상을 정리한 병실로 안내된다. 그리고 담당의사에게 알려 처방을 받으며, 신분확인용 팔찌를 착용하고 기초적인 신체사정을 받는다. 이후 병동 소개와 병실 안내, 병원 규칙 설명을 듣고, 환의로 갈아입은 뒤 활력징후 측정과 복용 약물 확인, 간호계획 수립 등의 절차를 거친다. 또한 진행될 검사나 처치에 대해 설명을 듣고 기록한다. 이와 같은 입원 절차를 통해 병원은 환자에게 안전하고 체계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1.3.3. 퇴원 교육

대상자와 함께 퇴원과 관련된 세부 사항을 확인한다. 퇴원 시 요구되는 검사 시행 유무를 파악한다. 대상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퇴원 지침 양식을 작성한다. 퇴원 후 투약, 식이, 목욕, 활동제한, 상처간호, 특수기구 사용, 추후 방문 등에 대해 교육한다. 합병증 발생 시 아는 방법과 조치사항을 설명한다. 대상자가 보관해둔 귀중품과 퇴원 약을 챙겨준다. 퇴원 시간과 방법, 목적지, 동반자, 물품, 처방 등을 기록한다. 필요시 검사 및 외래 예약을 하고, 퇴원계에 주요 정보를 기록하여 의무기록과에 보관한다.

퇴원 교육은 대상자가 안전하고 원활하게 퇴원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이다. 퇴원과 관련된 다양한 사항들을 대상자와 함께 확인하고, 퇴원 후 관리에 대해 교육하여 지속적인 건강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대상자의 이해도를 확인하며 질문에 자세히 답변함으로써 퇴원 후 대상자의 요구와 불안을 해소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퇴원 준비 과정과 퇴원 시 정보를 체계적으로 기록하여 관련 부서와 공유함으로써 안전한 퇴원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1.4. 간호활동 수행 내용

4시- routine V/S, nebulizer치료이다. 8시- special V/S이다. 10시- nebulizer치료& 약물재기이다. 그 밖의 OP v/s, 신환 체중 및 키 측정(v/s), bed making, IV remove, v/s charting incentive spirometer(강화폐활량계)사용법 지도이다. 5 Right · Right drug - 정확한 약물, Right dose - 정확한 용량, Right route - 정확한 경로 Right client - 정확한 대상자, Right Time - 정확한 시간이다. Rx (recipe = take) : 처방 , stat (statim = at once) : 즉시 , DC (discontinue) : 중단 , prn (pro re nata = when needed) : 필요시마다 , sos (si opus sit) : 위급시 , agit (agita, shake, sitr) : 흔들어, 저어서 , c (cum = with) : 같이 , 함께 , M (mix) : 혼합해서 , non rep (do not repeat) : 반복하지 말 것 , rept (may by repeated) : 반복해도 됨 , s (sine = without) : ~ 없이 , Routine order : 정규처방 , verbal order , phone order : 구두처방, 전화처방이다.


1.5. 이론과 실무의 차이

이론은 정해진 규칙과 순서에 따라 간호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융통성이 부족한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실제 임상 현장에서는 간호사의 능력과 경험에 따라 상황에 맞게 능률적으로 간호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환자와의 관계 형성에 있어서도 실무에서는 환자의 특성에 맞춰 친근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 다만 손씻기나 감염관리와 같은 기본적인 간호 수행에 있어서는 이론과 실무가 모두 중요하게 여겨진다.

이론과 실무의 차이는 간호사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이론적으로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실제 임상 현장에서 상황에 맞는 융통성 있는 간호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환자와의 의사소통을 통해 신뢰 관계를 형성하고 환자 중심의 간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이론과 실무의 차이를 이해하고 이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전문 간호사로 성장하는 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1.6. 추가 학습 내용

Angio (angiography) 혈관 조영술: 동맥이나 정맥을 조영제를 주입하여 촬영하는 검사로, 혈관의 상태와 모양을 확인할 수 있다.

ACG (angio cardiography) 심장혈관 조영법: 심장의 혈관을 조영제를 주입하여 촬영하는 검사이다.

A.I (aotic insuffciency) 대동맥판 폐쇄부전증: 대동맥판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혈액이 역류하는 질환이다.

AMI (acute myocardial infarction) 급성 심근경색증: 심장 근육으로 가는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생기는 심근 손상이다.

UAP ( unstable angina pectoris ) 불안정한 협심증: 심근 허혈로 인해 발생하는 흉통으로, 안정 시에도 발생하고 지속 시간이 길다.

A.P (angina pectoris) 협심증: 심장 근육으로 가는 혈액 공급이 충분하지 않아 발생하는 흉통이다.

APSD (aortic-pulmonary septal defect) 대동맥 폐동맥 중격결손: 심장 내 혈액 흐름의 경로가 정상이 아닌 상태이다.

A.R (aortric regurgitation) 대동맥역류증, 대동맥폐쇄부전증: 대동맥판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혈액이 역류하는 질환이다.

AS (aortic stenosis) 대동맥판 협착증: 대동맥판이 좁아져 혈액 배출이 잘 안되는 질환이다.

COA(coarctation of aorta) 대동맥 협착증: 대동맥에 좁아진 부위가 있어 혈액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이다.

- 5 Right · Right drug - 정확한 약물, Right dose - 정확한 용량, Right route - 정확한 경로 Right client - 정확한 대상자, Right Time - 정확한 시간

- 투약 처방에 따른 분류 · Rx (recipe = take) : 처방 · stat (statim = at once) : 즉시 · DC (discontinue) : 중단 · prn (pro re nata = when needed) : 필요시마다 · sos (si opus sit) : 위급시 · agit (agita, shake, sitr) : 흔들어, 저어서 · c (cum = with) : 같이 , 함께 · M (mix) : 혼합해서 · non rep (do not repeat) : 반복하지 말 것 · rept (may by repeated) : 반복해도 됨 · s (sine = without) : ~ 없이 · Routine order : 정규처방 · verbal order , phone order : 구두처방, 전화처방


2. 성인건강간호학실습
2.1. 수술장 실습
2.1.1. 관찰 및 수행 내용

오전 1. 10:20 아데노이드의 비대를 동반한 편도의 비애 / T & A op., Rt. VTI Tonsilitis & adenoiditis operation이며, 편도와 아데노이드의 비대로 인한 수술이다.

오전 2. 내요도구의 악성신생물 / TUR-BT transurethral rese...


참고 자료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