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QI활동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주제 선정 및 팀 구성
1.1. 우선순위에 의한 주제선정
1.2. 주제선정 배경(필요성)
1.3. 팀 구성(팀명, 팀 일정표)
2. 자료수집 및 문제분석
2.1. 원인분석
2.2. 현황분석
3. 목표설정(핵심지표)
4. 개선활동 계획수립
5. 개선활동 수행
6. 향후계획 및 사후관리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주제 선정 및 팀 구성
1.1. 우선순위에 의한 주제선정
병동에 입원한 환자들은 대부분 정맥주사 요법을 필요로 한다. 미국 CDC(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에서는 혈관내 카테터와 관련된 감염 예방을 위해 성인은 매 72~96시간 마다 정맥주사 삽입부위의 변경을 권장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환자분들의 부주의로 인한 누출이나 일혈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아 부득이하게 교체하는 경우가 잦고, 이로 인해 환자들의 불편감을 호소하고 있다. 또한 이로 인해 간호 소요시간 및 물품 소모가 증가하게 되고 간호사의 스트레스로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잦은 말초 정맥의 확보로 인한 환자의 통증과 스트레스를 줄이고 간호소요시간 및 물품 소모 비용을 줄이기 위해 정맥수액요법 유지기간 개선을 QI 활동의 주제로 선정하였다.
1.2. 주제선정 배경(필요성)
병동에 입원한 환자들은 대부분 정맥주사 요법을 필요로 한다. 미국 CDC(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에서 혈관내 카테터와 관련된 감염 예방을 위한 권고안을 보면 정맥주사로 인한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성인은 매 72~96시간 마다 정맥주사 삽입부위의 변경을 권장하고 있다. 지난 8월 2-16일 광양사랑병원 실습을 나갔었는데, 광양사랑 병원은 합병증 예방차원으로 정맥주사 유지기간을 72시간으로 유지하고 있었지만 실제로는 환자분들의 부주의로 인한 누출이나 일혈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아 부득이하게 교체하는 경우가 잦아 불편감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이로 인해 간호 소요시간 및 물품 소모가 증가하게 되고 간호사의 스트레스로 이어지고 있다.
잦은 말초 정맥의 확보로 받는 통증이나 스트레스를 줄이고 더불어 간호소요시간 및 물품 소모 비용을 줄임으로 환자의 진료비 및 건강증진, 안녕에 기여하고자 한다.
1.3. 팀 구성(팀명, 팀 일정표)
팀명 관리왕 팀은 팀 구호로 '관리실습 A+받자!'를 정했다. 팀 규칙으로는 정해진 시간에 늦지 않게 모이기, 모든 활동 시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주제와 팀명 등을 정할 때 각자 의견을 내기, 카톡 확인 시 꼭 대답하기 등을 정했다.
팀원은 팀장인 이하린, 팀원인 이하영, 임연주, 장주영으로 구성되었다. 팀의 활동 일정으로는 주제선정 및 팀구성, 주제선정 배경 작성, 자료수집 및 문제분석, 활동계획수립, 개선활동 수행, 활동효과 파악, 향후계획 및 사후관리, 보고서 제출 등이 포함되어 있...
참고 자료
김민영, & 박의준. (2015). 중환자실 소음도와 소음에 대한 환자의 인지.
김명호,차일환,Kim Myung-Ho,and Cha Il-Whan. "병실내 소음도와 환자와의 관계."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6.1 (1973): 43-49.
김별님, 손민서, & 강인순. (2019). 소음관리교육이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음인지정도, 소음관리 수행도 및 소음 정도에 미치는 효과. 글로벌 건강과 간호, 9(2), 80-87.
윤선희, 곽나영, & 유양숙. (2020). 중환자실의 소음감소를 위한 중재의 개발 및 적용효과.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2(6).
이미화, 사공준, & 강복수. (2007). 종합병원의 소음이 환자 및 근무자에게 미치는 영향. 영남의대학술지, 24, 352-364.
정현욱. (2001). 종합병원 병동별 간호사실의 소음정도와 간호사실들의 소음인지도 및 소음관리노력 비교. 산업간호학회지, 10(2), 174-182.
Berglund, B., Lindvall, T., Schwela, D. H., &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9). Guidelines for community noise.
Darbyshire, J. L., & Young, J. D. (2013). An investigation of sound levels on intensive care units with reference to the WHO guidelines. Critical Care, 17(5), 1-8.
Terzi, B., Azizoğlu, F., Polat, Ş., Kaya, N., & İşsever, H. (2019). The effects of noise levels on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Nursing in critical care, 24(5), 299-305.
정명숙 외. 「알기쉽고 현장감 있는 간호관리학 제4판」. 현문사. 2020
전수진, 서영자 공저. 「언텍트 간호관리학 실습지침서」. 청암대학교. 2022
최영숙외. 「정맥주사 수액요법 유지기간 관리를 위한 개선활동」. 한국의료QA학회.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