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국가전자도서관 구축 추진배경
국가전자도서관 구축사업은 국내 주요 도서관을 연계하여 국가정보능력을 신장시키고 지역 간 균형있는 발전을 꾀하며, 향후 전국도서관들을 연결하여 국가문헌정보 유통체제를 구축하는 정보화 기반을 확립하고자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계획에 맞춰 1996년부터 6차에 걸쳐 추진되었다. 정보화 혁명의 대국민 인식수단과 초고속정보통신망의 주요 응용서비스로 부각되었고, 선진 각국의 전자도서관 구축의 국가적 추진이 이루어졌으며, 국내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과 보급 확대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국민이 쉽게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는 보편적인 초고속 응용서비스이자 국제적으로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중요한 응용분야로 전자도서관이 부각되었으며, 전통적인 정보이용방법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이 변화함에 따라 도서관 활성화 방안으로 정보통신기술의 도입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의 도서관 접근방법에 대한 이용자들의 욕구불만 증가와 정보이용자들의 정보접근에 대한 마인드 변화, 정보요구에 대한 신속성과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터넷의 활용이 모색되었다.
더불어 정보화 시대의 새로운 국가경쟁력 지표로 평가되어 선진 각국에서 전자도서관 구축이 국가적으로 추진되었고, 국내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과 보급 확대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1.2. 국가전자도서관 구축의 필요성
국가전자도서관 구축의 필요성이다. 모든 국민이 지역, 시간의 제약 없이 도서관에 접근하여 필요한 자료를 획득할 수 있다. 정보획득시간 단축으로 국내연구자들의 연구력이 증진될 수 있다. 정보화의 지역격차를 해소할 수 있다. 주요 전자도서관의 통합연동체제를 마련할 수 있다. 국내 도서관의 전자도서관 사업이 촉진될 수 있다. 주요도서관별 대상분야 조정으로 중복투자를 방지할 수 있다. 국가전자도서관은 국내 주요도서관을 연계하여 국가정보능력을 신장시키고 지역 간 균형있는 발전을 꾀하며, 향후 전국도서관들을 연결하여 국가문헌정보 유통체제를 구축하는 정보화 기반을 확립하고자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계획에 맞춰 1996년부터 6차에 걸쳐 추진되어 왔다. 국가전자도서관에서는 전자도서관 정보서비스 체계의 시범적 효과를 바탕으로 국가 정보자원의 공유체제를 확대, 발전시켜 연구자들은 물론 일반 국민들에게까지 온라인으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21세기 지식정보 사회에서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한다.
1.3. 국가전자도서관 발전과정
1997년도에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연구개발정보센터,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AIST 과학도서관과 함께 "전자도서관 시범사업"을 추진하여 고서귀중본, 입법부 발간자료, 국외취득 박사학위논문 등 참여기관의 주요자료 525,049면의 원문을 DB로 구축하여 1997년 11월부터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를 실시하였다. 이 시범사업의 기간은 1997년 1월부터 1997년 7월까지이며, 사업비는 7억 8천원이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이기종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위한 Z39.50 프로토콜 개발, SGML EDITOR, Browser 개발, DTD 4종 제작, SGML 변환기 개발, 홈페이지 구축 및 관리시스템 개발 등이 있다.
1998년에는 전자도서관 시범시스템을 보완 및 확장하고, 전자출판시스템, 저작권 관리 시스템 등의 개발과, 구한국관보 및 조선총독부관보 등 참여기관의 주요 자료 118만 면의 원문DB를 구축하여 국민들이 국내 주요 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자료의 목록정보 및 원문정보를 ONE-STOP으로 서비스 받을 수 있는 통합전자도서관 체제를 구축하였다. 이 제2단계 사업의 기간은 1998년 1월부터 1998년 10월까지이며, 사업비는 16억 5천원이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검색엔진 기능 보완, 전자출판 시범시스템 개발, 저작권관리 시범시스템 개발 등이 있다.
2001년에는 기존 국가전자도서관의 성능향상을 위하여 6개기관(국회도서관, 법원도서관, 한국과학기술원 과학도서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검색서비스를 통합하여 디지털 원문자료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질적인 안방자료실 초기환경 구현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 전자도서관 경량화 사업의 기간은 2001년 6월부터 2001년 12월까지이며, 사업비는 6억 3천원이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표준 Z39.50 프로토콜 기반 통합검색(메타검색) 서비스 제공, 원문전송시 암호화/복호화 적용, 저작권 및 과금시스템 연결 등이 있다.
2002년에는 국가전자도서관을 포함 4개 관내시스템을 시각장애인용으로 구축함으로써, 장애인에 대한 정보격차해소라는 국가정책 의지를 현실화 시키고 국립중앙도서관의 서비스 대상을 확대 및 활성화시켜 시각장애인에 대해 동등한 정보접근 기회를 제공하는 시각장애인 전자도서관 구축사업을 진행하였다. 이 사업의 기간은 2002년 8월부터 2002년 12월까지이며, 사업비는 5억 9천원이었다.
2003년에는 국가전자도서관의 홈페이지, 원문관리용 Client-Server 프로그램, 민간DB관리시스템, 시각장애인용 사이트 등의 성능을 개선하고 신규 개발하는 홈페이지 확장/개선 및 단위업무 보강사업을 진행하였다. 이 사업의 기간은 2003년 5월부터 2003년 8월까지이며, 사업비는 1억 5천원이었다.
2005년에는 2004년에 실시한 "국립중앙도서관 정보시스템 컨설팅"을 통한 외부 전문가의 의견과 정보화사업 평가 등에서 제시된 개선내용 등을 반영하여 새로운 정보환경에 대처하기 위한 국가전자도서관 고도화 사업을 진행하였다. 이 사업의 기간은 2005년 8월부터 2005년 12월까지이며, 사업비는 2억 1천원이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분류검색서비스시스템 구축, 국가지식포털 시스템 연계확장, 시각장애인용 국가전자도서관 기능개선, 도서관보상금관리 기능개선, DBMS(Informix) 관리 솔루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