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찰죄 반성문

  • 1
  • 2
  • 3
  • 4
  • 5
  • 6
  • 7
  • 8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카찰죄 반성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주제 선정 이유
1.2. 몽고메리 버스 사건의 당시 상황
1.3. 로자 파크스의 재판과 보이콧 운동

2. 본론
2.1. 보이콧 운동의 결말
2.2. 이후의 민권운동과 현재도 지속 중인 차별
2.3. 사례를 통해 느낀 점

3. 결론
3.1. 영화와 각색의 관계
3.2. 한국의 원작왕
3.3. 소설 [벌레 이야기]
3.4. 영화 [밀양]
3.5. 책과 영화, 그리고 다원적 각색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주제 선정 이유

우선 많은 친구들이 영화 감상문을 과제로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고, 조금 특별하게 남들과 다른 길을 가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수업 중 가볍게 일화로 넘어갔던 사례를 더 깊이 있게 알아보고 내 느낀 점을 정리하는 것이 감상문 과제보다 재미있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특히 시험을 준비하는 동안 문화충돌에 대해 공부하면서 읽었던 사례들 중에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운동' 사건이 가장 흥미롭게 느껴졌다.


1.2. 몽고메리 버스 사건의 당시 상황

1950년대 앨라배마주 몽고메리는 흑인과 백인은 평등하지만 분리한다는 흑백 분리 정책, 즉 짐크로우 법을 시행 중이었다. 이 법에 따라 흑인들은 교회, 화장실, 식당, 묘지까지 백인과 분리되어 사용해야 했다. 흑인 환자는 백인 간호사에게 치료를 받을 수도 없었다. 시내버스 역시 백인용과 흑인용 좌석이 따로 있었다. 재봉사였던 흑인 여성인 로자 파크스는 1955년 12월 1일, 집으로 돌아가는 버스에 탑승하여 자리에 앉았다. 버스가 정류장을 계속 지나는 동안 늦게 탑승한 백인들이 서 있게 되자 당시 버스 운전기사였던 제임스 블레이크는 그녀에게 자리를 양보할 것을 요구했다.


1.3. 로자 파크스의 재판과 보이콧 운동

로자 파크스는 순순히 체포에 응하지는 않았다. "왜 우리를 차별하느냐"라고 항의하는 그녀에게 당시 경찰은 "나도 모른다. 하지만 법은 법이고 당신은 체포됐다."라며 그녀를 체포하였다. 12월 5일, 그녀에 대한 재판이 열렸고 몽고메리 시 조례 6장 11절에 있는'분리에 관한 법률'을 위반한 혐의로 죄가 인정되며 10달러의 벌금과 소송비 4달러를 선고받았다. 당시 1달러는 현재의 8달러에 해당되기 때문에 대략 100달러 이상의 벌금을 내야 했고, 이는 당시 흑인들에게는 폭탄 수준이었다. 로자 파크스가 체포되자 약 5만 명에 달하는 흑인들이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운동'을 벌이기 시작하였다. 이 운동은 무려 1년이 넘는 버스 타기 거부 운동으로 벌어졌다. 장거리를 이동할 경우 택시를 타거나 카풀을 했고 걸어가거나 자전거, 마차 등을 이용하였다. 앨라배마 주는 이런 사태에 강경하게 나가기 위해 로자 파크스와 남편을 직장에서 해고하고 보이콧 운동 참가자들도 해고가 되거나 위협을 받기도 하였다. 카풀을 하며 운동에 참가하는 흑인들의 자가용 면허를 말소하거나 보험을 취소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흑인들은 보이콧 운동을 포기하지 않았고 특히 마틴 루터 킹 목사가 비폭력 전술로 운동을 주도하며 조직적으로 전개해 나갔다.


2. 본론
2.1. 보이콧 운동의 결말

보이콧 운동은 TV 전파를 타게 되었고 전 미국에 전해졌다. 당시 버스 승객의 60% 이상이 흑인손님이었던 버스 회사는 큰 손해를 입게 되었다. 결국 1956년, 연방대법원은 몽고메리에서의 일련의 인종 차별 및 분리 행위와 법령에 대해 버스에서 흑백 분리는 위헌이라는 판결을 내리게 된다. 그리고 보이콧 운동이 시작된 지 381일 후 흑백 좌석 분리제는 완전히 폐지가 된다. 이후 로자 파크스는 흑인의 투표권을 얻기 위한 운동과 더불어 청소년들의 권리를 찾는 일에도 열정을 다했고 청소년을 돕기 위한 단체와 모금 활동, 각종 강의 등 왕성한 사회 활동도 펼쳤다.


2.2. 이후의 민권운동과 현재도 지속 중인 차별

1957년 민권법이 의회를 통과하게 되면서 흑인들의 민권운동은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1960년대에 가장 활발했는데, 백인 전용식당에 들어가 백인 의자에 앉아 주문하는 싯-인운동, 흑인 학생과 백인 학생이 버스를 함께 타고 남부를 여행하는 프리덤 라이더스 운동, 약 천여 명의 백인 대학생들이 흑인의 유권자 등록을 돕고자 함께 참여한 미시시피 자유 여름 운동 등이 전개되었다. 이 중에서도 '나는 꿈이 있습니다.'의 연설로 유명한 마틴 루터 킹 목사가 이끈 25만 명의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걸었던 비폭력 운동인 워싱턴 행진은 특히 주목받았다. 행진 참가자 중 20%가 백인이었으며 그들은 일과 자유, 선거법 개혁을 요구하는 플래카드를 들고 함께 행진하였다. 킹 목사는 연설을 통해 인종과 종교를 초월한 연대와 차별 없는 세상을 호소하였다. 1년 후 1964년에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민권법에 서명하여 인종, 성, 종교 등을 이유로 한 고용 차별을 금지하였고, 킹 목사는 그해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였다.

그러나 ...


참고 자료

신현식,민권운동의 상징 ‘로자 파크스’를 만나다 : 로자 파크스 박물관,<플러스뉴스>,2018.09.12,http://plusnews.koreadaily.com/rosa_parks_museum/
AP뉴시스,'인종 차별에 대한 저항'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조선일보>,2015.12.01,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5/12/01/2015120101335.html
나무위키,“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운동”,https://namu.wiki/w/%EB%AA%BD%EA%B3%A0%EB%A9%94%EB%A6%AC%20%EB%B2%84%EC%8A%A4%20%EB%B3%B4%EC%9D%B4%EC%BD%A7%20%EC%9A%B4%EB%8F%99#s-6,2022.10.24
국가인권위원회 공식 블로그,“로자 파크스”,https://blog.naver.com/nhrck/222283660884,2022.10.24
초등독서평설 공식 블로그,“로자 파크스”,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16987618&memberNo=35415753,2022.10.24
송원섭(연출),2020.08.04,차이나는 클라스 [TV프로그램], JTBC
네이버 지식백과,“마틴 루터 킹”,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42696&cid=47323&categoryId=47323,2022.10.24
정윤섭,백인 의원의 흑인 입양아 비하한 LA 시의회 의장 사퇴,<연합뉴스>,2022.10.11,https://www.yna.co.kr/view/AKR*************0075?input=1195m
김가연,흑인학생 속옷만 입혀 세웠다…‘노예경매’ 놀이에 美고등학교 발칵,<조선일보>,2022.10.05,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2/10/05/ECYBGV26NBFIXPDP3SA3M4UAEA/?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웃음이 가진 혁명성, 베르그송 『웃음』
성진규. 2021. '유머감각'이 연인 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하이닥 건강의학지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