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학 실습 보고서 개요
1.1. 실습 배경 및 목적
본 간호학 실습은 대학생인 저에게 실제 병동 현장에서 간호사의 역할과 간호 실무를 경험할 수 있는 귀중한 기회이다. 실습을 통해 간호 실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전문적인 간호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또한 간호사와 타 의료진 간의 협력관계를 관찰하고, 환자 중심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기법을 배울 수 있다. 나아가 간호단위 관리자의 리더십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간호관리 방안을 모색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간호 전문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향후 간호사로서의 역량을 함양하고자 한다.
1.2. 실습 기간 및 장소
본 간호학 실습은 2023년 4월 4일부터 4월 11일까지 8일간 진행되었으며, 실습 장소는 중앙병원 92병동이다.
실습 기간 동안 간호학생들은 실제 임상 현장에서 간호 업무를 관찰하고 실습함으로써 이론과 실무를 접목하고 간호 실무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실습 장소인 92병동은 정형외과 병동으로, 뇌졸중, 척추 수술, 관절 수술 등을 받는 환자들이 입원하고 있다. 간호학생들은 이 병동에서 실제 환자 간호 현장을 경험하며 간호 업무를 실습할 수 있었다. 실습 기간 및 장소를 통해 간호학생들은 전문 간호사로서의 역할과 자질을 익히고 발전시킬 수 있었다.
2. 법적, 윤리적 문제 사례 및 해결방안
2.1. 투약 오류 사례 분석
환자 이OO 씨는 뇌에 종양(혈관모세포종)이 재발해 이 병원에서 뇌수술(후두하 개두술과 종양 완전 절제술)을 받았다. 수술 후 이틀이 지나 이 씨가 두통과 불편감을 호소하였고 진통제 '케로민' 투약 후에도 증세가 완화되지 않자 간호사는 이 씨에게 PRN 처방으로 마약성 진통제 '페치딘'을 투약하였다. '페치딘'은 중증 호흡 억제 효과가 있어 두개내압 상승 관련 장애 및 손상이 있는 환자, 뇌혈관계 출혈이 있거나 의심되는 환자, 뇌수술 후 출혈 위험이 있거나 지혈이 불완전할 경우 투여가 금지되어있다. 이OO 씨는 상태가 호전되는 듯했으나 그날 새벽 호흡, 맥박이 멈췄고 의료진은 CPR 등 조치했다. 뇌 정밀검사 결과 부종이 심해진 상태였고 수술 부위보다 약간 위쪽에 출혈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의료진은 뇌압 상승을 막기 위해 2차 수술을 시행했고 수술을 잘 시행됐으나 의식이 돌아오지 않아 뇌사 판정을 받고 사망하였다.
환자의 상태가 나빠지고 진통제인 '케로민' 투약 후에도 두통과 불편감을 호소하였지만, 간호사는 활력징후를 측정하지 않았고, 의사가 직접 진찰할 수 있도록 보고하는 등의 조치를 하지 않았다. 간호사가 미리 약물의 금기사항을 확인하지 않고 투여한 것과 투여 후 vital sign을 측정하지 않음으로써 환자 상태를 사정하지 않고 의사에게 보고하지 않은 점 등의 행동들을 보아 전문직업인으로서 요구되는 의료상의 윤리와 의학지식 및 경험에 기초하여 신중히 환자를 진찰하고 정확히 진단함으로써 위험한 결과 발생을 예견하고 이를 회피하는 데에 필요한 경과 관찰의 주의의무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