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뇌종양의 이해
1.1. 뇌종양의 정의
뇌종양이란 뇌조직이나 뇌를 싸고 있는 뇌막으로부터 발생되는 원발성 뇌종양과 두개골이나 주변구조물에서 발생하거나 혹은 신체의 다른 암으로부터 뇌로 전이된 이차성 뇌종양을 총칭한다. 뇌종양은 크게 악성 뇌종양(뇌암)과 양성 뇌종양으로 나뉜다. 뇌는 두개골에 둘러싸여있으므로 양성 뇌종양의 경우도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는 뇌를 압박하고 뇌압의 상승을 일으켜 악성 뇌종양과 동일하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1.2. 뇌종양의 원인
뇌종양은 뇌를 구성하는 세포의 비정상적이고 통제되지 않는 분열로 인하여 발생하며, 이는 세포의 유전자의 이상으로 초래된다.""
세포의 유전자의 이상은 자연발생적으로 발생하거나, 다량의 방사선에 노출되거나 외부의 돌연변이 유발물질에 의해서 발생된다.""
대부분의 뇌종양은 명확한 원인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
1.3. 뇌종양의 종류
뇌종양의 종류는 크게 원발성 뇌종양과 전이성 뇌종양으로 구분된다. 원발성 뇌종양은 뇌조직에서 시작된 종양이며, 전이성 뇌종양은 다른 장기에서 발생한 암세포가 뇌로 전이된 것이다.
원발성 뇌종양에는 다음과 같은 대표적인 종양들이 있다.
첫째, 뇌수막종은 뇌를 싸고 있는 막인 수막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뇌종양의 약 20%를 차지한다. 대부분 양성이지만, 악성으로 진행할 수 있다. 복시, 연하곤란, 시력저하, 청력소실, 안면감각저하, 안면마비, 운동실조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둘째, 두개저 뇌종양은 두개골 밑바닥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뇌수막종, 척삭종, 신경초종, 두개골 종양 등이 대표적이다. 복시, 시력저하, 연하장애, 청력장애, 보행장애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셋째, 뇌하수체종양은 뇌하수체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인한 증상이 나타난다.
넷째, 신경교종은 뇌를 구성하는 신경교세포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성인 뇌종양의 약 50%를 차지한다. 악성도에 따라 등급을 나누며, 4등급이 가장 악성이다.
다섯째, 청신경초종은 청각신경을 싸고 있는 신경초세포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동측의 청력 소실, 이명, 어지러움증 등의 증상을 보인다.
이 외에도 소아 뇌종양의 경우 소뇌주위에서 호발하며, 두개인두종의 경우 시력저하, 성장장애, 성발육저하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이처럼 뇌종양은 발생 위치와 세포 기원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각각 특징적인 증상을 보인다.""
1.4. 뇌종양의 증상
뇌종양이 임상증상을 일으키는 기전으로는 첫째, 뇌압 상승으로 인한 증상, 둘째, 뇌종양이 주위 뇌를 압박함으로써 발생하는 증상, 셋째, 뇌종양이 주위 뇌신경을 전기적으로 자극함으로써 발생하는 증상(간질발작), 넷째, 호르몬 이상으로 인한 증상으로 나뉜다.
뇌압 상승으로 인한 증상으로는 두통, 오심, 구토 등이 있다. 뇌종양이 주위 뇌를 압박하여 발생하는 증상으로는 운동기능 장애, 언어기능 장애, 시각 장애, 신경학적 결손 등이 있다. 뇌종양이 주위 뇌신경을 전기적으로 자극하여 발생하는 간질발작은 강직 간대 발작, 부분 발작 등의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뇌하수체 종양과 같이 호르몬 분비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에는 내분비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처럼 뇌종양 환자는 다양한 신체적, 신경학적, 내분비 증상을 경험하게 되며, 이는 환자의 삶의 질과 생명유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따라서 뇌종양 환자의 증상을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5. 뇌종양의 진단
뇌종양의 진단은 증상이 있는 경우 뇌전산화단층촬영(CT), 뇌자기공명영상촬영(MRI)을 시행하여 뇌종양 유무를 확인한다. 수술 전 단계에서는 뇌종양에 분포하는 혈관의 정도와 뇌종양과 주위 뇌혈관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서 뇌혈관조영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뇌종양 내의 혈관분포가 심한 경우는 수술 중 출혈을 줄이기 위해서 수술 전 뇌종양혈관 색전술을 시행하여 뇌종양혈관을 막는 경우도 있다. 이를 통해 뇌종양의 위치, 크기, 혈관 분포 등을 확인하여 수술 전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1.6. 뇌종양의 치료
수술은 뇌종양 치료의 가장 기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일부 종양에서는 수술로 완전 제거가 가능해서 완치를 기대할 수 있지만, 악성도가 높은 경우나 뇌의 중요한 부위에 위치한 경우는 완전 절제가 힘들어 보조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