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무력감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사정
1.1. 주관적 자료
1.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3. 간호목표
3.1. 단기목표
3.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4.1. 간호계획
4.2. 이론적 근거
5. 간호수행
6. 간호평가
6.1. 단기목표
6.2. 장기목표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사정
1.1. 주관적 자료
환자는 최근 몇 주간 지속적으로 우울한 기분을 호소하며, 심리적으로 매우 무기력하고 피곤하다고 표현한다. 환자는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다", "매일 똑같은 일상이 반복되는데 힘이 없다"라고 말하며, 자신이 어떤 일에도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에너지가 부족하다고 한다. 이러한 감정은 최근 개인적인 어려움과 직장에서의 스트레스가 겹치면서 더욱 심해졌다고 밝혔다. 또한, "자신이 왜 이렇게 느끼는지 모르겠다"며 자신을 비하하는 발언을 반복하며, 자아 존중감이 현저히 낮아졌음을 보였다. 환자는 사회적 활동에도 참여하지 않으며, 친구나 가족과의 만남을 피하고 있는 상태이다.
1.2. 객관적 자료
진단명은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이다. 무력감 척도(Powerlessness Scale) 점수가 51점/64점으로 측정되어 높은 무력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사정되었다. 대상자는 우울한 기분을 보이며 대부분의 시간동안 침상에 누워 활동하는 모습이다. 대화 시 눈 맞춤이 잘 되지 않으며 모든 활동에 적극성이 없고 무력해 보인다. 일상생활의 활동 시 움직임이 거의 없고 다른 사람에게 의존하는 모습을 보인다. 최근 2주 사이에 몸무게가 약 3kg 정도 감소하였다. 신체적 증상으로는 소화불량, 두통, 전반적인 무력감을 호소하고 있다. 처방된 Ativan 1mg 약물이 부작용으로 인해 2mg로 증량되었다.
2. 간호진단
"우울감과 관련된 무력감"은 환자가 우울감으로 인해 심리적, 신체적 무기력감을 느끼며, 일상적인 활동을 하기 어렵다는 간호진단이다. 우울증은 환자의 정신적 에너지와 신체적 활동을 감소시키며, 이는 환자가 경험하는 무력감의 주요 원인이다. 환자는 일상생활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에너지가 부족하고 동기 부여가 되지 않는 상태이다.
3. 간호목표
3.1. 단기목표
대상자는 1일 이내에 자신이 느끼는 무력감에 대해 말로 표현할 수 있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일상생활 활동을 수행하고자 하는 의지를 말로 표현한다. 대상자는 4일 이내에 스스로 간호계획을 세울 수 있다.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작은 목적을 세우고 달성할 수 있다. 대상자는 7일 이내에 무기력한 상황에 대한 통제를 달성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대상자는 1일 이내에 자...
참고 자료
정미숙, 김정자. 대상자의 무력감 해소를 위한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 한국병원간호학회지, 23(2), 45-53.
김정희, & 박영란. 무력감을 경험한 환자들의 간호중재에 대한 연구. 간호학회지, 50(3), 305-314.
양선희 외 공저(2018). 기본간호학 1, 2, 현문사
고자경 외 공저(2017). 성인간호학 1, 2, 퍼시픽북스
박은영 외 공역(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공저(2018).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강미정 외 공저(2020).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박금주 외 공저(2019).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축문화사
Herdman 외 공저(2018).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2020). 학지사메디컬
삼성서울병원-우울증센터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edical/healthSub01View.do?content_id=859&DP_CODE=DEP&MENU_ID=004025&ds_code=D0001673&main_content_id=858
중앙일보-우울증, 불안장애 부르는 알코올 의존증
https://jhealthmedia.joins.com/article/article_view.asp?pno=19982
이미형 외,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