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실습 크론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크론병의 정의 및 역학
1.2. 소아 청소년 크론병의 특징
1.3.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2.1. 크론병의 병인 및 병태생리
2.2. 크론병의 임상 증상 및 진단
2.3. 크론병의 치료 및 관리
2.4. 소아 청소년 크론병의 특성
3. 간호사정
3.1. 일반적 정보
3.2. 요구사정(Functional Health Patterns)
3.3. 신체사정(Physical Assessment)
3.4. 진단검사 및 결과 분석
4. 간호진단 및 계획
4.1. 간호진단
4.2. 간호 목표 및 기대성과
4.3. 간호중재 계획
5. 간호중재 및 평가
5.1. 약물 요법
5.2. 영양 요법
5.3. 교육 및 지지
5.4. 간호중재 평가
6. 결론 및 제언
6.1. 연구 결과 요약
6.2. 간호 실무에의 적용
6.3.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크론병의 정의 및 역학
크론병(Crohn's disease)은 만성적인 염증성 장질환의 일종으로, 입에서 항문까지 위장관계 전 영역에 걸쳐 다양한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회장, 결장과 직장에서 주로 발생한다. 이는 점막과 장벽의 모든 층이 염증을 동반하는 질환이다. 크론병의 정확한 병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감염인자, 자가면역,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 세계적으로 크론병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선진국을 중심으로 발병률이 높은 편이다. 과거에는 희귀 질환으로 여겨졌던 크론병이 최근 들어 크게 늘어나는 추세이다. 크론병은 주로 청소년기부터 발병하기 시작하며, 전체 환자의 25-30%가 20세 이전에 발병한다. 전 세계적으로 크론병의 발병률은 1,000명 당 약 0.04명 수준이다. 특히 소아 및 청소년기에 발병하는 크론병 환자들은 성장 장애와 같은 추가적인 합병증을 겪을 수 있어 주목받고 있다.
1.2. 소아 청소년 크론병의 특징
소아 및 청소년기에 발병하는 크론병은 성인에서 발병하는 것과 다른 임상적 특징을 보인다. 소아 청소년 크론병 환자의 10~40%에게서 성장장애가 나타나며, 연령이 낮을수록 합병증과 재발률이 높은 경향을 보인다. 또한 소아 청소년 크론병은 주로 회장과 대장에 침범하는 경우가 많으며, 전형적인 증상인 설사, 복통, 체중감소 외에도 구토, 영양 흡수 장애, 빈혈 등의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진단 당시 전신 소견이 더 심각한 경우가 많고, 약물 치료에 대한 반응도가 낮은 편이다. 이처럼 소아 청소년기에 발병하는 크론병은 성인과 다른 특성을 보이므로, 이를 고려한 맞춤형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소아청소년기 크론병 환자의 높은 이환율과 합병증 발생률, 성장 장애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 질병의 예방과 조기 관리가 중요하다.
1.3.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크론병은 전 세계적으로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소아 및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크론병이 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소아 청소년기에 발생한 크론병 환자의 10~40%가 성장장애를 겪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합병증과 재발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소아 청소년기 크론병 환자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소아 청소년 크론병 환자의 특성을 고찰하고, 이들에 대한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중재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실효성 있는 간호 실무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소아 청소년 크론병 환자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 문헌고찰
2.1. 크론병의 병인 및 병태생리
크론병은 만성적인 염증성 장질환으로, 그 원인이 명확하지 않다. 하지만 감염 인자, 자가면역,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바이러스나 무형의 박테리아가 몸의 면역체계와 상호작용하여 장벽의 염증반응을 유발한다.
면역반응에 의해 발생한 염증으로 인해 혈관수축이 초래된다. 이때 장은 혈관을 이완시키는 히스타민과 같은 세포 매개체를 분비하게 된다. 모세혈관이 혈액으로 충만되어 벽에 파열을 일으키면서 추후 자극, 염증, 궤양과 충혈을 초래한다.
크론병의 특징은 염증성 병변 사이사이에 정상조직이 존재하는 분절형 병변이다. 크론병은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기관 어느 부분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나, 주로 오름결장 근위부와 회장 원위부에 호발한다. 병변은 육아종 형태로 상피조직이 둘러싸고 있어 장의 내강의 조약돌 모양으로 나타난다.
질병이 진행되면 만성적인 염증이 섬유화되어 장의 유연성이 소실되고, 폐색, 농양, 누공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영양분 흡수가 저하되어 영양불량 및 흡수불량이 나타나게 된다.
2.2. 크론병의 임상 증상 및 진단
크론병은 전 위장관계에 발생할 수 있는 만성 염증성 장질환이다. 크론병 환자는 설사, 복통, 고열, 체중감소, 경증의 위장관 증상, 저조한 성장 등을 나타낸다. 이는 크론병으로 인한 흡수장애와 영양결핍 때문이다. 또한 회장, 결장, 직장 등 주로 회장과 결장에서 발생하며, 출혈, 누공, 농양, 장 폐색 등의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크론병의 진단을 위해서는 소장조영검사, 위장관 내시경 검사, 캡슐내시경 검사 등이 이용된다. 소장조영검사는 소장 전반의 병변을 확인할 수 있고, 위장관 내시경 검사는 상부 위장관과 대장의 병변을 확인할 수 있다. 캡슐내시경 검사는 비침습적으로 소장 전체를 관찰할 수 있는 검사로, 크론병 진단에 유용하다. 환자가 캡슐을 삼키면 내시경 영상이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관찰되며, 캡슐이 대변으로 배출되면 검사가 종료된다.
이처럼 크론병은 다양한 임상 증상과 함께 특징적인 검사 소견을 통해 진단된다. 주요 증상은 설사, 복통, 체중감소 등이며, 검사 결과 소장과 대장의 ...
참고 자료
권윤정 외, [소아 청소년을 위한 아동건간간호학], Pacific Books, p393-396.
김효신 외, [아동건강간호학], 수문사, p332-335.
이나영, 박재홍. 소아 크론병의 임상적 특징과 경과. 2007; 34(4), 193-199.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2, 수문사, p280, 282, 418, 290.
약학정보원
내시경 대체하는 원격 조종 검사 캡슐 개발, [Digital Today], http://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8545.
황옥남 외(2017).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414-420
김희순 외(2021). 아동청소년간호학 1. 수문사. 508-511
김효신, 남은숙, 안혜영 외 공저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제 11판
대한해부학회 『알기쉬운 사람해부학』, 현문사, 제 3판
윤은자, 김숙영, 서연옥 외 공저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제 9판
이동숙 외 공저 『사례중심의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메디컬에듀케이션
양민후 기자 , “비만, 크론병 위험 키우는 요인” , 「메디칼업저버」, 2021.07.28.
이슬비 기자 , “폐에 문제 없는데...호흡곤란 잦다면, ‘이 질환’ 의심해야” ,
「헬스조선 뉴스」, 2021.12.21.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24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 크론병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397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 크론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