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임신성 고혈압(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1.1. 정의
임신성 고혈압이란 임신 전 정상 혈압이었던 여성이 임신 20주 이후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이고, 단백뇨를 동반하지 않으며, 분만 후 12주 이내에 정상 혈압이 되는 상태를 말한다. 즉, 임신성 고혈압은 분만 후 진단할 수 있고 임신 전에 정상 혈압이던 산모라도 임신으로 인하여 고혈압이 될 수 있다. 고혈압, 단백뇨, 부종이 함께 있으면 자간전증이라고 하고 경련이 동반될 경우 자간증이라고 한다."
1.2. 원인 및 위험요인
임신성 고혈압의 원인 및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원인으로 명확한 하나의 요인을 규정하기는 어려우나, 일반적으로 태반의 혈류 장애와 산모의 여러 체질적 요인의 상호작용을 원인으로 들 수 있다. 이때 발생한 산화 스트레스가 산모의 혈관 내피세포를 활성화시키거나 기능장애를 초래하여 혈관 수축, 모세혈관의 누출에 의한 전신부종, 단백뇨 등의 전신반응이 나타나게 되고, 혈관 내 응고 장애 및 다발성 기관장애도 일으킬 수 있다. 이때 관여하는 산모의 체질적 요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칼슘, 마그네슘, 아연 섭취 부족과 같은 환경적 요인, 비만과 당뇨병을 비롯한 인슐린 저항증 등이 있다"이다.
위험요인으로는 첫째, 임부 나이가 20세 이하 또는 35세 이상인 초임부, 둘째, 만성 고혈압을 가지고 있는 여성, 셋째, 임신성 고혈압 기왕력, 넷째, 과소체중이나 비만, 다섯째, 영양결핍, 여섯째, 당뇨, 신장질환, 일곱째, 사구체염, 여덟째, 다태임부, 아홉째, 양수과다증 등을 들 수 있다"이다.
1.3. 병태생리
임신성 고혈압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임신성 고혈압에서는 세동맥 혈관수축, 혈관경련, 혈관손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임신성 고혈압의 병태생리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임신성 고혈압 환자에서는 안지오텐신2의 민감성이 증가하여 혈관이 수축되고, 동맥순환이 임신으로 인해 변화된 혈관의 수축과 이완에 의해 방해를 받게 된다. 이러한 혈관경련은 혈액공급을 감소시켜 혈관의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 그 결과 혈관 내피세포가 손상되어 혈소판, 섬유소 등과 다른 혈액 성분들이 내피세포 사이로 유출된다. 또한 혈관손상은 단백질 투과력을 증가시키고 혈관 내에서 혈관 외로 수분의 이동을 초래하여 임상적으로 부종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요약하면, 임신성 고혈압에서는 혈관수축, 혈관경련, 혈관손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이로 인해 혈액공급 감소, 혈관 내피세포 손상, 단백질 및 수분의 유출 등이 발생하여 고혈압, 단백뇨,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1.4. 증상
임신성 고혈압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혈압 상승이 가장 큰 증상이다. 임신 전 정상 혈압이었던 여성이 임신 20주 이후에 수축기 혈압이 140mmHg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를 말한다. 대부분 Mild hypertension을 보이며 산후 12주 이내에 정상으로 돌아간다.
둘째, 체중 증가가 비정상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보통 임신 중 체중이 일주일에 450g 정도 증가하는 것이 정상이지만, 900g 이상 증가하면 비정상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이는 체액의 비정상적인 잔류가 원인이며, 손가락이나 안검하수 등 비의존성 부종이 나타나기 전에 이런 체중 증가가 나타날 수 있다.
셋째, 단백뇨가 발생할 수 있다. 초기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거나 소량만 나타나지만, 중증의 경우에는 주로 단백뇨가 나타난다. 단백뇨가 나타나면 전자간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넷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