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ARDS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ARDS 소개
2.1. ARDS의 정의
2.2. ARDS의 원인
2.3. ARDS의 병태생리
2.4. ARDS의 증상
2.5. ARDS의 진단
3. 간호과정
3.1. 대상자 사정
3.1.1. 건강력 사정
3.1.2. 신체 사정
3.1.3. 임상검사 결과
3.2. 간호진단
3.2.1. 가스교환 장애
3.2.2. 기도 청결 장애
3.2.3. 흡인 위험
3.3. 간호중재
3.3.1. 호흡 관리
3.3.2. 분비물 관리
3.3.3. 영양 관리
3.3.4. 감염 관리
3.4. 간호결과 평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ARDS(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는 폐 손상이나 다양한 중증 질환으로 인해 비심인성 폐부종이 유발되는 급성 진행성 폐질환이다. 이는 폐의 기능이 수일 내에 저하되어 동맥혈 내 산소분압이 떨어지거나, 이산화탄소가 축적되는 상태로 호흡부전 중 산소화부전의 대표적인 질병이다. 사망률은 50~80%로 높으며 ARDS 예방은 ARDS 고위험 대상자의 조기발견이 중요하다. ARDS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폐에 직접 손상을 일으키거나 신체 타 부위 손상에서 발생한 염증매개물이 혈관을 타고 폐에 도달하여 간접적으로 발생한다. 흔히 관찰되는 원인은 패혈증, 외상, 흡인이며, 그중에서도 패혈증이 가장 흔한 원인으로 발생 위험률이 약 40%에 이른다. 또한, 코위관 영양요법을 시행 중인 노인, 신경계 결함이 있는 대상자, 연하와 구개반사가 소실된 대상자에게 발생하기 쉽다. 정상적으로 폐포-모세혈관 장벽(alveolar-capillary barrier)은 폐포 내 가스와 혈액 내 가스를 교환하며 혈액 내의 성분이 폐포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한다. 그러나 다양한 중증 질환으로 폐포-모세혈관 장벽이 손상되고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혈액 내 단백질이 풍부한 과량의 삼투액이 폐간질과 폐포 안으로 이동하고 폐부종을 유발한다. 또한, 폐부종의 증가는 폐포 내의 표면활성제의 작용을 감소시키고, type Ⅱ 세포의 염증과 손상으로 표면활성제의 합성이 감소한다. 이후 폐포-모세혈관 장벽은 두꺼워지고 섬유소원의 증식으로 폐포가 허탈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로 인해 가스교환이 일어나는 폐포에 물이 가득차면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일어나지 못해 혈액내 산소 분압이 감소하고 이산화탄소 분압이 증가하게 된다. ARDS의 증상은 발병이후 시간에 따라 특징적인 경과를 보이며, ARDS 발생 전 질환을 유발하는 사고나 사건 등의 과거력이 존재하고, 호흡곤란, 빈호흡, 보조근육을 이용한 호흡, 청색증, 저산소혈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진단을 위해 Chest X-ray, 흉부 전산화단층촬영(CT), 동맥혈 가스분석(ABGA) 등의 검사가 필요하다.
2. ARDS 소개
2.1. ARDS의 정의
급성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이란 기왕의 폐질환이 없던 경우에 신체에 심한 손상을 받은 후 발생하며 폐혈관 내피세포와 폐포 상피세포의 염증으로 인하여 폐 모세혈관 및 폐포 상피세포의 투과성이 증가되어 초래된 투과성 폐부종의 심한 상태를 의미한다. 주된 증상으로 호흡곤란, 일반적인 산소요법에 잘 반응하지 않는 저산소혈증, 폐탄성의 감소 및 광범위한 폐침윤을 동반하는 심한 급성 호흡부전 상태를 나타낸다. [1,2,3]
2.2. ARDS의 원인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가장 흔한 원인은 심한 패혈증, 외상, 흡인성 폐렴이다. 직접적인 폐손상을 유발하는 요인과 혈행성으로 염증성 매개체를 방출하는 간접적인 기전으로 손상을 유발하는 요인이 포함된다. 폐포상피에 직접손상으로는 미만성 폐감염, 익수직전, 폐 타박상, 위내용물의 흡인, 독성물질의 흡입 등이 있고, 간접 폐손상으로는 패혈증 증후군, 심한 비흉곽성 외상, 과수혈, 췌장염, 심폐우회술이 있다. 패혈증은 가장 흔한 원인으로, ARDS 발생 위험률이 약 40%에 이른다. 또한 노인이나 신경계 결함, 연하 및 구개반사 소실 환자에서도 ARDS가 발생하기 쉽다. [1,3]
2.3. ARDS의 병태생리
정상적으로 폐포-모세혈관 장벽(alveolar-capillary barrier)은 폐포 내 가스와 혈액 내 가스를 교환하며 혈액 내의 성분이 폐포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한다. 하지만 다양한 중증 질환으로 폐포-모세혈관 장벽이 손상되고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혈액 내 단백질이 풍부한 과량의 삼투액이 폐간질과 폐포 안으로 이동하고 폐부종을 유발한다. 가스교환이 일어나는 폐포에 물이 가득차면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일어나지 못해 혈액내 산소 분압이 감소하고 이산화탄소 분압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폐부종의 증가는 폐포 내의 표면활성...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상권, 황옥남 외, 현문사, 2019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성미혜 외, 수문사, 2019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서울대학교 출판 문화원, 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박은영 외, 현문사, 2019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main/mainPage/main.do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상권), 현문사
해리슨내과학편찬위원회, 해리슨 내과학, 정담
대한중환자의학회, 중환자의학, 군자출판사
차영남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원종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김수경 외, 알기 쉬운 임상약리학, 정담미디어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Ⅰ.2017.수문사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상권.2007.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간호진단과 계획.1998.서울대학교출판부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2017)
NANDA International Nursing Diagnoses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 2018-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