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강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강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이해
1.2. 강화의 개념과 학습에서의 중요성
2. 본론
2.1. 강화의 개념
2.2. 강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2.2.1. 수반성
2.2.2. 근접성
2.2.3. 강화물의 특성
2.2.4. 행동의 난이도
2.3. 강화된 행동의 소거
2.3.1. 소거의 개념
2.3.2. 소거로 인한 부작용
3. 결론
3.1. 학습에서 강화와 소거의 의의
3.2. 일상생활에서 학습 원리 적용의 중요성
3.3. 심리학 연구의 필요성과 실생활 적용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강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이해
강화는 특정한 행동을 유발하거나 그 빈도를 증가시키는 과정이다. 강화물과 강화하고자 하는 행동 사이의 연관성을 수반성이라 한다. 수반성이 높을수록 강화의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근접성은 강화하고자 하는 행동이 일어난 후 강화물 보상이 일어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이다. 근접성이 높을수록 강화의 효과가 커진다. 강화물의 특성 또한 강화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데, 강화 행동의 주체가 선호하거나 필요로 하는 강화물일수록 강화 효과가 높아진다. 마지막으로 강화하고자 하는 행동의 난이도도 강화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난이도가 낮을수록 강화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다.
이와 같이 수반성, 근접성, 강화물의 특성, 행동의 난이도 등 다양한 요인들이 강화 효과에 영향을 미치며, 이들 변인들을 고려하여 효과적인 강화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특히 강화물의 선별, 행동과의 시간적 간격 조절, 과제의 난이도 조정 등을 통해 강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
1.2. 강화의 개념과 학습에서의 중요성
강화는 특정한 행동을 유발하거나 그 빈도를 증가시키는 과정이다. 강화는 강화를 일으키는 방법에 따라 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로 구분된다. 정적 강화는 학습 주체가 특정한 행동을 했을 때 강화물을 제공함으로써 그 행동의 강화를 일으키는 것이고, 부적 강화는 학습 주체가 특정한 행동을 했을 때 강화물을 제거함으로써 그 행동의 강화를 일으키는 것이다. 강화는 학습을 통해 행동이 변화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개념이며, 일상생활 속에서 직접 경험한 사례 분석을 통해 강화의 원리를 이해하고 정리할 수 있다. 강화와 소거에 관한 연구는 우리의 행동에 대한 외부 세상의 반응이 우리의 의식과 미래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우리의 행동이나 반응이 외부 환경의 미래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한다. 강화와 소거에 의한 학습은 인식하지 않고도 우리의 삶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고 당연하게 일어나는 생각과 행동들을 흘려보내지 않고 그 인과관계를 밝혀내어 원리를 규명하는 것은 심리학 연구의 중요한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2. 본론
2.1. 강화의 개념
강화는 특정한 행동을 유발하거나 그 빈도를 증가시키는 과정이다. 강화는 강화를 일으키는 방법에 따라 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로 구분된다. 정적 강화는 학습 주체가 특정한 행동을 했을 때 강화물을 제공함으로써 그 행동의 강화를 일으키는 것이고, 부적 강화는 학습 주체가 특정한 행동을 했을 때 강화물을 제거함으로써 그 행동의 강화를 일으키는 것이다. 유치원에서 근무할 때, 유난히 편식이 심하고 식사 시간을 싫어한 아이가 있었는데, 아이들의 건강과 올바른 식사 습관을 위해서 음식을 남기지 않고 골고루 잘 먹을 때마다 여러 장 모으면 선물로 교환할 수 있는 스티커를 한 장씩 제공하는 규칙을 만들었다. 밥과 반찬은 거의 먹지 않고 과자를 찾는 아이였는데, 스티커를 받기 위해 식사를 깨끗이 하기 시작했고, 이러한 행동이 계속 반복되고 습관이 되자 나중에는 식사...
참고 자료
이나경(2018), 학습심리학, 시그마프레스, p129~158
김문수(2014), 학습과 행동, 센게이지러닝코리아, p123~296
문원기, 김은이(2014). 정치정보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인식이 정치조직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온라인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 정치적 소셜미디어 이용과 정치효능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8권 3호, 145-172
민희, 윤성이(2016). 정보의 풍요와 정치참여의 양극화. <한국정당학회보>, 15권 32호, 131-157
오대영 (2018). 유튜브 정치동영상 이용이 정치사회화에 미치는 학습효과: 정치효능감, 정치관심도, 정치참여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4권 55호, 97-115
강명현 (2021). 유튜브는 확증편향을 강화하는가?: 유튜브의 정치적 이용과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소통학보>, 20권 4호, 261-288.
전창영 (2022). 유튜브 이용의 정치적 효과 연구: 이용방식과 정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21권 2호, 319-347.
김미경 (2022). 유튜브 알고리즘 추천의 유용성 인식에 따른 유튜브에 대한 미디어 신뢰도: 지각된 유해성, 확증편향, 프라이버시 염려의 매개 효과. <한국소통학보>, 21권 4호, 7-42.
허민, 정권 탈취 노린 ‘김만배 가짜뉴스’ … 허위정보로 대선판 뒤집을 뻔[허민의 정치카페], 문화일보, 2023. 09. 12.,
https://munhwa.com/news/view.html?no=2023091201030930000001
이경희, 고재홍. 유형별 집단따돌림 발생원인의 비교 2006
학회지, Vol.25, No.1, 23-45. 2002
이문자. 집단따돌림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