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의 목적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의 목적은 체내에서의 수분이동과 조절기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또한 투여되는 약의 효과를 파악하고, 계속적인 배액 처치의 경우 정확한 배액량을 측정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하루 섭취되는 열량, 수분량, 수액량과 그에 따른 배설량을 평가하여 영양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체내 수분균형 및 투약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나 수술 및 화상, 금식, 이뇨제 투여 등으로 인한 수분 손실이 과도한 상황에서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게 된다. 수술 후 환자, 심한 화상이나 상처가 있는 환자, 금식 환자, 정맥 수액 주입이 필요한 환자, 위관영양 환자, 상처배액관이나 흡인기구가 있는 환자, 유치도뇨관이나 삽입기구가 있는 환자, 수분이 정체된 환자, 이뇨제 처방을 받은 환자, 수분 제한이 필요한 환자 등이 대표적인 대상자이다.
섭취량 측정 시 구강으로 섭취한 음식물의 종류와 양, 섭취 시간을 구체적으로 기록한다. 정맥주사, 수혈, 비위관영양 등 체내로 주입된 수액의 양도 측정하여 기록한다. 배설량 측정 시 소변량은 소변기나 유치도뇨관을 통해 직접 측정하며, 구토, 설사, 상처 배액 등 체외로 배출된 양도 모두 기록한다. 대변의 경우 횟수만 기록하거나 소변량을 추정할 수 있다. 실금이나 극심한 발한이 있는 경우 기저귀나 침구의 무게 변화를 통해 배설량을 파악한다.
섭취량과 배설량은 주기적으로 기록하여 일일 총량을 계산하고, 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수분 균형 상태를 평가한다. 섭취량과 배설량의 불균형이 있는 경우 이를 의료진에게 보고하여 적절한 중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간호사는 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히 측정하고 기록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이를 통해 대상자의 수분 균형 상태와 투약 효과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게 된다.
1.2.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의 적응증
수술 및 수술 후 금식 상태, 정맥주입과 이뇨제 사용, 특수배액이나 흡인기구 설치 시, 심한 화상과 열로 인한 손상 등 수분손실이 과도한 경우, 탈수 상태, 당뇨병, 핍뇨 상태, 금식 상태 등이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해야 하는 적응증이다. 이러한 경우 체액균형 상태를 파악하고 진단과 치료에 도움을 주며, 잠재적인 위험 상태를 조기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배뇨습관과 비뇨기계 기능을 사정하고, 사용 중인 약물의 효과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된다.
수술이나 수술 후 금식 상태인 환자의 경우, 정맥주입을 통해 체내로 투여되는 수액의 양을 정확히 측정해야 한다. 이뇨제를 투여받거나 특수배액관이나 흡인기구를 설치한 환자에서도 섭취량과 배설량을 모니터링하여 수분 균형을 관찰해야 한다. 심한 화상이나 열로 인한 손상으로 수분 손실이 많은 경우, 섭취량과 배설량을 면밀히 관찰하여 적절한 수분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탈수, 당뇨병, 핍뇨 등의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도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여 수분 균형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금식 상태인 환자의 경우에도 정맥으로 공급되는 수액의 양을 정확히 측정해야 한다.
이처럼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는 것은 환자의 체액 상태를 파악하고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을 주며, 잠재적인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필수적인 간호중재이다.
2. 섭취량 측정
2.1. 경구 섭취량 측정
구강을 통한 섭취량 측정은 환자가 섭취한 음식물의 종류와 양을 정확히 기록하는 것이다. 구강 섭취량에는 식사 중 섭취한 음식뿐만 아니라 간식이나 물, 약물과 함께 섭취한 수분도 포함된다.
먼저 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