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들어가는 말
1.1. 지금까지 욥기 연구의 주요 주제
지금까지 욥기 연구의 주요 주제는 크게 네 가지이다. 첫째는 무고한 자 혹은 인내자의 고난이며, 둘째는 보상 교리이고, 셋째는 하나님의 성격과 인간과의 관계이며, 넷째는 반항자로서의 욥이다. 이러한 다양한 해석이 나온 이유 중 하나는 해석자들이 욥기의 특정 부분을 강조하거나 한 부분에 집착한 결과이다. 첫 번째 주제는 욥기의 서론과 결론을 부각시킨 것이며, 두 번째 주제는 욥과 친구의 대화를 강조한 것이고, 셋째 주제는 하나님의 발언에 초점을 맞춘 것이며, 넷째 주제는 친구와의 대화 속에 나타난 욥의 발언에 무게 중심을 두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지금까지 욥기 연구는 주요 주제에 있어 다양한 접근방식을 보여왔다.인간의 언어는 소리라는 청각적 이미지를 매개로 의미를 전달한다. 따라서 언어 속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소리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며, 이는 욥기에도 적용된다. 욥기가 전하는 이야기의 의미가 시니피에이고, 그 의미를 전달하는 방식이 시니피앙이 된다. 이에 독자는 욥기 저자가 어떻게 이야기를 전달하는지 파악해야 한다. 내러티브 분석에 있어서 이야기를 만드는 형식적 틀은 건물의 뼈대와 같으며, 이를 통해 화자의 내레이션과 등장인물의 발언이 연결되어 하나의 이야기를 구성한다.
1.2. 내러티브 분석을 통한 욥기 전체 이해
내러티브 분석을 사용하여 욥기서 전체를 통해서 읽을 수 있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살펴볼 수 있다. 지금까지 욥기 연구는 주로 욥기의 형성 과정 혹은 역사적 배경, 다른 고대 근동 문학과의 비교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이와 달리 내러티브 분석을 통해 욥기 전체를 하나의 통일된 이야기로 읽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욥기의 주제가 인간의 지혜와 지식과 관련된 지혜문학임을 알 수 있다.
내러티브 분석에서 중요한 이야기 구성 요소는 화자의 내레이션과 등장인물의 발언 및 행동이다. 욥기에서는 이러한 요소들이 [내레이션 - 대화 - 내레이션]이라는 배열을 가지고 있다. 내레이션은 욥 이야기의 시작과 끝을 장식하며 내용적으로도 연결되어 있다. 반면 대화 중심의 구조적 특징을 보이며, [하나님과 사단], [욥과 친구들], [하나님과 욥]의 대화가 중심을 이룬다.
배경 내레이션에서는 욥의 초기 상황을 묘사하여 욥기 해석의 전제가 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발단 부분의 [하나님과 사단]의 대화는 욥이 겪는 고난의 원인을 제시한다. 이어지는 [욥과 친구들]의 대화에서는 고난의 원인을 둘러싼 논쟁이 펼쳐진다. 욥은 자신의 고난이 하나님으로부터 왔다고 주장하지만, 친구들은 악인에 대한 응보라고 주장한다. 이는 인간의 지혜와 지식의 한계와 관련된 문제이다. 최종적으로 [하나님과 욥]의 대화에서 하나님은 창조 세계에 대한 질문을 통해 인간의 지혜와 지식의 한계를 드러낸다.
마무리 내레이션에서는 [하나님과 사단]의 대화에 대한 암시적 해설이 나온다. 욥기는 욥의 고난의 원인을 하나님께로 돌리고 있는데, 이는 인간에게 알려질 수 없는 하나님과 사단의 대화를 암시한다.
이처럼 내러티브 분석을 통해 욥기는 인간의 지혜와 지식의 한계를 다루는 지혜문학임을 알 수 있다. 욥기의 핵심 메시지는 창조주 하나님에 대한 경외심이 참된 지혜의 근본이라는 점이다. 인간은 근본적으로 하나님의 계획과 섭리를 다 알 수 없으므로, 오직 겸손한 자세로 하나님을 신뢰하며 의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전달되는 이야기와 이야기 만들기
2.1. 언어와 의미 전달
언어와 의미 전달이다. 언어는 소리라는 청각적 이미지를 매개로 하여 의미라 할 수 있는 개념을 전달하기 때문이다. 소리는 의미에 접근하는 통로이기에, 의미를 알기 위해서는 소리에 대한 이해와 분석이 필요하다. 욥기에 적용하면, 욥기가 전하는 이야기의 의미가 시니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