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우리나라 여성빈곤가구의 증가 이유와 이에 대한 해결방안에 대해 서술하시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우리나라 여성 빈곤 가구 현황
3. 여성 빈곤 가구 증가 이유
3.1. 남녀 임금 격차
3.2. 경력 단절
3.3. 자녀 양육의 무거운 책임
3.4. 남성보다 긴 여성의 평균 수명
4. 여성 빈곤 가구 문제의 해결 방안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여성의 사회 진출이 본격화된 지 약 10년이 흐른 2010년대 우리 사회에는 '경단녀'라는 신조어가 등장하게 되었다. '경력단절여성'의 줄임말로, 여성이 사회활동을 하며 경력을 쌓다가 결혼, 임신, 출산 등의 이유로 직장을 그만두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문제는 여성이 자녀 양육에 집중하느라 일터에서 경력이 단절되면 복직이 쉽지 않다는 데 있다.
직장을 그만둔 여성들은 이후 생계를 위해 다시 일을 시작하더라도 과거에 쌓은 경력을 활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주로 저임금, 단순 노무 일자리를 선택하게 된다. 아무리 열심히 일을 해도 받을 수 있는 급여에 한계가 있어 여성 개인의 경제력만으로는 가난을 벗어나기 어려운 상황이 된다. 게다가 우리나라에서는 여전히 남녀 간 임금 격차가 크다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요인들이 겹치면서 여성 가구주의 빈곤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것이다.
2. 우리나라 여성 빈곤 가구 현황
남성과 여성 사이에서 빈곤에 정도 차이가 있다면 그것은 주로 혼자 사는 1인 가구이거나 여성이 가구주인 가구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22년 빈곤통계연보에 따르면 우리나라 1인 가구는 혼자 사는 남성에 비해 혼자 사는 여성의 경우가 빈곤 가정일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가처분소득을 기준으로 여성 1인 가구의 빈곤율은 55.7%였는데, 이것은 남성의 34.5%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여성이 가구주인 가구의 빈곤율 역시 남성이 가구주인 가정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여성 가구주가 가주인 경우의 빈곤율...
참고 자료
노혜진, 2012, 한국사회 빈곤의 여성화." 국내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p.12~14
김애림, 2005, 여성 탈 빈곤을 위한 복지정책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p.83~84
김안나, 보건사회연구 제26권 제1호, 한국사회 여성빈곤과 빈곤대책, 200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윤주, 1인 가구 절반은 ‘가난’... 여성, 노인에 더 가혹한 빈곤의 늪, 2023.4.9. 한겨레
김민주, 절박한 여성 빈곤.. 복지 사각지대를 밝혀라, 2022.8.25. 여성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