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주막하낭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지주막 낭종의 정의
1.2. 원인
1.3. 증상과 징후
1.4. 진단검사
2. 본론
2.1. 수술적 치료
2.1.1. 개두술
2.1.2. 내시경 제3뇌실 천공술
2.1.3. 션트 수술
2.2. 비수술적 치료
2.2.1. 관찰
2.2.2. 약물 치료
2.3. 치료 방법의 장단점
2.4. 합병증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1.1. 일반적 정보
3.1.2. 신체사정
3.1.3. 검사결과 분석
3.2. 간호진단
3.3. 간호중재
3.4. 간호결과 평가
4. 결론
4.1. 요약
4.2. 시사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지주막 낭종의 정의
지주막 낭종은 선천적으로 발생하는 낭종으로서 뇌를 둘러싸고 있는 지주막하 공간에 위치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크기가 더 커지지 않으며 아무 증상을 초래하지 않으나 일부 환자는 크기가 증가하면서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1.2. 원인
지주막낭종은 대부분 선천적인 구조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태아의 뇌 주변의 막이 형성되는 시기에 막이 벌어진 틈이 생기고 이 곳으로 뇌척수액이 들어와 낭종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극히 일부의 영유아에서 두부 외상을 입은 후에 수년이 지나 지주막하 낭종이 발견되는 경우도 있어, 드물지만 후천적으로도 외상에 의해 지주막이 찢어지면서 낭종이 발생할 수 있다.
1.3. 증상과 징후
대부분의 경우 지주막낭종은 특별한 증상을 초래하지 않으며, 뇌 전산화 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MRI)을 촬영하다가 우연히 발견된다. 그러나 낭종의 크기가 커지면서 주변 뇌 조직을 압박하는 경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증상은 주로 소아나 젊은 성인에게 나타나며, 나이 많은 성인에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안상 부위(suprasellar region)의 낭종은 제3뇌실을 압박하여 수두증을 유발하거나 시신경을 압박하여 시력저하, 뇌하수체를 압박하여 호르몬 이상과 성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사구체판과 소뇌교뇌각에 생기는 커다란 지주막낭종도 뇌척수액의 흐름을 막아 수두증을 일으킬 수 있다.
아이들의 경우 머리가 커지거나 머리 한쪽이 튀어나오거나 뇌압이 증가하여 두통이 생기고, 속이 안 좋고, 구토 증상이 나타나거나 경련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뇌수종, 행동장애 등 낭종의 위치에 따라 국소적·신경학적인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대부분 크기가 커지지 않고 증상을 초래하지 않아 더 지켜보자는 경향이 있지만, 낭종이 점점 커지고 소뇌를 눌러 인지기능 장애, 폭력성, 흐리멍텅함 등의 증상이 생기는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1.4. 진단검사
컴퓨터 단층 촬영(CT)이 지주막 낭종을 진단하는 데 유용하다. 컴퓨터 단층 촬영은 낭종의 위치와 크기, 그리고 뇌실 확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낭종과 주변 뇌조직의 상태를 잘 보여준다. 따라서 지주막 낭종이 의심되는 경우 컴퓨터 단층 촬영을 통해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자기공명영상(MRI)은 더 정밀한 검사로, 컴퓨터 단층 촬영보다 낭종의 성격과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를 더욱 자세히 파악할 수 있다. 뇌척수액의 흐름까지 확인할 수 있어 수술 계획 수립에도 유용하다.
뇌혈관 조영술은 낭종 내부의 혈관 구조를 관찰할 수 있어 수술 시 출혈 위험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된다.
요추 천자를 통한 뇌척수액 검사는 뇌척수액의 성분을 분석하여 감염이나 출혈 등 다른 질환을 감별하는 데 사용된다. 증상이 있는 환자의 경우 진단을 위해 뇌척수액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2. 본론
2.1. 수술적 치료
2.1.1. 개두술
개두술은 지주막낭종을 치료하는 주된 수술적 방법이다. 개두술은 환자의 두개골을 절개하여 지주막낭종에 직접 접근하고 낭종의 일부를 제거하여 뇌실 또는 지주막하 공간과 연결시키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뇌척수액이 원활히 순환될 수 있도록 하여 두개내압을 낮추고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다. 개두술은 지주막낭종의 위치와 크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방법이 선택되며, 전신마취하에 진행된다. 수술 후에는 출혈, 뇌척수액 유출, 감염 등의 합병증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고 관리해야 한다. 또한 수술 후 증상의 호전 여부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필요시 추가적인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개두술은 증상이 있고 낭종의 크기가 크며 주변 뇌조직에 압박을 주는 경우에 주로 선택되는 수술적 치료법이다.
2.1.2. 내시경 제3뇌실 천공술
내시경 제3뇌실 천공술은 비교통성 수두증에서 ...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Ⅰ,Ⅱ, 수문사, 윤은자 외, 2019
기본간호학Ⅰ,Ⅱ, 수문사, 송경애 외, 2019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성미혜 외, 2019
김희순 외(2009), 「아동건강간호학Ⅰ,Ⅱ」, 수문사, 서울.
김명자 외(2009), 「기본간호학 Ⅰ,Ⅱ」, 현문사, 서울.
송미순 외(2002), 「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 서울.
김강미자 외(2006),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서울.
임동윤 외 (2009), 「리핀코트의 그림으로 보는 약리학」, 신일북스, 서울.
[네이버 지식백과] 수두증 [hydrocephalu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보건복지부] 수두증 [hydrocephalus]
[약품정보 지원 시스템 - 팜포트] http://www.pharmport.co.kr/index.html
[아산병원 의약품 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220 – 225 page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1194 – 1203 page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