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환자 상태 보고서 작성의 필요성
환자 상태 보고서 작성의 필요성은 병원 내에서 간호사와 의사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환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신속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의 경우 생명징후나 검사 결과의 변화가 급격할 수 있어 환자 상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고가 필요하다. 환자 상태 보고서를 통해 환자의 현재 문제를 명확히 인지하고, 적절한 의사결정과 중재를 할 수 있다. 또한 환자 상태에 대한 기록을 남겨 추후 연속성 있는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 상태 보고서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필수적인 업무이자 환자 안전을 위한 중요한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중환자 간호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중환자실은 생명을 위협받는 응급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이므로 환자 상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신속한 대응이 요구된다. 중환자는 주로 호흡기, 순환기, 신경계 등의 장기 부전을 보이므로 이에 대한 집중적인 관찰과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중환자실은 복잡하고 첨단화된 의료장비가 다수 배치되어 있어 이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요구된다. 중환자실 간호사는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신속하고 정확한 간호중재를 수행해야 하므로 응급상황 대처 능력과 비판적 사고능력이 중요하다. 이처럼 중환자 간호는 생명과 직결되는 특수한 환경에서 이루어지므로 간호사의 전문성과 책임감이 매우 강조된다.
1.2. 중환자 간호의 특성
중환자 간호의 특성이다. 중환자실은 심장모니터, 산소, 혈역학적 모니터링 장비, 흡인장비와 제세동기, 인공호흡기, 12유도 심전도 장비, 다양한 정맥주사 펌프, 대동맥 내 풍선펌프, 혈액투석장비, 체외막산소공급기, 심박조율기 등의 고도의 첨단 장비를 갖추고 있다. 중환자 간호사는 이러한 장비들을 활용하여 환자의 생리적 지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동맥압은 동맥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고압수세식시스템으로 연결하여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폐동맥압은 쇄골하 정맥이나 내경정맥을 통해 카테터를 삽입하여 모니터링하며, 중심정맥압은 폐동맥압과 좌심장 기능평가가 필요하지 않을 때 대신 사용한다. 심전도는 3개 또는 5개의 케이블을 환자에게 연결하여 관찰한다. 지속기도내압은 환기 튜브의 Y 연결기에 연결된 모니터링 장비를 통해 파형을 관찰한다. 두개내압은 두개골을 통해 지주막하강이나 뇌실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모니터링한다. 또한 중환자 간호사는 I&O 측정, 폐음 및 장음 청진, 삽관/카테터 확인, 의식수준 평가, 동공반사 확인 등의 임상적 징후 사정도 수행한다. 이처럼 중환자 간호는 다양한 첨단 장비와 기술을 활용하여 환자의 생리적 지표와 임상적 징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평가하는 특성이 있다. [2]
2. 환자 사정
2.1. 생리적 지표 모니터링
2.1.1. 동맥압 모니터링
동맥압 모니터링은 환자의 동맥혈류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동맥(주로 요골 동맥이나 대퇴동맥)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고압수세식시스템(high-pressure flushing system)에 연결하면 동맥압력의 실시간 측정이 가능하다. 이 고압수세식 시스템은 동맥저항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균형을 잡아 시스템의 개방성을 유지한다. 동맥압 모니터링을 통해 지속적인 동맥혈압 수치 확인과 동맥혈 가스분석검사 및 다른 혈액검사를 위한 검체채취가 가능하다. 따라서 동맥압 모니터링은 환자의 혈역학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필요한 중재를 제공하는데 필수적이다.
2.1.2. 폐동맥압 모니터링
폐동맥압 모니터링은 쇄골하 정맥이나 내경정맥을 통해 카테터를 삽입하여 이루어진다. 이 카테터에는 여러 구멍이 있는데, 각 구멍은 수액 주입용이거나 모니터와 변압계에 연결되는 특수한 구멍이다. 큰 동맥 내의 카테터는 말초정맥을 손상시킬 수 있는 약물의 적용을 가능하게 한다. 폐동맥압 모니터링은 환자의 혈역학적 심장기능에 대한 정보, 즉 폐동맥압, 중심정맥압, 심박출량 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의사는 환자의 혈역학적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치료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폐동맥압 모니터링은 중환자의 치료과정에서 필수적인 간호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2.1.3. 중심정맥압 모니터링
중심정맥압 모니터링은 폐동맥압 모니터링과 같이 환자의 혈역학적 상태를 평가하는데 활용된다. 중심정맥압은 정맥계의 혈압으로, 우심방의 압력을 반영하므로 심장의 기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중심정맥압 모니터링은 주로 쇄골하 정맥이나 내경정맥을 통해 카테터를 삽입하여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