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현재 우리나라는 고령사회로, 2022년 초고령 사회진입을 예상할 만큼 노인인구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국민의 평균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길어지고 있는 노후에 대비하여 소득, 건강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곧 인구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지도 모르는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어떤 간호문제와 그에 따른 중재들이 있는지 사례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1.2. 연구기간 및 방법
본 사례연구는 202O년 O월 O일부터 202O년 O월 O일까지 OO보건진료소 관할구역 주민인 육○○님을 대상으로 방문간호를 통한 건강사정과 개인 면담, 주거환경 관찰, 식이, 수면?생활패턴, 투약중인 약물 확인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기록하여 진행하였다. 이는 고령사회에 진입할 만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노인인구의 건강문제를 파악하여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진 연구이다. 보건진료소는 의료취약지역의 주민들, 특히 45세부터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간호사인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이 관리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으로, 이 사례연구를 통해 간호사가 독자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간호문제와 중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 본론
2.1. 간호사정
2.1.1. 대상자 사정
대상자 이름은 정OO이며, 성별은 여성이고 나이는 88세이다. 키는 약 160cm이고 몸무게는 53kg이다. 교육수준은 0년으로 학교를 다니지 않아 글씨를 모르고 높은 숫자도 읽을 수 없다. 의료보장은 의료급여 1종이다. 과거력으로는 고혈압, 당뇨, 협심증, 뇌졸중, 뇌혈관질환, 관절염, 영양실조, 실신, 요실금, 신경증이 있다. 현병력으로는 신경증으로 인한 두통, 요실금 증상, 경증 뇌혈관질환으로 인한 두통 및 어지러움, 요통, 고혈압, 당뇨가 있다.
대상자의 주 호소는 두통, 신경통, 연하곤란, 높은 혈압이다. 복용 약물은 당뇨약, 협심증약, 정신신경약, 고혈압약이다. 간호수행 내용으로는 BST 수행, BP(HR) 측정, 고지혈증 검사가 있으며, 교육 내용으로는 식이요법, 고지혈증 개념 및 주의점, 운동, 건강검진 권면, 약물복용 중요성 강조 등이 있다.
가족구조는 부, 모, 딸 3, 아들 1로 2세대 가족이다. 인구학적 특성으로는 성별이 여성이고 연령이 88세이며 교육수준이 무학(0년)이고 종교가 기독교, 의료보장이 의료급여 1종, 직업이 없다. 가족체계는 빈곤가족, 장애인가족이며 역할분담, 권위소유자, 최종의사결정자, 역할분담에 대한 만족도 등이 있다. 가족지지체계로는 환자 유무, 가족의 관심, 가족 중 간호인, 전문적 도움 등이 있다. 대상자의 일상생활 활동 능력은 모든 활동을 혼자 할 수 있고, 수단적 일상생활활동도 혼자 할 수 있다고 한다.
2.1.2. 가족 사정 도구
가족구조와 관련하여 가족구성 및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가족의 크기, 구성원, 세대 수 등을 통해 가족의 유형과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가족체계의 상호작용과 교류 측면에서 가족구성원의 역할분담, 의사결정권자, 돌봄 제공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구성원 간의 관계와 상호작용 양상, 가족 기능과 만족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가족의 지지체계와 관련하여 내부 및 외부 체계의 지원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가족 내부의 관심과 참여도, 전문적 도움 정도 등을 사정할 수 있다. 또한 친구, 이웃, 지역사회자원 등 외부 체계의 지지 수준도 확인할 수 있다.
가족의 대처와 적응 양상을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