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상상과 창조 통합 족보, 색채심리와현대생활 요약
1.1. 빛과 색
빛과 색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빛은 에너지의 한 형태로, 인간의 심리에도 영향을 미친다. 빛은 반사, 굴절, 간섭, 회절 및 도플러 효과 등 파동의 특징을 보인다. 빛은 파동과 입자의 이중성을 가지고 있으며, 진공 속에서 일정한 속도로 전파한다.
빛은 광원색, 물체색, 투과색으로 분류되는데, 각각 광원의 특성, 물체의 반사 및 흡수 특성, 물체 투과 시 발생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빛의 종류에는 가시광선, 감마선, X선, 마이크로파, 라디오파, 자외선, 적외선 등이 있다.
색은 빛이 우리 눈에 미치는 지각 현상이다. 단색광은 하나의 파장만을 포함하며, 스펙트럼은 가시광선을 분광기로 분해했을 때 얻어지는 파장 순서의 띠 모양이다. 색채어휘체계는 언어와 문화에 따라 다르지만, 인간은 공통적으로 색을 지각할 수 있다. 색지각은 빛, 물체, 시각이라는 3요소에 의해 표현된다. 색채와 관련된 다양한 학문들이 있으며, 활용 분야도 매우 다양하다.
1.2. 색의 개념
색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눈에 보이는 전자파를 빛이라고 하며, 그 중 파장이 400-750nm 범위에 있는 전자파가 인간의 눈에 보이는 색이다. 단색광은 단일 파장의 전자파만을 포함하는 순수한 빛이며, 스펙트럼은 가시광선을 분광기로 분해하여 얻은 파장 순서의 띠 모양의 빛이다. 색채어휘체계는 언어나 문화에 따라 다르며, 멕시코 미아족은 5가지의 무지개 색만을 인식하는 등 다양하다. 색지각은 빛이 눈의 망막을 자극하여 시각감각을 일으키는 현상으로, 광원, 물체, 시각이 색지각의 3요소이다. 색은 물리학, 화학, 생리학, 심리학, 미학, 언어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며, 의료,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색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광원의 종류, 물체를 보는 방향, 물체의 물리적 성질, 시각 기관, 물체와의 거리 및 크기 등이다. 눈의 망막에는 간상체와 추상체가 있으며, 이들에 의해 색을 감지하며 환경 변화에 따라 시각 적응이 이루어진다. 일부 사람들은 선천적 또는 후천적 이유로 색약 또는 색맹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1.3. 색채 현상
색채 현상(= 빛의 현상)은 가시광선에 의해 나타난 결과이다. 빛의 현상은 인간이 물체 또는 광원에 대한 색을 지각할 때 중요하게 작용하며, 각 물체마다 다른 색을 느끼게 하는 역할을 한다.
물체색은 물체가 빛을 반사하거나 투과하여 고유의 색을 가진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다. 현상색은 빛에 의해 시공간에 나타나는 색의 현상성이며, 이에 따라 느껴지는 색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바다 색이 이에 해당한다. 표면색은 불투명한 물체에 표면에 비친 빛이 반사되거나 흡수되었을 때 나타나는 색이다. 투과색은 색유리와 같이 투명한 물체에 빛이 투과되어 나타나는 색이다.
빛은 파동이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전파해 갈 때, 경계면이 일부 파동의 방향을 바꾸어 원래 매질 안으로 되돌아 오는 현상인 정반사, 난반사, 전반사를 일으킨다. 물질은 어떤 파장의 빛을 흡수하고 다른 파장의 빛을 반사함에 따라 물체의 빛깔이 결정된다.
색채 현상의 물리적 분류에는 평면색, 표면색, 광원색, 금속색, 형광색, 공간색, 경영색이 있다. 평면색은 거리감이나 입체감과 같은 지각을 느끼지 못하는 순수한 자극색이다. 표면색은 사물의 질감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색으로, 불투명 정도를 가진 물체의 표면에서 느낄 수 있다. 광원색은 빛을 발하는 광원에서 나오는 빛이 직접 인식되어 느껴지는 색이다. 금속색은 빛 중에서 특정 파장이 강한 반사를 통해서 지각되는 색이다. 형광색은 물질이 빛의 자극에 의해 발광하는 현상으로 나타나는 색이다. 공간색은 빛을 투과시키는 물체를 통과해서 나오는 빛에 의해 지각되는 색이다. 경영색은 거울과 같이 광택이 나는 투명한 물질의 표면에 나타나는 완전 반사에 가까운 색이다.
무채색에는 흰색, 회색, 검정색이 있으며, 이들은 색상과 채도가 없는 색이다. 반면 유채색은 이러한 특성이 있는 모든 색을 의미한다.
1.4. 색의 3속성
색상은 빨강, 노랑, 초록, 파랑 등의 색 이름으로 표현되며, 대상물체가 갖고 있는 고유한 색깔이다. 색상은 우리에게 차가운 느낌을 주는 한색과 따뜻한 느낌을 주는 난색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색상의 계열에 따라 상이한 심리적인 효과를 준다.
명도는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며, 검정에 가까울수록 명도가 낮고 백색에 가까울수록 명도가 높다. 명도의 차이에 따라 공간감과 무게감을 느낄 수 있으며, 고명도 색은 경쾌하고 경량감을 주는 반면 저명도 색은 무겁고 강렬한 효과를 준다.
채도는 색의 선명하고 탁한 정도를 나타내며, 순색에 가까울수록 채도가 높고 무채색에 가까울수록 채도가 낮다. 채도가 높은 색은 강렬하고 생동감 있게 보이지만, 채도가 낮은 중성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