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K-pop의 한국 콘텐츠 시장의 발전성을 웹툰 캐릭터에 포커스를 맞춘 내용을 비교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K-pop의 한국 콘텐츠 시장 발전성
2.1. 웹툰 캐릭터에 포커스를 맞춘 내용 비교분석
3. 인터넷 보급과 초고속망 확산의 영향
4. 한류와 한국 대중문화의 세계화
5. 방송·영상산업 진흥정책과 규제 완화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현대 사회에서 영상문화콘텐츠 산업은 단순한 오락의 차원을 넘어 정치·경제적 영향력을 지닌 중요한 산업으로 자리잡았다. 이러한 산업의 발전에는 다양한 역사적 사건과 사회적 변화가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에 이르는 한국 사회의 정보화와 한류(韓流)의 확산, 정부의 적극적인 미디어산업 지원정책이 오늘날 한국 영상문화콘텐츠 산업의 구조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했다. 따라서 이 보고서는 역사적 접근을 통해 한국 영상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을 분석하고, 현대적 특징과 산업적 방향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2. K-pop의 한국 콘텐츠 시장 발전성
2.1. 웹툰 캐릭터에 포커스를 맞춘 내용 비교분석
웹툰은 웹이라는 디지털 매체 공간과 더불어 아날로그 인쇄매체였던 만화가 결합하면서 탄생했다. 웹툰은 웹을 통해 소비되는 만화이며, 생산적인 측면에서 디지털 기술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소비적인 측면에서도 스마트 환경에 맞는 속도와 공감연출, 가독성 높은 디자인으로 구체화되었다. 웹툰은 활자와 그림이라는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매체의 형식에서 완성된 연출법을 모니터 환경에 맞게 변환하여 포털사이트들을 중심으로 연재되고 있다.
웹툰의 독자들은 일상에서 웹툰을 소비하고, 좋아하는 작품을 SNS를 통해 적극적으로 공유하며, 댓글과 소셜 미디어를 통해 상호작용한다. 일상성과 공유성 그리고 상호작용성은 한국 웹툰의 고유한 특징이며, 접근성 역시 가지고 있다. 웹툰은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서사 장르의 하나로서 영화와 드라마, 뮤지컬 등 다른 수많은 매체들로 전환되어지고 있다.
웹툰은 디지털 매체이기 때문에 실시간 상호 소통성을 띄며, 영화적인 연출이나 배경음악 삽입 같은 다양한 표현 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과 상호작용성들을 통해 웹툰은 원소스 멀티유즈(One Soure Multi Use)의 대표적인 주자로써 드라마로 재탄생되는 숫자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국내의 최다 웹툰 플랫폼인 다음과 네이버 플랫폼의 웹툰들을 바탕으로 많은 영화와 드라마들이 제작되고 있다. 이는 영상 산업에서 많은 영화와 드라마가 웹툰을 원작 콘텐츠로 차용하는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첫째, 영상을 기본언어로 창작되어지는 만화나 웹툰 같은 경우, 영화나 드라마 같은 영상으로 매체전환을 하기에 매우 유리하다. 디지털 플랫폼의 발달로 웹툰의 표현양식들도 더 다양해졌고, 움직이는 장면, 소리가 나는 장면 등 발달된 웹툰의 컷씬들은 영상화를 할 시에 영화나 드라마의 시나리오에서 한층 발전된 스토리보드와 비슷한 양상을 띄기 때문에 시각화 작업시에도 유리하다. 또한 웹툰은 드라마화 이전에 이미 완성되어있는 서사이기 때문에 연기하는 배우 입장에서도 미리 캐릭터화와 연기에 집중할 수 있고, 연습할 시간 또한 확보 가능하다. 배우들은 극 중 캐...
참고 자료
이성민, 외. (2022). 영상문화콘텐츠산업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유선영, 외. (2007). 한국의 미디어 사회문화사. 한국언론진흥재단.
박인하, 「한국 웹툰의 변별적 특성연구」, 애니메이션연구, 2015.
송요셉, 「웹툰의현황및특성과웹툰기반osmu 활성화방안」, 코카포커스, 2012.
채희상, 「웹툰의 매체전환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4.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년 웹툰산업 현황 및 실태조사」, 2015.
한창완, 홍난지, 「웹툰의 영화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1.
서진욱, ‘네이버웹툰, '스튜디오N' 설립… 웹툰'영상화' 본격 추진’’, 머니투데이, https://www.msn.com/ko-kr/money/topstories/네이버웹툰-스튜디오n- 설립…-웹툰-영상화-본격-추진/ar-BBLGpXw, 2018.
조혜련, ‘웹툰이 드라마화 되는 과정’, 뉴스에이드,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7753219&memberNo=22401813&vType=VERTICAL, 2020.
강태영(2002), 국제 방송 프로그램의 유통구조와 한국 방송 프로그램 수출전략, <<방송
연구>>, 방송위원회, 겨울호 pp.7-34
고정민(2002), 한국 영화 산업의 선순환 구조와 발전 전략, 삼성경제연구소
권희상(1996), 영상 소프트웨어로서의 한국 TV드라마의 거래과정과 부가가치 창출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김동규(2002), 한국 TV프로그램의 유통 메커니즘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 16-4
pp.40-73
중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