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호스피스의 죽음에 대한 인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우리나라 호스피스 간호 현황
1.1. 호스피스 간호의 개념과 역사
1.2. 호스피스 간호 유형
1.3. 호스피스 간호 제공 현황 및 문제점
2. 호스피스 간호에서 간호사의 역할
2.1. 입원형 호스피스 간호사의 역할
2.2. 가정형 및 자문형 호스피스 간호사의 역할
2.3. 호스피스 간호사의 전문성 강화
3. 우리나라 호스피스 간호의 향후 전망
3.1. 고령화 사회와 호스피스 간호 수요 증가
3.2. 호스피스 간호 정책의 확대
3.3. 가정형 호스피스 서비스의 확대 필요성
4. 호스피스 간호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교육
4.1. 죽음과 호스피스 간호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
4.2. 호스피스 간호 교육 현황 및 발전 방향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우리나라 호스피스 간호 현황
1.1. 호스피스 간호의 개념과 역사
호스피스 간호는 말기 환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고통을 완화하고 존엄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돕는 전인적인 돌봄을 말한다.
호스피스 간호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다. 세계적으로 가장 오래된 호스피스 의료기관은 1967년 영국에 설립된 세인트 크리스토퍼 호스피스로, 이는 현대적 의미의 호스피스 간호의 효시라고 볼 수 있다. 이후 많은 국가에서 호스피스 운동이 전개되었으며, 1974년에는 세계보건기구(WHO)가 호스피스 케어에 대한 정의를 내리면서 호스피스 간호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높아졌다.
우리나라의 경우 1964년 강원도에 자리 잡은 갈바리 의원이 국내 최초의 호스피스 의료기관으로 개설되었다. 그러나 한국전쟁의 폐허 속에서 경제적 어려움을 겪던 당시 사회적 상황으로 인해 이후 호스피스 운동이 지속되지 못했다. 오랜 정체기 끝에 2003년 호스피스 완화의료가 암정복 사업에 포함되면서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여 2019년 기준 87개 기관 1,400병상으로 확대되었다.
특히 2015년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건강보험 전면적용과 2017년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 시행으로 법적 기반이 마련됨에 따라 우리나라 호스피스 간호는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호스피스 간호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더욱 확대되어 왔다.
1.2. 호스피스 간호 유형
우리나라의 호스피스 간호 유형은 크게 입원형, 가정형, 자문형, 소아청소년 완화의료 등 4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입원형 호스피스는 병원 내 일부 병동이나 병실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간호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보건복지부 지정 호스피스 전문기관의 병동에 입원한 상태에서 호스피스 돌봄을 받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입원형 호스피스는 말기 환자의 치료와 증상 완화, 심리적·영적 지지 등 전인적인 돌봄을 제공한다. 2019년 기준 우리나라에는 총 87개의 호스피스 전문기관이 있으며, 이 중 입원형 호스피스를 제공하는 병원은 90곳으로 1,552개의 병상이 있다.
둘째, 가정형 호스피스는 말기 환자의 가정을 직접 방문하여 호스피스 돌봄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보건복지부 지정 전문기관의 호스피스 팀이 환자의 가정을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며, 말기 환자와 가족들이 익숙한 환경에서 편안한 임종을 맞이할 수 있도록 돕는다. 2019년 기준 39개의 기관에서 가정형 호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셋째, 자문형 호스피스는 일반 병동이나 외래에서 진료를 받는 말기 환자와 가족에게 호스피스 팀이 담당 의사와 함께 호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를 말한다. 호스피스 전문교육을 받은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가 환자의 증상 조절, 상담, 연계 등을 지원하며, 필요에 따라 입원형 또는 가정형 호스피스와 연계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넷째, 소아청소년 완화의료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에 걸린 24세 이하 소아청소년 환자와 그 가족 중 완화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를 대상으로 한다. 성인 호스피스와 달리 진단 병명이나 질병 단계에 제한이 없으며, 현재 시범 운영 중에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호스피스 간호 유형의 도입은 말기 환자와 가족의 요구에 맞춰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호스피스 이용률을 높이며 선택권을 확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1.3. 호스피스 간호 제공 현황 및 문제점
우리나라의 호스피스 간호 제공 현황 및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호스피스·완화의료 제공 기관이 부족하다. 2018년 기준 호스피스·완화의료 제공 기관은 105개 기관, 1,341병상으로 추산된 필요 병상 2,500병상에 못 미치며, 지방의 경우 인력을 구하지 못해 운영되지 못하는 기관이 존재했다. 이는 전체 말기 환자의 수요를 충분히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둘째,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률이 낮다. 2017년 기준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률은 22%로, 주요 선진국의 이용률 40~50%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특히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 지역에서는 대기 현상이 발생했다. 이는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낮은 인지도와 접근성 부족으로 인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셋째, 기관 간 서비스 제공 격차가 있다. 제도화 이전부터 호스피스·완화의료를 제공하...
참고 자료
오주연 외 6 (2020),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 제도개선 방안, 유형간 연계 강화 및 환자중심의 통합적 이용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27호, p.1~5
전우석 외 4 (2020), 「국내외 호스피스 완화의료 연구동향 분석:2014년 1월부터 2019년 3월까지 한국 연구자들이 발표한 연구」, 『경북간호과학지』, 제24권 제1호, p.2~8
정여정 (2020) 「임종상담이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죽음에 대한 인식, 불안, 임종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p.1~12
곽은주 (2020),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 인식이 사전의료의향서와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p.5
공인식 (2015), 「호스피스 완화의료 제도 현황 및 발전방안」, 『HIRA 정책동향』 제9권 6호, p.7~18
고용노동부 한국고용정보원 워크넷, 「한국직업사전」, 2016
김경아(Kyoungah Kim). "한국과 주요국의 웰다잉(Well-dying) 지원정책의 현황과 시사점." 한국노년학 43.3 (2023): 303-329.
강경아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김신정 (한림대학교 간호학과), “한국 아동 호스피스의 현황과 전망”, 아동간호학회지, 2003년, pp.190 – 197
김태형. (2023). 영화 ‘씨 인사이드’를 통해 살펴본 존엄사에 대한 사회적 시선. 인문사회 21, 14(3), 3429-3438.
출처 : 통계청 <고령인구(65세 이상) 비중>
출처 :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22」
중앙호스피스센터 - 서비스 유형 -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 병원
매일신문,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현황과 장래, 문화부 jebo@imaeil.com, 2022-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