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해피캠퍼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산업복지와 자원봉사 그리고 장애인 통합교육
1.1. 산업복지의 개념과 필요성
1.2. 산업복지의 현황 및 전망
1.3. 자원봉사의 필요성과 개인 및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1.4. 장애인 통합교육의 개념과 목적
1.5. 장애인 통합교육의 배경 및 원리
1.6. 장애인 통합교육의 현황과 한계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산업복지와 자원봉사 그리고 장애인 통합교육
1.1. 산업복지의 개념과 필요성
산업복지는 "국가 또는 지방공공단체, 기업, 노동조합, 협동조합 등이 주체로 나서서 근로자와 근로자 가족의 생활안정, 생활수준의 향상 등 생활복지의 증진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제 시책·시설·서비스 활동의 종합적이며 통일적인 체계"이다. 즉, 산업복지는 근로자와 그 가족들이 보다 나은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국가와 기업 등이 실시하는 각종 서비스와 제반 정책 및 시책 등을 포함하는 사회복지 전문직들에 의해 수행되는 사회복지실천 영역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산업복지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자가 근로(노동)이라는 상품을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근로자 자신 뿐 아니라 그 가족들까지도 안정적인 생활수준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생활복지가 향상됨에 따라서 기업과 국가는 노동력의 지속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생산성의 향상으로까지 연계되어 이윤의 창출과 경제성장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모색할 수 있다. 둘째, 산업화로 인한 경제·사회구조의 불균형과 사회문제 해결, 산업화의 지속적 추진과 완화, 고용배분의 해소, 복지질서의 수립 과정에서 근로자의 생활조건 개선 및 인간성 회복을 위해 국가가 앞장서서 사회정책적 사회복지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요컨대, 산업복지는 근로자와 그 가족의 생활안정과 생활수준 향상을 위해 국가, 기업, 노동조합 등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와 정책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근로자의 안정적인 노동 제공과 기업의 생산성 향상, 더 나아가 국가 경제의 발전까지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1.2. 산업복지의 현황 및 전망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고도성장과 산업화를 거치면서 외형상으로는 경제성장을 이루었지만, 시장질서는 왜곡되고 경제의 글로벌화라는 국제적 변화 속에서 1997년에 IMF관리체제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후 경제위기를 극복해 나가는 과정에서 상시적인 기업 구조조정과 노동의 유연화가 진행되어 비정규직 근로자의 증대, 임금격차 심화, 새로운 실업자군 등장 등 노동관련 복지수요는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복지재정의 확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재정의 뒷받침이 이루어지지 ...
참고 자료
신현길, ‘기업복지가 사회적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석사논문, 2021
안향숙, ‘생산적 복지시대의 산업복지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논문, 2002
정종진, 『새 인사관리』, 서울: 법문사, 1985.
한겨레(https://www.hani.co.kr)
YTN(https://www.ytn.co.kr)
경향신문(https://www.khan.co.kr)
김동배, 『시민사회와 자원봉사』, 서울:학지사, 2008.
이금룡 외, 『노인자원봉사실천론』, 서울:학지사, 2009.
1365자원봉사포털(https://www.1365.go.kr)
국가법령정보센터(https://www.law.go.kr)
강영심 외, 『교사를 위한 특수교육입문 통합교육』, 서울:학지사, 2007.
최윤영·이경준, 『장애인복지론』, 서울:학지사, 2012.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22 장애인통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2,
국가법령정보센터(https://www.law.go.kr/)
한국장애인 고용공단(https://www.kea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