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윤리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간호윤리 사례 분석
2.1. 사례 1: 비밀이 된 병명
2.2. 사례 2: 단체행동 제안
3. 윤리적 의사결정 과정 적용
3.1. 윤리적 갈등 파악
3.2. 추가 정보 수집 및 재정의
3.3. 사례 분석
3.4. 문제해결 방안 선택 및 정당화
3.5. 개인, 기관, 사회에 대한 제언
4. 실습 중 경험한 윤리적 딜레마
4.1. 환자의 바이탈 측정 거부
4.2. 억제대 적용 중 보호자의 중재
4.3. EMR 차트 기록을 위한 사진 촬영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간호 윤리 사례에서는 환자의 자율성 존중과 의료인의 선행 의무 간 윤리적 딜레마가 자주 발생한다. 환자의 건강과 안녕을 위해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한 경우에도 환자의 의사를 존중해야 하는 딜레마 상황에 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딜레마 상황에서 어떠한 윤리 원칙을 따르는 것이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최선의 선택이 될 수 있을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비밀이 된 병명과 단체행동 제안에 관한 사례를 분석하고, 윤리적 의사결정 과정을 적용하여 바람직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실습 중 경험한 윤리적 딜레마 사례를 통해 간호 현장에서 직면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에 대해 고찰해 볼 것이다.
2. 간호윤리 사례 분석
2.1. 사례 1: 비밀이 된 병명
30세 미혼 여성 A씨는 연구원으로 일하면서 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다. 최근 몇 달 동안 계속 체중이 줄고 소화불량이 심해지는 것 같아서 입원해서 정밀검사를 받았고, 그 결과 췌장암 3기로 진단되었다. 그러나 이를 A씨의 어머니가 먼저 알게 되었고, 즉시 치료가 필요하다는 의사의 설명에도 불구하고 어머니는 가족들만의 시간이 필요하다며 치료를 거부하고 환자를 퇴원시켰다. 2주 정도 후에 더 야윈 모습으로 환자는 재입원을 하였으나, 여전히 자신의 병명을 모르는 상태였다. 어머니는 A씨에게 병명을 말하지 말라고 의료진에게 당부하였으며, A씨에게는 치유가 가능하다며 기도를 통해 안심시켰다. 어느 날, A씨는 병실에 온 간호사에게 간염에 걸리면 자신처럼 증상이 심각하냐고 질문하였다. 어머니의 판단만으로 병명도 모른 채 상태가 악화되고 있는 환자를 보면서 어떻게 해야 할지 안타까웠다.
2.2. 사례 2: 단체행동 제안
단체행동 제안
지난 9개월 동안 A 간호사는 외과병동에서 책임간호사로 시간제 근무를 해왔다. 20병상 규모에 간호조무사는 보통 2명이지만 부족하였고, 드물게 한 명일 때는 업무 수행이 불가능하였다. 최근 보건복지부 감사팀이 이 병원의 인력이 너무 부족하다는 것을 지적하였고, A 간호사 역시 간호과장이나 병원행정가들이 병동에 업무를 과중하게 부담시켜서는 안 되며 간호인력 부족 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A 간호사는 "현재 상황에서는 적절한 간호를 제공할 수 없고 간호조무사가 환자 간호를 대신할 수 있다고 기대할 수도 없다. 실제로 간호사가 의사 회진 시 동행하고, 서류 작성 등 행정 업무를 하느라 너무 많은 시간을 소모해야 하므로, 환자가 받아야 할 간호를 제공해주지 못하고 있고 많은 부분을 간호조무사들에 맡기고 있어 간호사로서 좌절감이 든다."며 인력 부족에 문제를 제기하였다.
간호조무사들도 관리자들이 인력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비번인 날에도 상습적으로 불러내기 때문에 일주일에 이틀 쉬는 경우가 드물었다. 그들은 실직하게 될 것이 두려워 갑작스런 근무 요청을 거부하지 못하였다. A 간호사도 초과 근무를 요청 받았으나 아기를 돌봐줄 사람을 구할 수 없다는 이유로 거절하였다. 그리고 자신은 취업 시에 일주일에 2일만 근무하기로 계약했음을 관리자에게 상기시키면서 초과근무를 요구하지 않도록 요청하였다.
A 간호사가 간호 인력의 업무 과중에 관하여 간호과장...
참고 자료
이상미·안성희 공저 (2017,2018), 간호윤리와 법,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생명의료윤리 제3개정판, 구영모 엮음, 동녘, 2021
정규원(Kyu Won Jung). "의료행위에서의 온정적 간섭주의와 자율성 존중." 법철학연구 5.1 (2002): 231-254.
오승민, 김평만.(2018).자율성 존중 원칙과 선행 원칙의 충돌 상황에서의 인간 이해.인간연구,(36),101-129.
조건희, [단독]뱃줄 놔둔채… ‘콧줄 급식’ 4만명 고통, 동아일보, 2017.08.09.,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170809/85742060/1